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한글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유희요. 「아이고배야」는 우리말의 어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리듬을 가미한 한글 뒤풀이 노래이다. 내용이 창자(唱者)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기 때문에 언어 유희성에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말놀이라는 측면에서 언어의 교육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다. 노래의 사설은 창자에 따라 즉흥적이므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한글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유희요. 「아이고배야」는 우리말의 어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리듬을 가미한 한글 뒤풀이 노래이다. 내용이 창자(唱者)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기 때문에 언어 유희성에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말놀이라는 측면에서 언어의 교육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다. 노래의 사설은 창자에 따라 즉흥적이므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한글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유희요. 「아이고배야」는 우리말의 어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리듬을 가미한 한글 뒤풀이 노래이다. 내용이 창자(唱者)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기 때문에 언어 유희성에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말놀이라는 측면에서 언어의 교육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다. 노래의 사설은 창자에 따라 즉흥적이므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여성들이 유희적 오락을 위해 부르던 노래. 「쌍가락지노래」는 「가락지노래」, 「쌍금쌍금쌍가락지노래」로도 불린다. 노래의 내용은 누이의 정절을 의심하는 오빠와 누이의 항변을 다룬 것이다. 각 편들 사이에 큰 차이는 없고 노래로, 보통 ‘쌍금쌍금 쌍가락지’로 시작하는 것에서부터 ‘죽고 싶다’라는 처자의 말에서는 큰 변화를 찾을 수 없고, 처자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멍울이 맺힌 병을 고친다는 민간의료. 칠곡군에서 행하고 있는 토속신앙으로 민간에서 전해지고 있는 의료 방식이다. 멍울이 맺힌 병을 고친다고 하는데 멍울이란, 어떤 충격으로 인해서 생긴 마음의 상처나 고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즉 마음의 상처나 병이 생겨 답답하거나 아플 때 행했다. 칠곡군에서는 멍울을 ‘가래톳(가리토시)’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멍울이 맺힌 병을 고친다는 민간의료. 칠곡군에서 행하고 있는 토속신앙으로 민간에서 전해지고 있는 의료 방식이다. 멍울이 맺힌 병을 고친다고 하는데 멍울이란, 어떤 충격으로 인해서 생긴 마음의 상처나 고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즉 마음의 상처나 병이 생겨 답답하거나 아플 때 행했다. 칠곡군에서는 멍울을 ‘가래톳(가리토시)’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칠곡문화원의 향토사료관에 전시 중인 조그만 집 모양의 탈 것. 가마는 전통사회에서 이용된 사람이 들어앉는 조그만 집 모양의 탈 것이다. 가마의 앞뒤로 가마꾼이 손으로 들거나 끈으로 묶어 운반하는데, 칠곡군 향토사료관에는 두 점의 가마가 전시되고 있다. 가마는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한 전통사회에서 주요 운반 수단이었다. 주로 신분이 높은 사람, 사대...
-
경상북도 칠곡군의 사대부가에서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 사대부가에서 조상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집으로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한다. 사당은 조선왕조 중기 이후 철저히 실행되었는데, 사대부가에서는 선조의 신위를 모시는 가묘 형태의 사당을 둘 수 있었고, 제사를 목적으로 묘소 주변에 재각(齋閣)을 둘 수 있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고대 사회의 풍농제(豐農祭)에서 기원한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마련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추...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와 동명면 남원리의 경계에 있는 산. 팔공산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끝자락에 위치한 ‘가사산’ 즉 ‘갓(가장자리)산’이며, 가산으로 불린다. 한자는 음을 빌린 것이다. 가산은 7개 봉우리를 이루어 칠봉산(七峰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901.6m의 산으로, 지질은 동북부에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팔공산 화강암이 분포하며,...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와 동명면 남원리의 경계에 있는 산. 팔공산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끝자락에 위치한 ‘가사산’ 즉 ‘갓(가장자리)산’이며, 가산으로 불린다. 한자는 음을 빌린 것이다. 가산은 7개 봉우리를 이루어 칠봉산(七峰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901.6m의 산으로, 지질은 동북부에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팔공산 화강암이 분포하며,...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창리 남창마을에서 지냈던 빗신굿. 가산산성을 축조한 이세재(李世載)를 신격화하고 마을의 풍년과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해 10년에 한 번 씩 지냈던 별신굿이다. 마을 사람들은 ‘비신’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빗신굿’이라고도 한다.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1698년(숙종 20) 11월 20일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한 이세재가 가산산성...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창리 남창마을에서 지냈던 빗신굿. 가산산성을 축조한 이세재(李世載)를 신격화하고 마을의 풍년과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해 10년에 한 번 씩 지냈던 별신굿이다. 마을 사람들은 ‘비신’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빗신굿’이라고도 한다.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1698년(숙종 20) 11월 20일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한 이세재가 가산산성...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서 매년 4월 가산사과사랑회가 주최하는 축제. 사과 재배 농민 40여명으로 구성된 가산사과사랑회가 학마을 사과꽃 잔치를 열어 도시민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하는 축제 행사. 매년 사과 꽃 피는 4월 15일에서 30일까지 금화리에 있는 사과밭에서 ‘가산학마을 사과꽃잔치’를 하며 농촌체험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사과나무 아래서 비빔밥도 먹고 사과를 먹...
-
1950년 8월 18일부터 8월 27일까지 경상북도 칠곡군의 가산면과 동명면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 조선 인조 때인 1640년에서 1648년까지 축조된 가산산성은 칠곡군에서 가장 높은 가산 준령에 있는 천혜의 요새이다. 가산은 해발 902m 높이에 가산면 가산리에 위치해 있으며, 칠봉산(七峰山)이라고도 하며 팔공산의 끝자락에 위치한 산이라고 하여 갓산이라고 일컫다가 지금...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살았던 힘이 센 장사와 관련된 바위 이야기.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가산 고을에 한 장사가 살고 있었는데, 모두들 가산장사라고 불렀다. 가산장사는 금강산 유람을 가서 주머니에 조약돌을 잔뜩 넣어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가산에서 금강산에서 주워온 조약돌을 실수로 하나 굴러 떨...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직·사랑·꿈을 가꾸는 가산 교육’이라는 기치 아래 정직한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공부하는 어린이, 협동하는 어린이, 창의적인 어린이를 기르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35년 7월 2일에 가산공립보통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50년 4월 1일에 가산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50년 9월...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산 산성(架山山城)의 아래쪽에 위치한 마을이라고 하여 가산(架山)이라 이름 붙였다. 본래 칠곡군 동북면(東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을 개편할 때 산당, 대둔, 북창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가산이라 하고 칠곡군 가산면(架山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가산리는 가산(架山)[902m]의 완만한 북...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북창마을의 산신제. 정월대보름 날에 가산리 북창마을에서는 산신제와 동제를 모신다. 산신 제단은 마을 뒤에 있는 두길 정도의 바위이고, 당신(堂神) 제단은 당나무와 조산이마을 입구에 있다. 예전에는 제관(祭官)으로 3명을 선임하였으나 현재는 1명을 선임한다. 걸립으로 긴 대나무 끝에 소나무 가지를 매단 천왕대를 갖고 천왕을 받아 천왕이 지정해...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절터. 가산리 북창마을 서쪽 편 골짜기에서 과수원 방향으로 500m 가량 따라가면 완만한 평지가 나타나고 높이 1.5~2.0m 가량의 석축(石築)과 곳곳에서 초석(礎石)으로 추정되는 석재(石材)가 확인된다. 2~3단으로 조성된 것으로 평지 주변 여러 곳에 석축의 흔적이 있고, 주변에는 기와 조각들이 산재하고 있다. 석축의...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절터. 가산리 북창마을 서쪽 편 골짜기에서 과수원 방향으로 500m 가량 따라가면 완만한 평지가 나타나고 높이 1.5~2.0m 가량의 석축(石築)과 곳곳에서 초석(礎石)으로 추정되는 석재(石材)가 확인된다. 2~3단으로 조성된 것으로 평지 주변 여러 곳에 석축의 흔적이 있고, 주변에는 기와 조각들이 산재하고 있다. 석축의...
-
경상북도 칠곡군의 동북부에 있는 행정 구역. 가산면(架山面)은 칠곡군 지역의 교통 요충지이다. 국도 또는 고속 도로를 따라 경상북도 구미시, 상주시, 안동시에 이르며, 산업 물동량이 많다. 전형적인 농촌 지역으로 사과, 복숭아, 버섯 등의 특용 작물 재배와 한우 사육을 많이 하며, 금화 계곡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매년 9월 말 또는 10월 초에 학마을 축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산의 정상부에 있는 편평한 바위. 가산의 정상부에 위치한 가산산성의 성벽 사이에는 높이 약 10m의 바위가 솟아 있다. 바위의 윗부분은 매우 평탄하며, 면적은 약 270㎡의 바위가 있다. 사방이 툭 틔어 주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바위에는 깊이 갈라진 구멍이 있는데, 신라의 고승(高僧) 도선(道詵)이 지기(地祇)를 다스리기 위해...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절터. 가산리 북창마을 서쪽 편 골짜기에서 과수원 방향으로 500m 가량 따라가면 완만한 평지가 나타나고 높이 1.5~2.0m 가량의 석축(石築)과 곳곳에서 초석(礎石)으로 추정되는 석재(石材)가 확인된다. 2~3단으로 조성된 것으로 평지 주변 여러 곳에 석축의 흔적이 있고, 주변에는 기와 조각들이 산재하고 있다. 석축의...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산성(山城). 칠곡 가산산성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98-1 외 11필지에 위치하는 조선 시대의 석축 산성으로 사적 제216호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산성은 해발 901.6m의 천험(天險)의 가산 골짜기를 이용하였고 내·중·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사대문지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서 팔공산 맑은 물을 이용하여 친환경농법으로 생산하는 쌀. 칠곡군 동명면에서 생산되는 가산산성쌀은 우렁이 농법과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한 맛좋은 쌀로서, 청결하게 자가 도정한 후 5℃ 이하의 저온창고에서 보관하여 신선하다. 2003년 경상북도 ‘우수브랜드 쌀’로 선정된 바 있으며,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쌀 작목반에서 생산한다. 가산산성쌀의...
-
경북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팔공산도립공원에 있는 야영장. 가산산성 야영장은 칠곡군청에서 1986년에 착공하여 1988년 1월 13일에 개장하였으며, 규모 33,037㎡에 하루 1,80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1991년부터 팔공산도립공원 관리사무소가 야영장을 통합 관리하고 있다. 야영장은 칠곡군 동명면 사거리와 군위군 부계면 사이의 순환도로를...
-
경상북도 칠곡군에 전해 오는 가산산성을 소재로 한 생활요. 1639~1640년(인조 17~8)에 처음으로 축성된 가산산성을 제재로 한 노래이다. 하지만 시대적 구분을 하면 최근의 가산산성이 제재가 된다. 옛터에 청사는 없고 장림만 남았다고 하면서도 현대적인 가산산성의 새로운 면모를 노래했다. 새로운 면모로 성곽은 중수되고 폐허된 사찰은 신축되었음을 들었다. 옛 것과 새...
-
조선시대 가산산성에 주둔한 군대의 군사훈련. 가산산성은 산골짜기를 이용하여 쌓은 석성(石城)으로, 내성은 1640년(인조 18), 외성(外城))은 1700년(숙종 26), 중성(中城)은 1741년(영조 17) 각각 완성하였고 칠곡도호부(漆谷都護府)를 설치하였다. 군사들은 봄, 가을마다 군사 훈련과 산성 축조에 동원되었다. 『국역 칠곡지』 「성지(城池)...
-
조선 후기 가산산성에 설치되었던 지역 방위제도. 가산진관은 가산산성에 설치되었던 지역 방위체제이다. 가산산성은 지금의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동명면 남원리에 걸쳐 있으며, 험준한 한 산지에 위치하고, 남북으로 대로와 접해 있어 내륙 방어의 요충지였다. 1640년(인조18) 내성을 쌓고, 1700년(숙종 26) 외성을 쌓았으며, 1741년(영조 17)에 중성을 쌓았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집과 가정의 수호를 위해 가신(家神)을 모시는 신앙. 마루에는 성주신, 부엌에는 조왕, 안방에는 조상신, 삼신, 집터를 지킨다는 터줏대감, 변소에 있는 측신 등이 있다. 집안을 지키는 신으로 먼저 성주신을 들 수 있다. 성주신은 집을 지켜 보호해 주는 가신 가운데 최고의 신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옮긴 뒤에 ‘성주받이(성주굿)’를 하고 성주를 받아들여...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 천주교회. 1895년 초대 본당 신부는 파리외방선교회의 빠이아스 가밀로(C. Pailhasse)[한국명 하경조] 신부이다. 가밀로 신부는 한국에 입국, 칠곡군 지천면 신나무골 근처에 천주교회를 세울 장소를 물색하던 중 낙동강 수로를 이용해서 쉽게 대구, 안동, 부산 방면으로 오고 갈수 있는 장소인 왜관읍 낙산리...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산의 정상부에 있는 편평한 바위. 가산의 정상부에 위치한 가산산성의 성벽 사이에는 높이 약 10m의 바위가 솟아 있다. 바위의 윗부분은 매우 평탄하며, 면적은 약 270㎡의 바위가 있다. 사방이 툭 틔어 주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바위에는 깊이 갈라진 구멍이 있는데, 신라의 고승(高僧) 도선(道詵)이 지기(地祇)를 다스리기 위해...
