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879
한자 祠廟
영어의미역 Shrine
이칭/별칭 사우(祠宇)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호열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神主)나 영정(影幀)을 모셔 두고 제사 지내는 건축물.

[개설]

조선시대 중후기에 주로 지어졌던 사묘는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 두고 제사 지내는 건물로 사우(祠宇),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 등으로도 불렸다. 사묘는 인간의 보편적 의지인 선조와 선현의 숭배 사상에서 건축되었다. 사묘의 확산은 고려 말에 들어온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실천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정몽주(鄭夢周) 등의 제창으로 가묘(家廟) 제도가 시행되면서, 사묘(祠廟) 건축도 함께 발달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사묘]

성리학이 본격적으로 전래되지 않은 삼국시대에도 유교적 색채를 농후하게 지닌 선조봉사(先祖奉祀)의 관습이 있었다. 선왕의 유령(遺靈)을 제사 지내는 종묘(宗廟)제도가 있었으며, 그 중 가장 발달된 것이 신라의 칠묘제(七廟制)였다. 동국여지승람에 충청도 진천에 있는 김유신(金庾信)의 사묘는 신라 때 건립되어 봄·가을로 제향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에도 안동의 3공신묘(三功臣廟), 6진 개척의 공로가 있는 윤관(尹瓘)을 모신 경성(鏡城)의 정북사(靖北祠), 무장 강민첨(姜民瞻)을 모신 진주의 은열사(殷烈祠) 등이 건립되었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는 불교 신앙이 절대적이어서 사묘의 건립이 널리 확산되지 않았다. 유교 사상은 오로지 정치적 제도의 운용에만 국한되었기 때문이다. 고려 중기 이후 기자사당의 건립이 확산된 것은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고려가 주나라를 받든 기자조선의 후예이며, 소중화(小中華)임을 주장하려는 유학자들의 중국 숭배 사상을 나타낸 것이다. 단군의 경우도 요순시대를 동경하는 유학적 분위기에 의해 사우에 봉안되었다.

[조선시대의 사묘]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교 이념이 점차 정착함에 따라 조정에서는 공신 명현(名賢)들에 대한 추존(推尊) 운동이 적극 전개되면서 민간의 사묘 건립을 촉진시켰다. 조선 성종길재(吉再)의 학덕을 기려 그의 고향인 선산에 길재사(吉再祠)를 짓고 일반 민중들이 제향했다. 조선시대에는 서원과 사묘의 존립 목적과 기능이 크게 구별되었다. 사묘는 처음부터 사현(祀賢)과 풍화(風化)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공덕을 기리는 보본숭현(報本崇賢)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반면 강학 공간인 서원의 선현(先賢)과 선사(先師)에 대한 제향은 2차적이며 부수적인 것이었다. 사묘에 제향되는 인물이 행의(行誼)와 충절, 효열(孝烈)이 향촌(鄕村)의 존숭 대상인 반면 서원에 모셔진 인물은 우선 도덕과 학문이 백대의 사표가 되어야 했다.

서원이 남설되던 17·18세기에 사묘와 서원의 차이가 모호하게 되면서 서원과 사묘는 동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서원과 사묘에 모신 인물에 구별이 없어졌고 인재 양성과 강학 기능이 일차적 목적이던 서원이 선현을 제사지내는 기능 위주로 바뀌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에 따라 종래 사묘 또는 사우로 불러야 마땅할 것도 서원이라 칭하며 양자의 혼효현상(混淆現象)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사묘(祠廟)의 건립 주체는 대체로 제사를 받드는 주체와 향자와 혈연·지연·학연 등으로 밀접한 관련을 지닌 자들로, 이들은 대부분 향촌 사회에 강력한 기반을 가진 사족(士族) 집단이었다. 사묘의 건립은 대체로 후손에 의한 경우, 문인에 의한 경우, 향인(鄕人)에 의한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각기 나름대로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후손이 현조(顯祖)를 모시는 사묘를 건립하는 이유는 문벌과 가문의 위세가 사회활동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는 양반 사회에 있어서 후손들의 사회적·정치적인 활동에 이용되는 현실적인 이해관계에서 비롯되었다.

조선 후기 예송논쟁(禮訟論爭) 이후 사묘는 씨족의 정치적 결속을 강화해 주는 거점 역할을 담당하였다. 글을 배운 제자들에 의해 사묘가 건립되는 경우 그 건립 장소는 대부분 사묘에 모신 분이 생전에 기거하던 곳이나 강학 활동을 하던 장소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주자(朱子)·정자(程子) 등 중국 유현(儒賢)을 모시는 경우도 다수 발견된다. 이것은 부진한 향촌 사회의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유생의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사묘가 양반 세력의 양민 억압 기구로 붕당의 향촌 거점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본래 의도인 보본(報本)과 숭현(崇賢)의 정신은 점차 퇴색했다.

[칠곡군의 사묘]

칠곡군 내 현존 사묘 건축으로는 약목면 남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무신 신유[1619~1680] 장군의 사당이 대표적이다. 1658년(효종 9) 청나라의 요청을 받아 조총군(鳥銃軍) 200여 명을 인솔하고 나선정벌(羅禪征伐)에 나서 흑룡강(黑龍江) 부근에 침입한 러시아의 스테파노프 이하 270여 명을 전멸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신유 장군의 사당은 조선 효종 때 처음 짓고, 1980년에 중창한 것이다. 사당인 숭무사(崇武祠)를 비롯 존성재(存誠齋)·인의문(仁義門)·선의문(宣義門)·비각(碑閣)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0년에 사당인 숭무사와 내삼문·외삼문·비각을 신축하고 존성재를 복원하여 주위를 지금과 같이 정비하였다. 사당 뒤 200m 지점에 신유 장군 및 정부인묘(貞夫人墓)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