-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칠곡군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경상도를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상주의 옛 지명인 상락(上洛) 또는 낙양(洛陽)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과 가락국(駕洛國)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이 있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 화전동의 함백산(咸白山)[1,573m]...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고대 사회의 풍농제(豐農祭)에서 기원한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마련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가정 폭력 전문 상담 기관. 가정 폭력 상담소는 가정 폭력 피해자를 보호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서적 지원과 아울러 가정 폭력 예방 활동을 통해 건전한 가정생활을 정착시키고 여성의 인권을 회복시켜 평등하고 밝은 사회가 될 수 있도록 기여함에 그 목적이 있다. 2004년에 가정 폭력 상담소를 개소하였다. 교육...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천리(柯川里) 지역의 하천이 나뭇가지[柯]처럼 여러 갈래로 흐르고[川]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서북면(西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중산, 상지, 하지, 점촌, 남원 등을 병합하여 가천이라 하고 동명면(東明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가천리는 백운산(白雲...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금암천을 끼고 국도 5호선을 따라 동명에서 천평으로 가다 서쪽으로 가천교를 건너서 가천1리 삼거리에서 골안마을로 가다보면 꽤 넓은 곡간평야를 만나게 된다. 송정지와 머두지 사이에 남동쪽으로 돌출한 해발 195m의 구릉지 사면(斜面) 일대에 구덩식 돌덧널무덤 20여기가 있다. 돌덧널은 천석과 할석을 이용하여...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여러 종교들 중 하나로서 개신교와 대비하는 구교(舊敎). 천주교는 가톨릭교회라고도 한다. 여기서 ‘천주’라는 말은 ‘하느님’을 뜻하고, 가톨릭은 ‘보편적인’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카토리코스(katholikos)’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보편성은 모든 시대, 모든 사람들에게 유효하다는 뜻이다. 오늘날 세계 60억 인구대비 종교인 비율은 대략적으로 이...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각(內角) 마을과 봉산(鳳山) 마을의 끝 글자를 따서 각산(角山)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기산면(岐山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찰전, 내각, 외각, 서치, 봉산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각산이라 하고 칠곡군 약목면에 편입하였다. 1943년 약목면 동부 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고,...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녹리 고택은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의 고택으로 1900년대에 건립되었다. 각산리 녹동 서당 뒤편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노부부가 거주하고 있으며, 건물 구성은 본채와 사랑채, 사당 3동이다. 마을 뒤편의 야트막한 야산 산록에 터를 잡고 건물 배치는 전방에 ‘一’자형 사랑채와 그 뒤로 ‘ㄱ’자형...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수령 31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길...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와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의 경계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터. 기산면 각산리 산154-1번지 일대의 봉화산[높이 468.3m]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산리 봉수대 터는 장방형의 편평한 대지를 이루고 있으며, 하부에는 장대석을 쌓은 흔적이 남아 있다. 축대 및 다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각산리 봉수대는 문헌에...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수령 91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낙엽 교목이며 높이 30~60m, 지름 4m 안팎으로 수피는 회갈색이고 갈라진다. 잎은 부채 모양이고 길이 5~15㎝, 너비 8~15㎝로 차상맥을 가지며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인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녹황색이며 2가화로서 수꽃은 꼬리 모양의 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화경에 각각 2개씩...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와 성주군 월항면 용각리의 경계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터. 기산면 각산리 산154-1번지 일대의 봉화산[높이 468.3m]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산리 봉수대 터는 장방형의 편평한 대지를 이루고 있으며, 하부에는 장대석을 쌓은 흔적이 남아 있다. 축대 및 다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각산리 봉수대는 문헌에...
-
경상북도 칠곡군에 전해 오는 각설이패가 부르던 타령. 비기능요이자 유희요인 칠곡군의 「각설이타령」은 각설이패가 부르던 타령으로 장타령이라고도 한다. 옛날 거지나 문둥이들이 남의 집 앞이나 장터에서 손을 벌려 구걸할 때 부르던 잡가인데 비애가 서려 있는 타령조로 되었다. 대개 가사 한 자가 반 박자마다 규칙적으로 들어가는 4·4조의 노래로 일정한 형식 없이 목청껏 뽑아 부...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치원(致遠), 호는 간송(澗松). 함안조씨는 고려 통일에 큰 공을 세워 개국벽상공신으로 대장군에 오른 조정(趙鼎)을 시조로 삼고, 함안(咸安)에 세거하면서 본관을 함안으로 하였다. 생육신인 조려(趙旅)의 5대손이고 내헌(耐軒) 조연(趙淵)의 증손이다. 부인은 벽진이씨이다.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에 임명되었다. 경상북도...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쌀이 귀했을 때 먹었던 대용 식품 중 하나이다. 가뭄으로 인해 논·밭에서 곡식류를 얻을 수 없을 때 산으로 올라가 곡류에서 얻을 수 있는 전분으로 칡을 이용해 수제비를 끓이게 되었다. 칡은 다년생 식물로서 추위에도 얼어 죽지 않고 굵은 줄기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로 분류된다. 특히나 칡은 오래 전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 강장제 등 건강...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감태떡은 칠곡군의 전통음식 중 하나이다. 떡은 보통 멥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메밀가루, 보리가루, 귀리가루, 율무가루, 기장가루, 수수가루, 옥수수가루, 도토리가루 ,감자가루, 토란, 마가루, 차조가루, 밀기울 등이 주재료로 쓰이며 부재료에는 곡식류, 버섯, 채소, 과일, 꽃, 잎, 뿌리 감미료, 발색소, 부풀리는 재료 등이 있다. 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있는 이윤우가 강학했던 정사. 감호당은 조선시대 경성판관, 담양부사를 지내고 흥학에 힘쓴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1569~1634]가 매원마을의 자연 풍광에 매료되어 만년에 강학하며 거처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감호정사라고도 한다. 후에 아들인 이도장(李道章)[1607~1677]에게 물려주게 되었고, 이도장은 여기에 거처하며...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태관(泰觀), 호는 감호당(鑑湖堂).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 인천채씨이고, 부인은 양천허씨이다. 1607년(선조 40)에 태어나 경학(經學)으로 뽑히...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있는 이윤우가 강학했던 정사. 감호당은 조선시대 경성판관, 담양부사를 지내고 흥학에 힘쓴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1569~1634]가 매원마을의 자연 풍광에 매료되어 만년에 강학하며 거처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감호정사라고도 한다. 후에 아들인 이도장(李道章)[1607~1677]에게 물려주게 되었고, 이도장은 여기에 거처하며...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봉계리에 전해오는 호랑이를 죽였다가 도리어 곤장 맞은 채기준의 이야기. 칠곡군 왜관읍 봉계리 갓골에서 약 90년 전에 있었던 실화(實話)로서 구전된 것을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봉계리 갓골에 채기준(蔡基俊)이라는 농부가 오두막집에서 어렵게 살고 있었다. 서른 살이 넘어서야...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와 동명면 남원리의 경계에 있는 산. 팔공산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끝자락에 위치한 ‘가사산’ 즉 ‘갓(가장자리)산’이며, 가산으로 불린다. 한자는 음을 빌린 것이다. 가산은 7개 봉우리를 이루어 칠봉산(七峰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901.6m의 산으로, 지질은 동북부에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팔공산 화강암이 분포하며,...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죽전리에 있는 공공 체육 시설. 낙동강 둔치에 자연적으로 생겨난 평지에 주민들이 운동장으로 사용하였는데, 2003년 칠곡군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땅고르기[整地] 작업을 하고 체육 시설을 갖추었다. 4대강 사업 때 일시 건설업체에서 이용하였고, 공사가 끝난 후 2012년 새 시설로 준공하여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총 사업비는 1억 3...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 7리에 있는 자연 마을. 갱빈마을은 강변 모래밭에 마을이 형성되어서 이름을 갱변[江邊]으로 불리던 것이 갱빈으로 발음이 변화된 것이다. 갱빈은 왜관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강변 모래밭이라 사람들이 사는 집이 없었으나 3·1운동 직후 벽진이씨(碧珍李氏)들이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6·25전쟁 당시 과수원이었던...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강부사(姜府使)의 선정비.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다부원]에 있는 강부사(姜府使)의 선정비로 이암계의 자연석을 약간 다듬어 비문을 새겼다. 비석의 아래 부분은 담장에 묻혀 전체적인 형태 및 비문의 파악은 불가능하다. 비신의 중앙에 “부사강···(府使姜···)”이라는 비문이 확인되나 아래 부분은 확인할 수 없으며, 오...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문보(文輔).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온(姜榲)이며, 판서 문익공 이원정의 사위이다. 1651년(효종 2)에 태어나 1675년(숙종 1) 식년문과에 병과에 급제 벼슬은 병조좌랑·군수를 역임하였다. 1678년(숙종5) 군공(軍功)이 있어 당상관(堂...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주형(周亨),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기영(姜紀永)이고 어머니는 진보이씨, 부인은 옥산장씨이다. 1850년(철종 1)에 태어나 1900년(광무 4)에 원종(元宗)과 인헌왕후의 장릉(章陵) 참봉(參奉)에 임명되었다. 천성이 온화하고 성실하며 문학을...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태윤(泰允), 호는 운사(雲史).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 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호영(姜灝永)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 부인은 청주정씨이다. 1849년(헌종 15)에 태어나서 1873년(고종 10)에 문과에 급제하여 종6품 정언(正言)을 역임하고, 벼슬은 정5품 지평(持平)까...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을 진주(晉州). 자는 성윤(聖允), 호는 혜사(蕙社). 백하(白下) 강의영(姜宜英)의 아들이다. 1890년(고종 27)에 명경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를 제수 받았고 그 후 여러 요직을 역임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되자 1905년(광무 5) 1월 동지들과 일본 공사관에 공개장을 보내어 불법을 지적하고 규탄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죽전리 낙동강변에 있던 나루터. 기산면 죽전리에 자연마을인 강정마을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고, 마을 뒷산 봉양서원(鳳陽書院)에 정자가 있었기에 마을 이름을 강정(江亭)으로 지었으므로 나루터의 이름도 강정나루터라고 불렀다. 일제강점기 강 건너의 왜관나루터와 마주하면서 나룻배로 화물이나 사람을 부리는 곳이다. 낙동강을 건너는 다리...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죽전리 낙동강변에 있던 나루터. 기산면 죽전리에 자연마을인 강정마을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고, 마을 뒷산 봉양서원(鳳陽書院)에 정자가 있었기에 마을 이름을 강정(江亭)으로 지었으므로 나루터의 이름도 강정나루터라고 불렀다. 일제강점기 강 건너의 왜관나루터와 마주하면서 나룻배로 화물이나 사람을 부리는 곳이다. 낙동강을 건너는 다리...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서 낙동강에 이르는 하천. 강정천은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합류 지점 인근의 마을 명칭에서 유래한다. 합류지점에는 강정나루터와 강정마을이 있다. 기산면 각산리 비룡산(飛龍山)[578m]에서 발원한 후 남쪽으로 흘러 각산교에서 내각천과 합류하고, 동쪽으로 흐르면서 질매재에서 발원한 소하천을 합류한 후 서원천(書院川)이 된다....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충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여익(汝翼), 호는 조수(釣叟).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기헌(寄軒) 강해(姜楷)의 현손(玄孫)이다. 1866년(고종 3)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도 탄압으로 인하여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에 침입하여 조정에서 군사를 출정시킬 때 원수(元帥)의 천거로 참모가 되었다. 군...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현(士鉉), 호(號)는 학린(鶴隣).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 통계(通溪) 강회중(姜淮仲)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태준(姜台俊)이고, 어머니는 광주이씨, 부인은 오천정씨이다. 1834년(순조 34)에 태어나서 1882년(고종 19)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의 종6품 벼슬...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3리 강진마을의 동제. 강진마을에서 모시는 동제로 산신제와 당제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뒷산에 산신당이 있고, 마을 앞에 당나무인 떡 버들나무가 있다. 상당은 금오산 자락의 마을 북쪽 소나무 숲에 산신을 모시는 제단이 있으며, 하당은 골맥이 당으로서 남쪽의 마을 입구에 떡 버드나무로 된 당나무가 있다. 제관은 정월 초엿새나 초이레에...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성지(誠之), 호(號)는 경암(敬菴).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강해(姜楷)이다. 1721년(경종 1)에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출생하였다. 1753년(영조 29)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며, 집안에서 형 강필근(姜必謹)과 같이 실학(實...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경(思卿), 호는 모헌(慕軒).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모(姜模)이다. 1687년(숙종 13)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출생하였다. 채팽윤(蔡彭胤)의 문인으로 1713년(숙종 3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718년(숙종 44)에 정시문과 병과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계범(季範), 호는 기헌(寄軒).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부사(府使)를 지낸 강석로(姜碩老)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여 제릉(齊陵) 참봉(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타고난 자질이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나 있으면서도 뛰어났다.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에...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에 전해오는 개가 주워 온 돌로 부자가 된 이야기.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에 전해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 점골마을에 가난하게 살아가는 박명오(朴明五)라는 사람이 있었다. 박명오는 누런 개 한 마리를 길렀는데, 이상하게도 개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경칩 날에 개구리 알을 먹는 풍속. 경칩(驚蟄)은 글자 그대로 동면에 들었던 동물이나 벌레들이 깨어나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절기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 무렵에 개구리들이 봄을 맞아 논이나 물이 괸 곳에 알을 많이 까놓는데,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고 몸에도 좋다고 해서 알을 건져 먹는 풍속이 있다. 경칩에 개구리알을 먹는 풍속은 우선 표면적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산의 정상부에 있는 편평한 바위. 가산의 정상부에 위치한 가산산성의 성벽 사이에는 높이 약 10m의 바위가 솟아 있다. 바위의 윗부분은 매우 평탄하며, 면적은 약 270㎡의 바위가 있다. 사방이 툭 틔어 주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바위에는 깊이 갈라진 구멍이 있는데, 신라의 고승(高僧) 도선(道詵)이 지기(地祇)를 다스리기 위해...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로마 가톨릭에서 분리하여 성립된 그리스도교의 분파. 개신교는 캘빈의 장로교, 웨슬레의 감리교를 축으로 그 교세를 확장시켜 나갔다. 성서 해석상에 있어 개신교는 일치된 교리로서 교권 해석을 원칙으로 하는 로마 가톨릭에 비해 양심의 자유를 원칙으로 다양한 신학적 해석을 허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신교는 자유로운 신앙적 선택을 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에 전해오는 개가 주워 온 돌로 부자가 된 이야기.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에 전해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 점골마을에 가난하게 살아가는 박명오(朴明五)라는 사람이 있었다. 박명오는 누런 개 한 마리를 길렀는데, 이상하게도 개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개고기로 만든 보양 향토 음식. 보신탕은 개장, 개장국, 구장(狗醬), 지양탕(地羊湯)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칠곡에는 보신탕이 유명하여 전통이 오래된 보신탕집이 많다. 옛날부터 여름 더위가 가장 심했던 삼복(초복·중복·말복)에 개고기를 주로 먹었다. 특히 삼복 날에 먹었던 것은 음양오행설에서 개고기는 화(火), 복(伏)은 금(金)에 해당하여 더운 성...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개고기로 만든 보양 향토 음식. 보신탕은 개장, 개장국, 구장(狗醬), 지양탕(地羊湯)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칠곡에는 보신탕이 유명하여 전통이 오래된 보신탕집이 많다. 옛날부터 여름 더위가 가장 심했던 삼복(초복·중복·말복)에 개고기를 주로 먹었다. 특히 삼복 날에 먹었던 것은 음양오행설에서 개고기는 화(火), 복(伏)은 금(金)에 해당하여 더운 성...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객귀들림’을 치유하기 위한 민간의료 행위. ‘객귀들림’은 잡귀신이 몸에 들어와서 앓는 병으로 칠곡 지역에서는 ‘객구들었다’ 또는 ‘객귀들었다’라고 한다. 객귀가 들면 하품과 기지개를 자주 한다고 한다. 점을 쳐보거나 생콩을 씹어도 비린내가 나지 않으면 객귀가 들었으므로 ‘객귀물리기’를 한다. 찬물에 오곡밥, 소금, 고추 등을 뒤섞어 담은 바가지와 식...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 7리에 있는 자연 마을. 갱빈마을은 강변 모래밭에 마을이 형성되어서 이름을 갱변[江邊]으로 불리던 것이 갱빈으로 발음이 변화된 것이다. 갱빈은 왜관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강변 모래밭이라 사람들이 사는 집이 없었으나 3·1운동 직후 벽진이씨(碧珍李氏)들이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6·25전쟁 당시 과수원이었던...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 7리에 있는 자연 마을. 갱빈마을은 강변 모래밭에 마을이 형성되어서 이름을 갱변[江邊]으로 불리던 것이 갱빈으로 발음이 변화된 것이다. 갱빈은 왜관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강변 모래밭이라 사람들이 사는 집이 없었으나 3·1운동 직후 벽진이씨(碧珍李氏)들이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6·25전쟁 당시 과수원이었던...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국시기는 갱죽이나 갱시기라고도 부른다. 지역에 따라서는 갱식이, 김치죽이라고도 하는데, 칠곡 지역에서는 대체로 갱죽이라 많이 부른다. 국시기는 대부분 서민 가정에서 1970년대 이전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에, 많은 식구들의 끼니를 때울 때 흔히 해먹던 음식이다. 당시 식구는 많고 양식은 부족했다. 그래서 양식을 조금이나마 절약하기 위해 남...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국시기는 갱죽이나 갱시기라고도 부른다. 지역에 따라서는 갱식이, 김치죽이라고도 하는데, 칠곡 지역에서는 대체로 갱죽이라 많이 부른다. 국시기는 대부분 서민 가정에서 1970년대 이전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에, 많은 식구들의 끼니를 때울 때 흔히 해먹던 음식이다. 당시 식구는 많고 양식은 부족했다. 그래서 양식을 조금이나마 절약하기 위해 남...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국시기는 갱죽이나 갱시기라고도 부른다. 지역에 따라서는 갱식이, 김치죽이라고도 하는데, 칠곡 지역에서는 대체로 갱죽이라 많이 부른다. 국시기는 대부분 서민 가정에서 1970년대 이전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에, 많은 식구들의 끼니를 때울 때 흔히 해먹던 음식이다. 당시 식구는 많고 양식은 부족했다. 그래서 양식을 조금이나마 절약하기 위해 남...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찹쌀 죽에 메줏가루와 고춧가루, 절인 야채를 넣고 숙성시켜 만든 속성 장(醬). 집장은 된장처럼 여러 달 발효시키는 것이 아니고 담가서 바로 먹는 속성장(速性醬)의 일종이다. 보통 콩과 밀을 혼합하여 띄워 메주를 만들고 이것을 가루 내어 소금과 버무린 다음 항아리에 담아 고온에서 띄우는데, 항아리의 입구를 기름종이로 단단히 봉하고 겉을 진흙으로 고루...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의 금산리·낙산리와 지천면의 금호리에 걸쳐 있는 산. 검은 산이란 뜻으로 거무산이라 부르다가 금무산이 되었다. 해발고도 286.4m의 산으로, 중생대 백악기의 역암과 셰일, 사암 등으로 구성된 낙동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흑색 셰일층은 2매로 나타나는데 부분적으로 탄화되어 있다. 산지는 대체로 완만한 구릉성을 보이나 주변에서는 가장 높은 산지이다. 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태린(太隣), 호는 거연재(居然齋).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만회당 장경우(張慶遇)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증 호조참판(贈 戶曹參判) 장한경(張漢經)이다. 어머니는 팔거도씨, 부인은 월성최씨이다. 정조(正祖) 때 무과에 급제하...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거원(巨原), 호는 삼우당(三優堂).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한다.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의 아들이다. 여...
-
경상북도 칠곡군 보건소에서 매년 10월 실시하는 건강 관련 예술제. 지역민들에게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올바른 영양 섭취, 몸에 알맞은 운동을 실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내용으로 글짓기, 만화, 표어 등을 공모하여 시상도 하고 전시회도 가졌다. 전문 무용 학원 강사를 초청하여 에어로빅, 고전 무용, 재즈 댄스, 기체조, 스포츠 댄스 등을 통해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게 하였...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 위치한 조선시대 봉수대 터. 조선시대 선산과 칠곡 사이에 위치한 인동 지역에 건대산 봉수대가 있었다. 산명(山名)이 『비국등록(備局謄錄)』에는 건대산(件岱山),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건대산(件臺山) 등으로 다르게 등재되어 있다. 일명 봉화산(烽火山)이라고도 한다. 인동(仁同) 지역은 조선시대에 선산과 칠곡 사이의 작은 현이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와 지천면 심천리 사이에 있는 산. 팔공산에서 가산으로 이어진 산줄기가 소야고개와 백운산을 지나 건령산으로 이어진다. 해발고도 521.6m의 산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낙동층군에 속하는 하산동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산동층은 역암이나 알코스사암, 붉은 색 셰일(shale)로 구성되어 암설(巖屑) 생산이 많은 편이다. 동명면 송...
-
경상북도 칠곡군에 산재하는 다양한 건축 역사와 현황. 칠곡군 내의 건축은 전통적 재료와 구조·형태로 지어진 주거·사찰·유교·누정 등의 건물과 철근·콘크리트·벽돌 등의 자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조, 조적조 등의 현대식 건물이 공존하고 있다. 전통 주거 건축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45호로 지정된 묵헌 종택,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지정된 해은 고택...
-
조선 중기의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입보(立甫), 호는 검곡(儉谷).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장령 장수(張脩)의 후손이며 통정대부 장사영(張士瑛)의 차자이다. 어머니는 한산이씨, 부인은 풍천임씨이다. 1573년(선조 6)에 태어나 여헌(旅軒) 장현광의 문인으로 품성이 깊고...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견거(見擧), 호는 기촌(岐村).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고려 충신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이고 참의 장곤(張崑)의 아들이다. 문장이 뛰어나 15세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선생에게 시(詩)로서 인정을 받으니, “서수천년(西狩千年)에 도(道)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재실. 노산(盧山) 조사(趙篩)를 추모하기 위해 한양 조씨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노산 조사의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묵언(黙言), 호는 노산이다. 매설헌(梅雪軒) 선생의 둘째 아들로서 매죽헌(梅竹軒) 선생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칠곡군 왜관읍 금산리 야득 마을에 있다. 경모재는 정면 3칸, 측면...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에 있는 재실. 벽진 이씨(碧珍李氏) 이경진(李景鎭)을 추모하기 위해 1960년에 후손들이 지은 재실이다. 이경진은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의 아들로 1617년(광해군 9)에 태어났다. 학덕(學德)이 있어 사림의 존경을 받았으며, 예빈시 첨정(禮賓寺僉正)을 지냈다. 그 후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하여 청렴 검소하게 지내니 사림에서...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 간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 1971년 8월 31일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 간 고속 도로[고속 국도 1호선]로 지정되었다. ‘서울~부산 간 고속도로’에서 ‘서울~부산 간’을 ‘경부(京釜)’로 약칭하여 경부 고속 도로(京釜高速道路)라고 하였다. 경부 고속 도로는 서울~부산 간 총연장 416.04㎞이다. 대구·경상북도 구간은 15...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 간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 1971년 8월 31일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 간 고속 도로[고속 국도 1호선]로 지정되었다. ‘서울~부산 간 고속도로’에서 ‘서울~부산 간’을 ‘경부(京釜)’로 약칭하여 경부 고속 도로(京釜高速道路)라고 하였다. 경부 고속 도로는 서울~부산 간 총연장 416.04㎞이다. 대구·경상북도 구간은 15...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므로 경부고속철도(京釜高速鐵道)라고 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의 서울역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에 이르는 코레일(KORAIL)의 고속철도 노선이다. 2011년 현재 총연장은 423.8km이며, 이중 칠곡군의 구간은 약 25㎞이다. 전 구간 2선로...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므로 경부고속철도(京釜高速鐵道)라고 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의 서울역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에 이르는 코레일(KORAIL)의 고속철도 노선이다. 2011년 현재 총연장은 423.8km이며, 이중 칠곡군의 구간은 약 25㎞이다. 전 구간 2선로...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일반 철도. 서울과 부산을 철도로 연결하므로 경부선(京釜線)이라고 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의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을 잇는 코레일(KORAIL)의 간선철도이다. 서울~구로 간은 6선로, 구로~천안은 4선로, 천안~부산은 2선로이다. 총연장 445㎞ 중 칠곡군의 구간은 31.1㎞이다. 190...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일반 철도. 서울과 부산을 철도로 연결하므로 경부선(京釜線)이라고 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의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을 잇는 코레일(KORAIL)의 간선철도이다. 서울~구로 간은 6선로, 구로~천안은 4선로, 천안~부산은 2선로이다. 총연장 445㎞ 중 칠곡군의 구간은 31.1㎞이다. 190...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박애 정신에 투철하고 예절 바른 생활인으로서 겨레와 인류에 공헌할 창조적 전문인을 육성한다. 교훈은 ‘우리는 창조한다’이다. 1991년 1월 24일에 동국 교육 재단 설립 인가를 받고 설립자인 정하상이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92년 12월 11일에 총 7개 학과에 520명으로 동국 전문 대학 설립 인가를 받...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경사(敬思).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진사 이덕부(李德符)의 손자이고 송암 이원경(李遠慶)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문화유씨, 부인은 경주최씨이다. 1569년(명종 1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예서(隸書)를 잘 쓰...
-
경상북도 칠곡군의 경북 과학 대학교 부설 연구소로 국내 최초 포장재 관련 전문 시험 연구소. 경상북도 신기술 포장 연구 센터는 포장 산업의 기술 혁신과 실용화를 통한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상북도와 경북 과학 대학이 협력하여 만든 연구소이다. 지역 내 포장 제조업체와 사용업체에 대한 포장 및 물류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교육·연구의 활성화를...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지체 장애인의 복지와 권익 향상을 위한 사회단체.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하고 있는 경상북도 지체 장애인 협회는 1987년 11월 16일 한국 지체 장애인 협회 경북 지부로 창립하였다. 1996년 8월 1일 경상북도 지체 장애인 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각종 상담을 통한 조사·연구 사업, 실질적인 장애인 복지를 위한 교류,...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교육과 학예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교육 행정 기관. 교육 자치 제도가 발족하기 이전에는 군수가 관내의 교육 전반을 통괄하여 왔으나, 1949년 12월 31일에 법률 제86호로 교육법이 제정·공포되고 1952년 4월 23일 대통령령 제633호로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됨에 따라 교육 자치제 시행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195...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도립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칠곡도서관(구 경상북도립 칠곡 공공 도서관)은 1984년 12월 22일 「칠곡군 공공 도서관 설치 조례」가 공포되고, 1985년 7월 18일에 칠곡군 공공 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1년 3월 25일에 경상북도립 칠곡 공공 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3년 3월 1일에 경상북도 평생 학습관으...
-
경상북도 칠곡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경수(敬修), 호는 우봉(愚峰). 신라 20대 자비왕(慈悲王) 때의 사람인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남평문씨이다. 병부상서(兵部尙書) 문공유(文公裕)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경상순중군(慶尙巡中軍)을 지낸 기헌(羈軒) 문관도(文貫道)이다. 1594년(선조 27) 무과에 급제, 1597년 정유재란 때 전공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조선 후기 양반 주택. 지붕의 망와에 ‘청 건륭 49년(1784)’ 또는 ‘도광(道光)’이라고 명문을 새긴 것이 있어 18세기 말에 처음 지은 후 19세기 중엽에 수리했음을 알 수 있다. 중사랑채 동측 토석담을 ‘담양담’이라 하는데, 이는 담양부사(潭陽府使)를 지낸 석담 이윤우의 선정(善政)에 보답하기 위해 담양 사람들이 와서 담을 쌓은데...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숙(景淑), 호는 봉하(鳳下).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신씨이며 조선 개국공신 제정공(齊靖公) 신효창(申孝昌)의 후손으로 진정공(眞靜公) 신우덕(申祐德)의 넷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벽진이씨, 부인은 문화류씨이다. 1619년(광해군 11)에 태어났으며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었다. 16...
-
조선 중기 칠곡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숙(經叔), 호는 청천당(聽天堂).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월포 장현도(張顯道)의 아들이나 출계(出系)하여 문강공 장현광(張顯光)의 후사(後嗣)가 되었다. 어머니는 성산이씨, 부인은 야성송씨이다. 한강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62...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있는 일제강점기 재실. 본관이 인동(仁同)인 심곡(深谷) 장제원(張悌元)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로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하리에 위치하고 있다. 재실은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은 중앙의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다. 전면에는 반칸 규...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안(景安), 호는 기산(岐山).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송은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으로 진사 장신손(張信孫)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휴암 장항(張沆)이다. 북삼읍 율리의 입향조이며, 어머니는 울산박씨, 부인은 강릉최씨이다. 일찍이 학업을 폐하...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문흠(文欽), 호는 경암(景菴).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이며 문성왕(文聖王)의 8세손인 김선궁(金宣弓)을 시조로 하는 선산김씨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농암(籠巖) 김주(金澍)이다. 1550년(명종 5)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참봉을 역임하고 전주판관을 지냈다. 이와 같은 사실이 『대구지』에 기록이 있으며, 칠곡군 칠곡읍[현 대구...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성지(誠之), 호(號)는 경암(敬菴).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강해(姜楷)이다. 1721년(경종 1)에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출생하였다. 1753년(영조 29)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며, 집안에서 형 강필근(姜必謹)과 같이 실학(實...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있는 일제 강점기 재실. 본관이 창녕(昌寧)인 둔암(遯庵) 조시보(曺時保)를 추모하기 위해 창녕조씨의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현판에 경암(景庵)이라 쓰여 있는데 둔암 선조를 사모한다는 뜻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골북실에 있다. 경암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 반 규모의 ‘ㄇ’자형 재실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바위 마을에 있는 조선 말기 재실. 귀바위마을을 개척하고 문중을 일으킨 광주인 귀암 이원정을 경모해 지은 건물이다. 도내의 유림들이 계를 모아 1903년에 건립했다. 왜관읍에서 서쪽으로 1㎞가량 떨어진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바위 마을 동단부에 위치한다. 평면 구성은 좌측 2칸은 온돌방, 우측 2칸은 마루로 서로 대칭되...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앙(景仰), 호는 학거(鶴渠).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이며 장신손(張信孫)의 손자로 휴암(休巖) 장항(張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울산박씨, 부인은 성산이씨이다. 1561년(명종 16)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율리에 있는 서당. 경양 서당은 본관이 인동인 기산 장압 선생의 위패를 모신 경양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1871년(고종 8)에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후에 후손들이 뜻을 모아 1903년에 경양 서당으로 중건했으며 중건기문은 1907년에 완성되었다. 당호는 경수양지(鏡水陽地)에 자리 잡았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 현재 내부에는 ‘경양...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율리에 있는 서당. 경양 서당은 본관이 인동인 기산 장압 선생의 위패를 모신 경양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1871년(고종 8)에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후에 후손들이 뜻을 모아 1903년에 경양 서당으로 중건했으며 중건기문은 1907년에 완성되었다. 당호는 경수양지(鏡水陽地)에 자리 잡았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 현재 내부에는 ‘경양...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오(敬五), 호는 긍재(兢齋).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진사 장원표(張源杓)의 아들이다. 조모가 등창을 앓고 어머니가 병을 얻자 환부(患部)를 빨아서 낫게 하였다. 아버지가 중풍으로 투병하는 11년 동안 치료를 위해서 수레에 모시고...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에 있는 재실. 경오재(景梧齋)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목숨을 걸고 싸운 숭고한 구연우(具連佑)[1545~1598]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1959년에 지은 재실이다. 구연우는 능성 구씨(綾城具氏)로 자는 성유(聖維), 호가 오은(梧隱)이다. 구영림(具永林)의 아들로 종장(宗丈) 백담(栢潭)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2년...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경옥(景玉).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귀암 이원정의 손자이고, 교리 이한명(李漢命)의 이들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 부인은 부림홍씨이다. 1693년(숙종 1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
고려시대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원서(元瑞), 호는 경와(敬窩). 단양우씨(丹陽禹氏)는 우현(禹玄)의 6세손인 시중공(侍中公) 우중대(禹中大)가 단양을 본관으로 삼아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따라서 단양우씨는 우중대 이후 단양을 관향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는 후손으로 성담(星潭) 우용(禹鏞)의 증손이다. 경전(經典)의 뜻에 깊이 밝아 향리에서 인...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윤(景胤), 호는 송설헌(松雪軒), 시호는 안양(安襄). 1305년(충열왕 31)에 등과하여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에 이르고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진 인동장씨 장계(張桂)의 후손이다. 장계는 인동현의 남쪽 발영전(拔英田)에 터를 잡아 인동을 본관으로 정했다. 1459년(세조 5)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1463년(세조...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인(景仁), 호는 송와(松窩).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송은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으로 진사 장신손(張信孫)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휴암 장항(張沆)이다. 어머니는 울산박씨, 부인은 경주김씨이다. 송정(松亭) 최응룡(崔應龍)의 문인...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정선. 자는 경일(敬一), 호는 우헌(寓軒). 충렬공 전이갑(全以甲)의 후손이고 교리(校理) 전순동(全順童)의 아들이다. 선조(宣祖) 때 통례원(通禮院) 찬의(贊儀)를 지냈다. 1592년(선조 25)에 의병을 일으켜 참군(정 7품의 벼슬)이 되어 관인진(觀仁陣)을 지키니 왜적이 감히 쳐들어오지 못하였다. 서애(西厓) 유성룡이 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장(景藏), 호는 사오(四吾). 고려시대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신씨 후손으로, 현재 칠곡에 살고 있는 평산신씨 대부분은 조선 개국공신 제정공(齊靖公) 신효창(申孝昌)의 후손이다. 증 참판 신우덕(申祐德)의 아들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출신으로 1611년에 출생하였다. 여헌 장현광...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재화·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산업 활동. 경제란 생산 수단과 인간의 노동을 통해 한정되어 있는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이를 분배·소비하는 데 관련한 행동 및 질서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이다. 산업은 이러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공급하는 사업 전반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농업, 공업, 수산업, 광업 등을 지칭하나 넓게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상공인의 이익을 대변하고 정부 관련 부서와의 협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체. 경제 단체는 주로 재계(財界) 혹은 상공인들의 이익을 대변하여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 회원사들의 이익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일반적으로 경제 단체는 협회·연합회, 중앙회 등으로 지칭되는 단체들이다. 단체들은 광역 혹은 기초단체 별로 형성되기도 하고 혹은 전국 단위...
-
김알지를 시조로 하고 김정하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신라 천년 사직의 38왕 587년 동안 신라를 다스려온 성씨이다. 경주김씨들은 대부분 영분공파(永芬公派) 1세조(世祖)인 김명종(金鳴鐘)과 넷째 대안군파(大安君派) 1세조(世祖) 김은설(金殷說)과 고려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김순웅(金順雄)을 중시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경준(景準), 호는 낙성(洛醒). 고려 명종 때 덕풍호장을 지낸 이존술(李存述)을 시조로 하는 덕산이씨의 후손으로 중시조 이유(李愉)의 후손들이 숙종 때 역모(逆謀) 가문이란 누명을 벗고 증 예조참의로 추서되기까지 성(姓)을 숨기고 살았다. 팔공산 자락의 큰 산줄기만 맴돌며 가장 깊숙한 산골짝만 골라 왜관읍 봉계리, 지천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집(經執), 호는 무명재(無名齋).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광산김씨 후손으로 적암(適菴) 김동준(金東俊)의 손자이고, 김도익(金道翼)의 아들이다. 1736년(영조 12)에 태어났다. 총명(聰明)이 무리에서 뛰어났고 문장이 기고(奇古)하여 작가(作家)의 체(體)를 전해 얻었다. 남긴 문집이 있다고 전하며, 칠곡군 지천...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징(景澄). 고려 장절공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신씨의 후손으로, 칠곡에 거주하는 평산신씨는 조선 개국공신 제정공(齊靖公) 신효창(申孝昌)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진정공 신우덕(申祐德)이고, 어머니는 벽진이씨, 부인은 성주이씨이다. 1602년(선조 35)에 약목에서 태어나 인조 14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남한산성으로...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첨(景瞻), 호는 관수재(觀水齋). 육부촌장 지백호(知伯虎)의 후예로 안일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나 세계(世系)가 확실하지 못하여 정지원(鄭之遠)을 1세로 하고 정절공파 18세 정여강(鄭汝康)의 아들 양졸재 정수(鄭錘)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동래정씨 후손이다. 이용당(易容堂) 정한필(鄭翰弼)의 아...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0년 1월 10일 칠곡군 왜관면 왜관동에서 태어났다. 1936년 왜관에서 동지구락부(同志俱樂部) 부원으로 활동하면서 사회주의 계몽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주력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36년 6월 비밀결사 동지구락부 부원으로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펼쳤다. 동지구락부는 국내에 민족의식과 사회주의를 확산시키기 위해 조직된...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에 있는 재실. 경탄재는 송지관을 추모하는 재실이다. 송지관(宋志寬)의 본관은 야성(冶城)으로 자는 원여(元汝)이고 호는 벽탄(碧灘)이다. 송지관은 한성부 주사(漢城府 主事)를 지내면서 못살아 궁핍한 사람에게 베풀기를 기뻐하고 없는 사람을 구제하는데 힘을 다하였다. 아들 송득재(宋得載)가 1970년경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로...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여헌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며, 사인(士人) 장굉(張浤)의 장자(長子)이나 백부(伯父) 장관에게 출계(出系)하여 후사(後嗣)가 되었다. 어머니는 동래정씨, 부인은 인천채씨이다....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덕산리를 거쳐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부상리의 능밭재 동사면에서 발원한 후 동쪽으로 흘러 남북지(南北池)에 이른 후, 금오산 동쪽 산줄기의 도수령[469.6m] 남사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는 소하천과 영암산(鈴岩山)[782m]·선석산[742.4m]의 북사면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소하천을 합류한 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경홍(景弘), 호는 석천(石泉). 송유익(宋惟翊)을 시조(始祖)로 세계를 계승하고 있는 여산송씨로 칠곡군 북삼읍 오평리와 율동에 400여년 전 단종(端宗) 폐위로 낙향한 과암(果庵) 송찬(宋瓚)의 6세손이며 참판 송기(宋麒)의 아들이다. 여헌(旅軒) 장현광의 문인으로 평소 기우가 장하고 담력이 있어 1592년 임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사양 서당의 강당 건물. 사양 서당의 강당인 경회당(景晦堂)은 1985년 8월에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17호로 지정되어 있다. 경회당은 단정한 형태의 이익공계 맞배집으로,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규모이다. 평면은 가운데 3칸의 넓은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온돌방을 둔 형태로, 대청은 유생을 가르치는 공간으로, 좌우 온돌방...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계도(季度).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進士)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이중진(李重鎭)이며 어머니는 광산김씨, 부인은 안동권씨이다. 1653년(효종 4)에 태어나 1682년(숙종 8)에 증광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계범(季範), 호는 기헌(寄軒).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부사(府使)를 지낸 강석로(姜碩老)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여 제릉(齊陵) 참봉(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타고난 자질이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나 있으면서도 뛰어났다.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에...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곡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인동(仁同)인 장원(張原)을 추모하기 위해 인동 장씨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로서 옥산 남쪽의 낙동강 동편의 성곡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계산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은 홑처마집이다. 평면 구성은 중앙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1칸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상삼(象三), 호는 계은(溪隱). 사육신(死六臣) 충정공(忠正公)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으로 달성군 하빈면 묘동에서 칠곡군 이언으로 이거한 칠곡 입향조 박숭의(朴崇義)의 후손이다. 1880년(고종 17)에 생원시에 합격했는데, 사마방목(司馬榜目) 전교(傳敎) 중에 ‘박오현(朴五鉉)은 충정공 박팽년의 후손인 까닭으로 특별히 풍...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충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계직(季直), 호는 송연(松淵).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절충장군 이말정(李末丁)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생원 이주남(李柱南)의 아들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여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토벌하다가 전투 중에 세상을 떠났다. 완정 이언영(李彦英)이 제문(祭文)에서 “출중한 기개와 도량...
-
경상북도 칠곡군의 마을에서 마을로 통하는 산줄기의 낮은 부분. 고개는 영(嶺), 치(峙), 현(峴), 재, 티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고개는 산줄기로 가로막힌 두 지역들 간의 교류를 원활하게 해 주는 통로 구실을 하므로, 최근에는 활발한 교류를 위하여 터널을 건설하기도 한다. 큰 고개는 큰 산줄기로 가로막혀 있는 읍면을 잇는다. 팔공산에서 가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 동...
-
경상북도 칠곡군의 전통적 건축 역사와 현황. 고건축이란 전통사회에서 형성 발달해온 건축을 말한다. 한국의 고건축은 시간적으로 조선 말기까지의 전통사회에서 지었던 건축을 말하며, 공간적으로는 우리 민족이 활동했던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건축을 지칭한다. 고건축은 각 시대의 사상, 종교, 정치제도 등의 인문·사회적 배경 및 기후, 지형, 산출 재료 등의 자연...
-
경상북도 칠곡군의 전통적 건축 역사와 현황. 고건축이란 전통사회에서 형성 발달해온 건축을 말한다. 한국의 고건축은 시간적으로 조선 말기까지의 전통사회에서 지었던 건축을 말하며, 공간적으로는 우리 민족이 활동했던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건축을 지칭한다. 고건축은 각 시대의 사상, 종교, 정치제도 등의 인문·사회적 배경 및 기후, 지형, 산출 재료 등의 자연...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역 앞 골목에 있는 전통 순대 국밥집. 고궁순대는 3대에 걸쳐 50년 동안 전통의 맛을 이어온 순대국밥집이다. 고궁식당의 순대국밥은 정갈하게 손질한 암퇘지의 머리 고기와 엄선된 내장을 사용 하는데, 신선한 재료를 매일 대구에서 가져와 소금을 이용해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만들어 낸다. 그리고 특히 국물은 돼지 사골만을 이용해 만드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역 앞 골목에 있는 전통 순대 국밥집. 고궁순대는 3대에 걸쳐 50년 동안 전통의 맛을 이어온 순대국밥집이다. 고궁식당의 순대국밥은 정갈하게 손질한 암퇘지의 머리 고기와 엄선된 내장을 사용 하는데, 신선한 재료를 매일 대구에서 가져와 소금을 이용해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만들어 낸다. 그리고 특히 국물은 돼지 사골만을 이용해 만드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해진 그림판에 위에 말을 움직여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고누 두기’, ‘꼰 두기’라고 한다. 대개 땅에 말밭(고누판)을 그리고 돌멩이나 나무토막으로 말을 삼아 상대편의 말을 다 잡거나 집을 차지하면 이긴다. 한자로 ‘지기(地朞)’라고도 한다. 장기, 바둑의 원초적 형태라 할 수 있다. 우물고누, 호박고누, 5발고누, 바퀴고누, 참고누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해진 그림판에 위에 말을 움직여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고누 두기’, ‘꼰 두기’라고 한다. 대개 땅에 말밭(고누판)을 그리고 돌멩이나 나무토막으로 말을 삼아 상대편의 말을 다 잡거나 집을 차지하면 이긴다. 한자로 ‘지기(地朞)’라고도 한다. 장기, 바둑의 원초적 형태라 할 수 있다. 우물고누, 호박고누, 5발고누, 바퀴고누, 참고누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중학교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일제 강점기의 칠곡군 관내에는 초등 교육 기관인 왜관 공립 보통학교를 출발점으로 읍과 면 단위로 공립 보통학교, 심상소학교, 간이 학교 등이 설립되어 초등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중등 교육 기관은 하나도 없었다. 광복 이후 1946년 5월 23일 사립 학교인 순심 여자 초급 중학교 인가가 중등 교육...
-
경상북도 칠곡 지역의 고려시대 역사. 고려시대 초에 수동현(壽同縣)이 인동현(仁同縣)으로, 계자현(谿子縣)이 약목현(若木縣)으로, 팔리현(八里縣)이 팔거현[八居縣이 후에 八莒縣]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인동현은 940년(고려 태조 23)에 주군현(州郡縣) 개편 때 수동현(壽同縣)이 인동현(仁同縣)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생겨났다. 1018년(현종 9) 경산부(京山府)[현재 경...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남창마을에서 음력 3월 삼짇날 행하는 점풍(占豊). 세시풍속은 옛날부터 해마다 관례(慣例)로서 행하여지는 전승적인 행사로 각 달마다 그에 해당하는 세시풍속이 있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 주기와 맞게 세시풍속이 행해져 오는데 보통 농번기 보다는 농한기에 마을 사람들의 단결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많은 세시풍속과 민속놀이가 있다. 경상북도...
-
경상북도 칠곡군에 전해 오는 칠곡군과 관련된 문서와 서책. 고문헌(古文獻)은 일반적으로 문서와 서책을 말하나, 본래는 문(文)은 문서와 서책을 뜻하고, 헌(獻)은 학자들이나 현자(賢者)들의 증언을 뜻한다. 지금은 문서와 서책을 통칭하여 문헌이라 말하고 있다. 고문헌의 종류를 크게 세가지로 분류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라에서 내린 교지(敎旨), 각종의 소원서,...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무덤. 지금까지 칠곡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분군은 왜관읍의 매원리, 아곡리, 북삼읍의 오평리, 어로리, 지천면의 창평리, 심천리, 영오리, 오산리, 용산리, 동명면의 금암리, 가천리, 봉암리, 가산면의 다부리, 학하리, 석우리, 석적읍의 성곡리, 남율리, 약목면의 복성리, 남계리, 교리, 무림리, 기산면의 영리, 봉산리 등에...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 간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 1971년 8월 31일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 간 고속 도로[고속 국도 1호선]로 지정되었다. ‘서울~부산 간 고속도로’에서 ‘서울~부산 간’을 ‘경부(京釜)’로 약칭하여 경부 고속 도로(京釜高速道路)라고 하였다. 경부 고속 도로는 서울~부산 간 총연장 416.04㎞이다. 대구·경상북도 구간은 15...
-
부산과 춘천 간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의 칠곡군 구간. 국토의 중앙 내륙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므로 중앙 고속 도로(中央高速道路)라고 하였다. 총연장 370km, 4차로이다. 부산에서 김해, 밀양, 경산을 경유하여 대구 및 칠곡군에 이르며, 다시 구미, 안동, 영주, 제천, 원주, 홍천을 지나 춘천에 이른다. 이중 대구 경북의 구간은 131.38km이며, 칠곡군의 경우 동명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불특정의 신에게 ‘고수레’라고 외치며 봉헌하는 행위. 우주 삼라만상이 모두 신과 관련이 있다고 믿어, 신에게 먼저 봉헌하는 행위이다. 예를 들어 이웃에서 제사 음식을 보내오면, 음식의 일부를 떼어 밖으로 던지며 ‘고수레’한다. 들에서 음식을 먹을 때도 ‘고수레’를 한다. 고수레는 공짜 음식이 자주 생기게 해 주고 먹는 사람을 객귀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앙(士仰), 호는 고암(古巌). 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벽진태수로 있을 때 용맹을 떨쳤던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는 벽진이씨 판서 이건지(李建之)의 후손이다. 만와(晩窩) 이항춘(李恒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부림홍씨, 부인은 월성최씨이다. 1714년(숙종 40)에 태어나 명암(冥菴) 이주대(李柱大) 문하에서 유학했으며...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청동기시대 초기의 무덤 형태. 고인돌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에 일반적으로 만들었던 무덤으로, 내부구조는 대체로 우선 땅을 파서 움을 만들고, 그 안에 주로 돌을 이용하여 주검이 놓일 널[石棺]을 만들고 뚜껑을 덮은 후에, 그 위에 다시 커다란 돌을 얹은 꼴을 하고 있는데, 받침돌[支石]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받침돌로는 판석(板...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계약을 통하여 제공한 농업 노동력에 대해 주어진 삯 또는 그 일. 일반적으로 품앗이가 노동을 노동으로 지불한다면 고지는 노동력에 대하여 임금 또는 동일한 노동력으로 대신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지제도에 대해서 두 가지 방향에서 정의되고 있다. 먼저 경제력이 부족한 사람이 연대책임 아래 농업 경영자와 노동 계약을 체결함으로서, 춘궁기에 노임의 일부...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계약을 통하여 제공한 농업 노동력에 대해 주어진 삯 또는 그 일. 일반적으로 품앗이가 노동을 노동으로 지불한다면 고지는 노동력에 대하여 임금 또는 동일한 노동력으로 대신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지제도에 대해서 두 가지 방향에서 정의되고 있다. 먼저 경제력이 부족한 사람이 연대책임 아래 농업 경영자와 노동 계약을 체결함으로서, 춘궁기에 노임의 일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재실. 미보(美甫) 이여두(李汝杜)를 추모하는 재실로 ‘고초당’이란 당호는 기문을 쓴 이한규(李漢奎)의 5대조인 이여두가 거처했던 초당의 이름에서 기인했다. 이여두는 고촌(孤村) 이심홍(李心弘), 존순재(存順齋) 송시강(宋時綱)과 더불어 유상하며 강론했으며 사우들 사이에서 추앙 받은 인물로 항상 초당엔 손님들로 가득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 있던 역원. 역원(驛院)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신구 관찰사와 감사의 교대 장소, 사신 경유지, 수령을 맞이하는 장소 등 지방 행정의 공식적인 행사나 공무 및 일반 여행자에 대한 편의 제공의 복합적 기능이 수행되었던 건물이었다. 『칠곡지(漆谷誌)』에 의하면 고평역(高平驛)은 “칠곡부 남쪽 1리(里)에 있는 퇴천방(退川坊)에 위치하고...
-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 칠곡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제도. 신라 시대에는 칠촌(七村) 혹은 대목현(大木縣), 남북국 시대에는 계자현(谿子縣), 고려 시대에는 약목현(若木縣)으로 바뀌면서 존재하였으나, 1390년(공양왕 2)에는 인동현(仁同縣)에 소속되었다. 1914년에 칠곡군으로 편입되어 약목면이 되었다. 목(木)은 ‘그루’, ‘그루터기’의 표기로 성(城)을 뜻하는 고어...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위치한 기계설비 공사 전문 건설 기업. 산업용 클린룸(ICR) 및 바이오클린룸(BCR) 사업 분야에서 성장을 거듭해 왔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들을 개발하여 해외로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1992년 7월에 공간종합설비로 설립되어, 1993년 1월에 공간종합설비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4년 7월에 기계설비 공사업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지원 등으로 설립·운영되어 개인 및 단체와 관계된 일을 처리하는 기관. 공공 기관은 대한민국 정부의 투자·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 지원 등으로 설립·운영되는 기관으로 대국민 서비스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일반적으로 공공 기관은 공공 행정을 담당하는 공조직으로 사조직, 민간 사회단체, 기타 사설 기관 등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작은 돌을 가지고 행하는 아이들 놀이. ‘공기 받기’라고도 하며 어린이들이 많이 하는 놀이이다. 과거에는 작은 잔돌을 5개 모아서 했던 놀이이지만 요즘에는 공기 5개를 한 세트로 하여 문구점에서 판매한다. 공기놀이는 칠곡군에서 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보편화된 놀이이며 아무 때나 어느 곳이든 두 명 이상의 어린이만 있으면 쉽게 할 수 있는 놀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작은 돌을 가지고 행하는 아이들 놀이. ‘공기 받기’라고도 하며 어린이들이 많이 하는 놀이이다. 과거에는 작은 잔돌을 5개 모아서 했던 놀이이지만 요즘에는 공기 5개를 한 세트로 하여 문구점에서 판매한다. 공기놀이는 칠곡군에서 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보편화된 놀이이며 아무 때나 어느 곳이든 두 명 이상의 어린이만 있으면 쉽게 할 수 있는 놀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물품을 제공·가공하는 기업체를 집단적으로 수용·배치하기 위하여 계획을 세워 조성한 지역. 산업 단지는 집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조성되는데, 도로·철도·상하수도·전력 등의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개발 주체는 단지 내에 입주하는 기업들이 효율적인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토지 이용 계획에 따라 토지 및 건물의 용도를 규제하며, 토지의 매각 및 임...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공선(公善), 호는 중원(中園).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이승운(李升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벽진이씨, 부인은 장수황씨이다. 1785년에 태어나 1816년에 생원시에 합격했다. 세상을 버리고 은둔하여 독실하게...
-
경상북도 칠곡군의 군목(郡木)인 나무. 칠곡군은 군민의 총화 단결과 전진하는 군민의 기상을 상징할 수 있는 나무로서 꿋꿋하고 변함없는 은행나무를 군목으로 정하였다. 은행나무라는 이름은 씨앗이 은빛이고 살구나무의 씨와 닮았다고 해서 은행이라 불렸다고 한다. 은행나무는 환경에 잘 적응해서 살아온 화석나무이다. 즉 은행나무는 과거 지구상의 여러 곳에서 살았지만 그...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율리의 안배미마을의 행사. 농경 사회에서는 농사 주기(週期)와 맞게 풍속이 행해져 오는데, 깽말타기는 농사가 한참 진행되는 여름철에 김매기를 하고나서 하는 행사이다. 농경지에 여러 가지 잡초가 돋아나 작물과 함께 자라면 작물이 이용해야 할 햇빛·양분·수분·공간 등을 빼앗으므로 작물을 심은 후 20~30일 간격으로 잡초를 뽑거나 캐내어 없애야 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장상학이 세운 서당. 공실 서당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경 화강(華岡) 장상학(張相學)[1872~1940]이 말년에 은거하며 강도(講道)하기 위해 향리의 풍광 좋은 곳에 건립한 서당이다. 장상학의 자는 신로(莘老)이며 숙부인 장승택(張升澤)에게 수학하여 많은 후학을 양성한 인물이다. 저서로 『춘추질서(春秋...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대재(大材), 호는 공암(孔巖). 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벽진태수로 용맹을 떨쳤던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는 벽진이씨 후손으로, 아버지는 참봉 이운(李運)이고, 어머니는 덕산황씨, 부인은 월성최씨이다. 1535년(중종 30)에 태어나 1564년(명종 1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73년(선조 6)에 문과에 급제하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농업·임업·수산업 등에서 생산된 물자를 원료로 하여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생산·가공하는 산업 부문. 공업은 인간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물건을 생산하는 것으로, 제조 공업 또는 제조업으로 불린다. 공업은 농업·임업·수산업의 1차 산업에서 생산된 물자를 원료로 하여, 이를 가공해서 유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또한 공업 생산 제품의 원료나 부품을 다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중의 휴양·놀이 등을 위해 마련한 정원·유원지·동산 등의 시설. 우리나라의 공원은 『자연 공원법』과 『도시 공원법』에 의거하여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자연 풍경지(自然風景地)를 보호하고 국민이나 주민의 보건·휴양 및 정서 생활의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경영·관리하는 자연지(自然地)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造景地)로 정의한다. 전자...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공유(公裕), 호는 운정(雲庭).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아버지는 장석구(張錫龜)이나, 판서 장석룡(張錫龍)에게 양자로 들어가 대를 이었다. 어머니는 김해허씨, 부인은 풍양조씨이다. 1853년 칠곡군에서 태어나 1885년(고종 22)에 증광...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충신.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과암(果菴). 시조(始祖) 송유익(宋惟翊)은 고려 때 진사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追贈)되었으며, 또한 4세손으로서 중시조인 정열공(貞烈公) 송송례(宋松禮)는 고려 원종 때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여량(礪良)[현재 여산]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지고 식읍 1...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연구되고 있는 자연과학, 응용과학 및 생산 기술의 총칭. 과학기술이라는 용어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이라고 볼 수 있다. 과학은 자연세계에서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을 말하며 기술이란, 물적 재화(物的 財貨)를 생산하는 생산기술의 뜻으로 인간의 욕구나 욕망에 적합하도록 주어진 대상을 변화시키는 모든 인간적 행위를 말한다....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이 광주(廣州)인 도사(都事) 이심옥(李心玉)의 딸인데, 본관이 현풍(玄風)인 곽재기(郭再祺)의 아내이다. 의령(宜寧)에 곽재기에게 출가하였다가 임진왜란을 피해 친정인 칠곡군 지천면 신리 상지(上枝)에 와 있었다. 왜병이 쳐들어오자 어머니인 현풍곽씨(玄風郭氏)와 함께 산으로 피난을 갔다가 어머니가 참혹한 죽음을 당하자 원수에 대한 증오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풍경·풍습·사적 등을 체험하거나 구경하는 일. 칠곡은 동쪽으로는 유학산(遊鶴山)과 가산(架山)이 솟아 있고, 남북으로는 낙동강이 유유히 흐르는 풍요롭고 살기 좋은 고장이다. 위치적으로는 대구광역시와 구미시의 대도시와 연접하여 있으며, 경부 고속 도로, 중앙 고속 도로,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올 수 있는 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4월 8일 부처님오신날에 지내는 명절. 사월 초파일은 석탄(釋誕)일 또는 욕불(浴佛)일이라고도 한다. 이날은 불교의 연중 기념일 가운데 가장 큰 명절이다. 본래 석가의 탄신일이기 때문에 불가(佛家)에서 하던 축의(祝儀)행사였다. 그러나 불교가 민중 속에 전파됨에 따라서 불교 의식이 자연스럽게 민간의 세시풍속과 동화되어 차츰 민속화 되기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있는 재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있으며, 관수헌(觀水軒) 이원호(李元祜)[1640~1695]의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일제 강점기에 광주이씨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조선 후기의 유학자 이원호는 자는 사후(士厚)이고, 호는 관수헌(觀水軒)이다. 과거에 뜻을 두지않고 향리(鄕里)에서 초지일관 여러 형들과 함께 덕행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 조선 중기 이후 부임한 부사·군수 등 지방관의 명단을 기록한 서적. 『칠곡부 선생안』은 칠곡군의 ‘수령선생안(守令先生案)’으로 칠곡군 지역에서 수령을 역임한 관리의 이름·본관·호·제수받은 날짜·전임지·부임 기간·경체(經遞: 임기 만료 전의 인사이동 사항 등 부사·군수의 인사이동에 관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칠곡부 선생안』은 팔거현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 이담명의 영사비.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이담명(李聃命)[1646~1701]이 굶주린 백성을 진휼한 공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이담명의 자는 이노(李老), 호는 정재(靜齋),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조선 숙종 때의 명신으로 1670년 문과에 급제하고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자선(子善), 호는 관천(觀川).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하는 달성배씨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를 지냈으며, 대구에서 칠곡으로 이거(移居)한 배경인(裵褧仁)의 후손으로 배문효(裵問孝)의 아들이다. 1857년(철종 8)에 칠곡군 칠곡읍[현 대구광역시 북구]에서 태어나 어릴...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지닌 인재 육성으로, 착한 행동을 실천하는 인성 함양, 기본에 충실한 교육 과정 운영, 교육력을 북돋우는 행정 혁신, 꿈과 재능을 살리는 창의력 계발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게! 넓고 따뜻하게! 슬기롭게!’이다. 약목 국민학교 관호 분교장으로 1972년 3월 2일 3학...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관호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 소속 교회. 관호리에 교회가 없어서 왜관까지 먼 거리를 다니던 성도들을 위하여 관호리에 왜관교회의 집사들과 장로들이 와서 말씀을 전하면서 교회가 설립되었다. 1970년에 조재범 성도의 사랑방에서 교회를 시작하면서 왜관교회의 지원으로 교회가 건축되었다. 1995년 11월 20일 양종필 목사에 의하여 교...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으로 낙동강 변의 못[湖]을 볼[觀] 수 있다고 하여 ‘관호(觀湖)’라고 이름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약목면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치, 외치, 왜관, 무림, 백평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관호라 하고 칠곡군 약목면(若木面)에 편입하였다. 관호리는 북쪽으로 관곡산에서 무림리...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관호리에 있는 토성(土城). ‘백포산성’으로도 불리는 삼국시대에 축성된 토성이다. 약목 지역은 백포(柏浦) 채무(蔡楙)[1588~1670]가 정계에서 물러난 후, 여생을 보낸 곳이라고 한다. 이로 인하여 지명이 백포로 불렸으며 성의 명칭도 백포성으로 이름 지어져 오늘날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또한 이곳은 왜구의 진압책으로 일본에 대한 교린정책을 쓰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통신부품 및 산업용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 이동통신용 페타패럿(PF)부품인 전압 제어 발진기(VCO), 위상동기회로(PLL), 수동여과기(Passive Filter), 능동여과기(Active Filter) 및 차량용 혼성 집적회로(HIC) 등의 기술집약 전자부품을 개발·설계·제조하는 종합전자부품 회사이다. 특히 이동통신 기기의 핵심부...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곡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하천의 하류 부분이 석적읍 중리의 광암마을을 지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광암천은 칠곡군 석적읍 성곡리의 유학산(遊鶴山)[833m] 남사면에서 발원한 후 서쪽으로 흘러 유학지(遊鶴池)에 이르고, 중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한다. 광암천은 지방 하천이며, 하천 연장은 6.0㎞이고 유역 면적은 13.01...
-
이당을 시조로 하고 이지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이자성(李自成)은 칠원(漆原)에서 세거한 호족(豪族)의 후예(後裔)이다. 신라 내물왕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냈고 후손이 신라역조(新羅歷朝)에서 벼슬을 하였는데 신라가 고려에 손국(遜國)하자 고려에 불복하고 절의를 지켰으므로 고려 태조가 강계(降階)하여 회안(淮安)의 호장(戶長)으로 삼았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 세거해 온 광주이씨 문중에서 지내는 불천위 제사. 칠곡군에 세거해 온 광주이씨 문중의 석담종가(石潭宗家), 귀암종가(歸巖宗家), 박곡종가(朴谷宗家), 묵헌종가(黙軒宗家)에서 불천위 제사를 지내고 있다. 불천위제사는 평생의례인 관혼상제의 제례에 해당되는 의례이다. 제례에는 기제사, 명절에 지내는 차례 그리고 음력 시월에 지내는 묘제가 있으며,...
-
경상북도 칠곡군에 세거해 온 광주이씨 문중에서 지내는 불천위 제사. 칠곡군에 세거해 온 광주이씨 문중의 석담종가(石潭宗家), 귀암종가(歸巖宗家), 박곡종가(朴谷宗家), 묵헌종가(黙軒宗家)에서 불천위 제사를 지내고 있다. 불천위제사는 평생의례인 관혼상제의 제례에 해당되는 의례이다. 제례에는 기제사, 명절에 지내는 차례 그리고 음력 시월에 지내는 묘제가 있으며,...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도로·철도·인도 등이 장애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高架) 구조물. 2013년 현재 칠곡군은 교량 173개소[총 1만 2598m]를 가지고 있다. 고속 국도 97개소[6,932m], 일반 국도 45개소[4,368m], 지방도 10개소[631m], 그리고 시군도 21개소[667m]이다. 낙동강을 건너는 칠곡군의 교량은 7개소이다. 가장...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도로·철도·인도 등이 장애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高架) 구조물. 2013년 현재 칠곡군은 교량 173개소[총 1만 2598m]를 가지고 있다. 고속 국도 97개소[6,932m], 일반 국도 45개소[4,368m], 지방도 10개소[631m], 그리고 시군도 21개소[667m]이다. 낙동강을 건너는 칠곡군의 교량은 7개소이다. 가장...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속하는 법정리. 약목현의 향교(鄕校)가 있던 마을이라 교촌(校村) 또는 교동(校洞)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약목면(若木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명원, 세덕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교동이라 하고 칠곡군 약목면에 편입하였다. 1988년 5월 1일 교동을 교리(校里)로 변경하였다. 교리는 구릉지와...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교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교리 명원마을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오평리 방향으로 넘어가는 시덕고개의 남쪽 산 사면에 분포하고 있다. 일부 봉분이 남아 있지만 뚜렷한 흔적은 없다. 민묘 조성으로 인하여 주변에는 돌덧널의 벽석으로 추정되는 할석과 토기 편이 채집되어서 고분군이 존재하였음을 추측케 한다. 동쪽으로...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5년 9월 12일 칠곡군 약목면 복성동[현 복성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때 약목장터에서의 만세시위를 계획하다가 일본 군경(軍警)에게 계획이 탄로나 체포되어 징역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만주 용정(龍井)에서 6년 반을 지내다 1918년에 귀국하였다. 그 후 1919년 3월 11일 칠곡군 북삼면 숭오동의 아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으로서의 삶은 영위하는 데 필요한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모든 행위. 조선 시대 초기부터 세상의 좋은 재목을 육성하고 백성들을 교화하여 풍속을 이루며 인륜을 밝히기 위하여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한 중앙의 4부 학당과 지방의 향교(鄕校)를 설치하였다. 사학으로는 지금의 초등 교육 수준의 서당과 중등 교육 담당과 선현에 대한 제사...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주요 도로와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칠곡군은 도로 및 철도 교통의 중심지이다. 조선 시대에는 육로뿐만 아니라 수로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당시의 육로 교통은 보행 및 길마 수송이었으며, 영남 대로(嶺南大路)는 전국 9개 간선 도로(幹線道路) 중의 하나였다. 이것은 서울에서 한강 나루를 건너, 용인·충주·문경·상주·대구·밀양을 거쳐 동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신자들의 공동체로서 일반적으로 개신교인들의 예배 공간. 우리나라의 개신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처음부터 다양 한 교파로 개신교회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신학적 교리적으로 다양한 색깔을 지니고 있으면서 상호 협력 하기도 하고 교세의 확장을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관계에 들어가기도 하면서 수백 개의 교파로 전 세계에 존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경부선 개통과 함께 만들어진 터널.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만들어져, 1941년 경부선이 복선화로 새로 개통되기 전까지 이용되었던 터널로 근대 철도 역사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왜관읍 소재지에서 낙동강교를 건너기 전 우측에 위치한다. 1905년 경부선의 터널로 개통된 석조와 붉은 벽돌로 된 말굽...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낙동강을 건너 약목면 관호리에 연결되는 인도교. 낙동강 본류를 건너는 첫 번째의 철골 구조 교량이므로 낙동강 대교(洛東江大橋)라고 하였다. 경부선의 복선화에 즈음하여 인근에 새로운 왜관 철교가 가설됨에 따라 구 철교(舊鐵橋)는 1941년 이후 도로 교량 또는 인도교(人道橋)로 바뀌었다. 6·25전쟁 때 북한 인민군의 남하를 막...
-
조선 말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구노(九老), 호는 해사(海史).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하고 있다. 장봉상(張鳳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벽진이씨, 부인은 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구지(九池) 마을과 덕산(德山) 마을에서 첫 글자를 따 ‘구덕(九德)’이라 이름 붙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하북면(下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구지, 송림, 덕산, 양지의 일부를 병합하여 구덕이라 하고 동명면(東明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구덕리의 동남쪽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수령 32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다.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마을의 동제. 송림사 입구에 위치한 송림마을의 동제로서 제관의 선정, 제수의 장만, 제의 절차 등 전반적으로 간소하게 모시게 되었다. 당나무 앞에 고형으로 여겨지는 토벽 기와집의 작은 당집이 있다. 문은 판장문이 달려 있다. 당집의 내부에는 중앙에 나무판 위에 위패함이 자리를 잡고 있다. 좌측 벽에는 초롱 등이 달려 있다. 초...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수령 800년의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낙엽 교목이며 높이 10m 안팎이고 소지에 가시가 없으며, 2년지는 자갈색이며 윤채가 있다. 오래되면 묵은 나무껍질이 봄이 되면 들떠서 비듬처럼 일어나 떨어지는데 이렇게 껍질이 떨어지고 나면 다시 푸른빛을 띠게 되며 줄기에 녹갈색의 구름무늬가 생긴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이며...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에 있는 세무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 기관. 지방 세무 관서(地方稅務官署) 직제에 의하면 세무서는 세무에 관한 소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방 국세청 소속하에 각 지구에 설치된 지방 행정 기관으로 국세청과 지방 국세청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다. 납세자는 물론 일반 국민을 상대로 내국세 부과·징수의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민원 사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에 있는 세무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 기관. 지방 세무 관서(地方稅務官署) 직제에 의하면 세무서는 세무에 관한 소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방 국세청 소속하에 각 지구에 설치된 지방 행정 기관으로 국세청과 지방 국세청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다. 납세자는 물론 일반 국민을 상대로 내국세 부과·징수의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민원 사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 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400년 전 광주이씨(廣州李氏) 이광복(李光復)이 조선 선조(宣祖) 초에 지천면 상지(上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정착함으로써 후손이 지금까지 살고 있다. 마을 앞 남쪽에 귀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해서 귀바위[耳岩]로 불렀다. 또한 큰 바위가 9개 있다고 구바우 또 돌이 많은 마을이라 돌밭[石田]이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전해오는 마을 이름과 구바위에 관련된 이야기.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전해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자고산 동남쪽에 돌밭[石田]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돌밭마을은 약 360년 전 광해군 14년 이원정이 양주목사로 부임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발생되어 말을 통해 전승되는 언어예술. 구비문학은 기록문학에 비해서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살아 있는 문학이다. 기록문학은 창작과 동시에 문자로 기록되어버려 개인적이고 고정적인 형태인데 비해 구비문학은 새로운 것을 수용할 수 있는 적층적이면서 유동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주위환경과 상황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자신을 변화 발전시키는 열린...
-
칠곡군 왜관읍에서 활동한 현대 시인. 구상의 전 생애에 흐른 시의 사상은 종교와 진리의 총체로서 ‘오늘 속의 영원과 영원 속의 오늘’을 추구하는 것이다. 구상(具常)은 본명이 구상준(具常浚)이며 아버지인 구종진의 나이 50세, 어머니의 나이 44세 되던 1919년 9월 16일 서울 종로구 이화동 642번지에서 태어났다. 구상이 네 살 되던 해 수도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시인 구상의 문학관. 구상 문학관(具常文學館)은 칠곡군청의 소속 기관으로서, 낙동강을 소재로 왕성한 시작(詩作) 활동을 한 구상(具常)[1919~2004] 시인의 작품 세계와 생애를 재조명하여 거목 구상의 발자취를 오래도록 기리고 지역민과 문학인들을 위한 문학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건립하였다. 프랑스 문인 협회가...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시인 구상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하는 문학 행사. 구상 문학제는 한국 문화 예술 진흥원에서 후원하고 칠곡군에서 주최하며 한국 문인 협회 칠곡 지부가 주관하는 예술 행사이다. 1953년부터 1974년까지 20년 동안 칠곡군 왜관읍 관수재에서 가족과 함께 거주하며 문학 활동을 한 시인 구상을 기념하고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
칠곡군 왜관읍에서 활동한 현대 시인. 구상의 전 생애에 흐른 시의 사상은 종교와 진리의 총체로서 ‘오늘 속의 영원과 영원 속의 오늘’을 추구하는 것이다. 구상(具常)은 본명이 구상준(具常浚)이며 아버지인 구종진의 나이 50세, 어머니의 나이 44세 되던 1919년 9월 16일 서울 종로구 이화동 642번지에서 태어났다. 구상이 네 살 되던 해 수도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전해오는 마을 이름과 구바위에 관련된 이야기.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전해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자고산 동남쪽에 돌밭[石田]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돌밭마을은 약 360년 전 광해군 14년 이원정이 양주목사로 부임하...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 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400년 전 광주이씨(廣州李氏) 이광복(李光復)이 조선 선조(宣祖) 초에 지천면 상지(上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정착함으로써 후손이 지금까지 살고 있다. 마을 앞 남쪽에 귀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해서 귀바위[耳岩]로 불렀다. 또한 큰 바위가 9개 있다고 구바우 또 돌이 많은 마을이라 돌밭[石田]이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양골마을에 있는 정자. 구암정은 벽진이씨(碧珍李氏) 이기일(李基一)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1935년에 건립한 추모 정자로서, 동명면 동명삼거리에서 다부 방향으로 500m 지점의 동편 골 안에 위치한 양골마을 중앙에 위치한다. 양골마을은 동명면 소재지인 금암리 동북쪽에 위치하여 소쿠리 모양의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이다. 임진왜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에서 발원하여 구덕리에서 팔거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구지천이 팔거천으로 합류하는 지점이 구지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의 가산산성(架山山城) 남사면에서 발원한 후 남쪽으로 흘러 동명저수지(東明貯水池)에 이르고, 구덕리의 구지마을에서 팔거천(八居川)으로 유입한다. 구지천은 지방 하천이며, 하천 연장은...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성유(聖惟), 호는 오은(梧隱).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벽상삼중대광 검교상장군을 지낸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능성구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구영림(具永林)이다. 1545년에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에서 태어나 백담문하(栢潭門下)에서 수학하였으며, 용기가 있고 힘이 장하여 궁술에 능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있는 방위산업 장비 개발 및 정비·제조 중소기업.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시스템사업, 방위산업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이다. 고객 중심의 능동적인 경영 활동을 통해 최고의 품질과 최상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전 직원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1988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1994년에 구일엔지니어링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법인 전환 이후...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개고기로 만든 보양 향토 음식. 보신탕은 개장, 개장국, 구장(狗醬), 지양탕(地羊湯)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칠곡에는 보신탕이 유명하여 전통이 오래된 보신탕집이 많다. 옛날부터 여름 더위가 가장 심했던 삼복(초복·중복·말복)에 개고기를 주로 먹었다. 특히 삼복 날에 먹었던 것은 음양오행설에서 개고기는 화(火), 복(伏)은 금(金)에 해당하여 더운 성...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시작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이다.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이는 몸과 마음을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를 시작하라는 뜻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에서 발원하여 구덕리에서 팔거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구지천이 팔거천으로 합류하는 지점이 구지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의 가산산성(架山山城) 남사면에서 발원한 후 남쪽으로 흘러 동명저수지(東明貯水池)에 이르고, 구덕리의 구지마을에서 팔거천(八居川)으로 유입한다. 구지천은 지방 하천이며, 하천 연장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일제강점기 재실. 1939년에 지은 능성구씨(綾城具氏) 구택서(具宅書)[1852~1937]를 추모하는 재실이다. 구택서는 조선 말기 학자로, 자가 순화(順和), 호가 구헌(龜軒)이다. 1852년(철종 3)에 태어나 7세에 만취(晩就) 배문두(裵文斗), 우은(愚隱) 정수기(鄭壽基)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어 향리에서 가르...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에 있는 태고종 사찰. 종파는 태고종으로 주지는 조옥화이다. 현재 승려 1명, 신도수 150명 규모의 현대 사찰이다.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모시고 석불 1점과 아미타후불탱화, 신장탱화, 산신탱화 등을 봉안하고 있다. 특히 석불은 좌불(坐佛)이나, 달걀형의 둥근 얼굴과 당당한 어깨, 무릎까지 마치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처럼 고부조(高浮彫)로 조각된...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어로 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300년 전 마을 앞 경호천에 포구를 이루어 곡식이나 생활필수품을 실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한다. 그 후 강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게 되어 소(沼)는 흙이 쌓인 갯벌이 되었다가 농토가 된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본래는 솔징이[松亭]마을이었는데, 1920년 대홍수로 수해를 당한 국포 주민들이 이곳으로 옮겨와서 마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쌍우재(雙于齋).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하는 달성배씨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를 지냈으며, 대구에서 칠곡으로 이거(移居)한 배경인(裵褧仁)의 후손으로 청정공(淸靖公) 배을서(裵乙瑞)의 후손이다. 부모가 누구인지는 알 수가 없다. 1622년(광해군 14...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진해와 청주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의 번호가 홀수인 것은 지구 경도를 따라 국토의 남북을 달리는 도로임을 의미한다. 국도 25호선은 중앙 내륙을 달리는 남북 노선이며, 국도 5호선에 인접하여 진해에서 출발하지만 대구에서 합류한 후 칠곡군에서 분기하여 상주를 지나 청주에 도달하는 중·단거리 노선이다. 조선시대 영남대로의 칠곡군 구간과 일치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고성과 구미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의 번호가 홀수인 것은 지구 경도를 따라 국토의 남북을 달리는 도로임을 의미한다. 국도 33호선은 남부 내륙을 경남 고성에서 구미까지 달리는 노선이다. 2003년 이전에는 구미에서 북삼면 율리를 지나 약목면 복성리에서 국도 4호선과 교차하였으나 2003년 이후 노선이 직선화되면서 변경되었다. 구미에서 낙동강의...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군산과 경주 간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의 번호가 짝수인 것은 지구 위도를 따라 국토의 동서를 달리는 도로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가장 아래쪽 남해안을 따라 동서로 달리는 국도가 신안과 부산간의 국도 2호선이고, 가장 북쪽의 동서 간 국도가 인천과 주문진간의 국도 6호선이므로, 그 사이의 동서 간 국도는 4호선이 된다. 처음에는 단선의 구(舊...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마산과 중강진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의 번호가 홀수인 것은 지구 경도를 따라 국토의 남북을 달리는 도로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서부를 남북으로 달리는 국도가 파주와 목포를 잇는 국도 1호선과 남해와 철원을 잇는 국도 3호선이고, 가장 동쪽 해안을 따라 달리는 남북간 국도가 7호선이므로, 그 중간의 태백산맥 서측을 달리는 도로는 국도 5호선이...
-
경상북도 칠곡군과 구미시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의 번호가 홀수인 것은 지구 경도를 따라 국토의 남북을 달리는 도로임을 의미한다. 국도 67호선은 낙동강의 동안을 따라 구미에서 칠곡을 연결하는 단거리 노선으로 칠곡~구미 해평읍 성수리 간의 33.56㎞이다. 칠곡군의 구간은 왜관읍 왜관리에서 석적읍 중리까지 10㎞의 2·4·6차로이다. 국도 67호선은 이전에...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한글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유희요. 「아이고배야」는 우리말의 어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리듬을 가미한 한글 뒤풀이 노래이다. 내용이 창자(唱者)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기 때문에 언어 유희성에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말놀이라는 측면에서 언어의 교육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다. 노래의 사설은 창자에 따라 즉흥적이므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한글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유희요. 「아이고배야」는 우리말의 어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리듬을 가미한 한글 뒤풀이 노래이다. 내용이 창자(唱者)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기 때문에 언어 유희성에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말놀이라는 측면에서 언어의 교육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다. 노래의 사설은 창자에 따라 즉흥적이므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한글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유희요. 「아이고배야」는 우리말의 어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리듬을 가미한 한글 뒤풀이 노래이다. 내용이 창자(唱者)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기 때문에 언어 유희성에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말놀이라는 측면에서 언어의 교육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다. 노래의 사설은 창자에 따라 즉흥적이므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건강 보험 및 의료 급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준정부 기관. 국민 건강 보험 공단 칠곡 지사는 국민 건강 보험 공단 대구 지역 본부 산하의 21개 지사 중 하나로, 경상북도 칠곡군 주민들의 건강 보험 및 노인 장기 요양 보험을 실시하여 지역민의 건강권과 생명권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고객 최우선 경영을 바탕으로 건강 보험...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기관. 정부 수립 후 칠곡군의 초등 교육은 정상화되었으며 특히 문명 퇴치를 위하여 마을 단위로 밤마다 야학(夜學)이 성행하였다. 이후 6·25 전쟁으로 학교 교육이 심각한 타격을 맞기도 했으나 교육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교육의 자주성·독립성·전문성이 발휘되었고, 6개년의 의무 교육 추진 계획에 따른 취학률이 크게 상승하여 학교 수도...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국서(國瑞), 호는 부지헌(不知軒). 중국에서 귀화한 백우경(白宇經)을 시조로 하고, 14세손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세계(世系)를 이어오는 수원백씨의 후손으로 백효연(白效淵)의 증손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출신으로 정암(靜庵) 조광조의 문하로 중종 때 진사가 되었으며, 어릴 때부터 문학과 덕행이 있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국시기는 갱죽이나 갱시기라고도 부른다. 지역에 따라서는 갱식이, 김치죽이라고도 하는데, 칠곡 지역에서는 대체로 갱죽이라 많이 부른다. 국시기는 대부분 서민 가정에서 1970년대 이전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에, 많은 식구들의 끼니를 때울 때 흔히 해먹던 음식이다. 당시 식구는 많고 양식은 부족했다. 그래서 양식을 조금이나마 절약하기 위해 남...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금호리에 소재하는 전통악기 생산업체. 전통악기 생산업체인 국악기유림공예는 1983년부터 국악기를 생산해 온 업체로 북, 장구, 소고, 장식용 북, 통나무 소북 등을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농촌에서는 굿, 매구, 풍물, 풍장, 두레 등 다양한 풍물놀이가 행해져 왔고 민속 풍물놀이는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등 국제행사...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단군을 모시는 성전(聖殿). 국조전은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개국 성조 단군의 위패와 영정을 봉안하고, 음력 3월 15일 춘향제, 10월 3일 개천절에 국조단군숭봉대제를 올리는 전당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서북쪽에 위치한 석전 2리 만취리마을 동편 산록에 있다. 만취리마을은 석전리 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국조전(國祖殿)에서 10월 3일 개천절에 행하는 단군(檀君) 숭배 제례. 개국(開國) 성조(聖祖) 단군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매년 음력 3월 15일의 춘향제(春享祭)와 함께 10월 3일 개천절에 올리는 국조단군숭봉대제(國祖檀君崇奉大祭)이다. 1952년 칠곡의 향토 유림들이 단민회(檀民會)를 조직하여 단군의 이념을 받들어 오다가, 1960...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국조전에서 음력 3월 15일에 행하는 단군 숭배 제례. 단군왕검은 기원전 2333년 단군조선을 건국한 개국신인(開國神人)이다. 단군에 대한 숭배 사상은 고려 때에 민족 공동의 시조(始祖)로 구체화하고 조선시대에는 더욱 대중화하여 세종 때부터 국조로 받들었다. 묘향산, 구월산, 평양, 강화도 등의 단군 사우(祠宇)와 단(檀)을 비롯...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어로 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300년 전 마을 앞 경호천에 포구를 이루어 곡식이나 생활필수품을 실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한다. 그 후 강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게 되어 소(沼)는 흙이 쌓인 갯벌이 되었다가 농토가 된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본래는 솔징이[松亭]마을이었는데, 1920년 대홍수로 수해를 당한 국포 주민들이 이곳으로 옮겨와서 마을...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유화(囿和), 호는 국포(菊圃).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창주 이창진(李昌鎭)의 증손이고 낙저 이주천(李柱天)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안동권씨, 부인은 나주정씨이다. 1688년(숙종 14)에 태어나 1721년(경종 1)에 생원시에 합격했으며 기...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추(仲初), 호는 국헌(菊軒).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이다. 진사 이덕부(李德符)의 손자이고 이준경(李遵慶)의 차자(次子)이다. 어머니는 선산김씨, 부인은 청도김씨이다. 1538년(중종 33)에 태어나 덕을 숨기고 덕행을...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에서 재배하고 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칠곡군은 경상북도 국화 재배 주산지의 한 곳으로, 왜관읍 금남리는 화훼를 재배하기에 뛰어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어, 금남리의 국화는 색깔이 선명하고 수명이 긴 것이 특징이다. 국화 재배면적은 약 3ha이며, 연 2~3기작으로 재배한다. 연간 약 300만 본을 생산하며, 50만 본 정도는 해...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군달(君達).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참판(參判)에 증직(贈職)된 이도익(李道益)이고, 어머니는 중화양씨, 부인은 여주이씨이다. 1629년(인조 3)에 칠곡군 지천면 신리에서 태어나서 1654년(효종...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군보(君甫).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이다. 대사헌 박곡(朴谷) 후손으로 이세린(李世璘)의 아들인데, 출계(出系)하여 이세위(李世瑋)의 대를 잇는 아들이 되었다. 어머니는 순천박씨, 부인은 의성김씨이다. 1731년(영조 7)...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군평(君平).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이세준(李世俊)이고, 어머니는 진주강씨, 부인은 전주전씨·하동정씨이다. 1725년(영조 1)에 증광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박사(博士)에 이르렀다. 몸가짐이 굳...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군현(君顯), 호는 완정(浣亭).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進士) 이인손(李麟孫)을 칠곡(漆谷)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좌랑 이등림(李鄧林)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월성최씨, 부인은 현풍곽씨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591년(선조 24)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효...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서 전해오는 세 바위에 관한 이야기. 굴바위에서는 호랑이가 등장하고, 꼴두바위에서는 절이나 불공(佛供)같은 종교적인 색채를 띠고, 소두방바위에서는 피난과 같은 단어들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초기 전승(傳承) 때에는 이야기의 줄거리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는 구체적인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칠곡군 북삼읍 숭...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있는 태고종 사찰. 종파는 태고종으로 주지는 박세화[법명: 인화]이다. 승려 1명과 신도는 약 120명이다. 1996년 9월 9일에 증축하였다. 굴암사의 대지 면적은 1,013㎡이고 건축 면적은 201.22㎡이다. 본당의 지붕은 팔작 기와이나 벽체 등 전체적인 모습은 현대식으로 지어진 건물로 외벽에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10월 17일 칠곡군 인동면 진평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때, 진평동 일대의 주민들을 선도하여 만세 시위를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의 옥고를 치렀다. 1919년 3·1운동 대구 거사가 준비 중인 3월 7일, 계성학교(啓聖學校) 학생인 이영식(李永植)이 독립선언서 20매를 등사해 가지고 인동교회 목사인 이상백(李相佰)을 찾...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원필(元弼), 호는 낙포(洛浦). 권호례(權好禮)가 사헌부 지평으로 재임 시 을사사화(1545)가 일어나 선산 관심(觀心)으로 은거한 후, 그의 후손이 칠곡에 들어왔다. 권종낙은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에 거처를 정한 권호례(權好禮)의 후손으로 가선(嘉善) 권병재(權秉載)의 손자이다. 고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하리에 있는 인동장씨 문중의 정자. 귀노정은 인동장씨 경중(經中) 장우일(張遇一)을 추모하는 재사인 동시에 문중 모임을 위한 건물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하 2리 고남리마을 끝의 산 밑에 위치하며, 마을 서쪽 산 너머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이다. 건물은 일각문 1동과 ‘一’자형 정자 1동 등 2동이 ‘二’자형으로 이루며 동향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 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400년 전 광주이씨(廣州李氏) 이광복(李光復)이 조선 선조(宣祖) 초에 지천면 상지(上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정착함으로써 후손이 지금까지 살고 있다. 마을 앞 남쪽에 귀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해서 귀바위[耳岩]로 불렀다. 또한 큰 바위가 9개 있다고 구바우 또 돌이 많은 마을이라 돌밭[石田]이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전해오는 마을 이름과 구바위에 관련된 이야기.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전해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자고산 동남쪽에 돌밭[石田]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돌밭마을은 약 360년 전 광해군 14년 이원정이 양주목사로 부임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6일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행해지는 풍속. 음력 1월 16일을 귀신날이라 한다. 이날은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먼 나들이를 삼가고 집에서 쉬면서 귀신을 쫓아내고 액운을 막기 위한 갖가지 풍습이 행해졌다. 대문 앞에 목화씨나 고추씨를 태워 연기를 피우기도 하고, 귀신이 발에 맞는 신발을 신고 가면 좋지 않다고 하여 신발을 신어보지 못하게...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6일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행해지는 풍속. 음력 1월 16일을 귀신날이라 한다. 이날은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먼 나들이를 삼가고 집에서 쉬면서 귀신을 쫓아내고 액운을 막기 위한 갖가지 풍습이 행해졌다. 대문 앞에 목화씨나 고추씨를 태워 연기를 피우기도 하고, 귀신이 발에 맞는 신발을 신고 가면 좋지 않다고 하여 신발을 신어보지 못하게...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6일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행해지는 풍속. 음력 1월 16일을 귀신날이라 한다. 이날은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먼 나들이를 삼가고 집에서 쉬면서 귀신을 쫓아내고 액운을 막기 위한 갖가지 풍습이 행해졌다. 대문 앞에 목화씨나 고추씨를 태워 연기를 피우기도 하고, 귀신이 발에 맞는 신발을 신고 가면 좋지 않다고 하여 신발을 신어보지 못하게...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6일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행해지는 풍속. 음력 1월 16일을 귀신날이라 한다. 이날은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먼 나들이를 삼가고 집에서 쉬면서 귀신을 쫓아내고 액운을 막기 위한 갖가지 풍습이 행해졌다. 대문 앞에 목화씨나 고추씨를 태워 연기를 피우기도 하고, 귀신이 발에 맞는 신발을 신고 가면 좋지 않다고 하여 신발을 신어보지 못하게...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 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400년 전 광주이씨(廣州李氏) 이광복(李光復)이 조선 선조(宣祖) 초에 지천면 상지(上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정착함으로써 후손이 지금까지 살고 있다. 마을 앞 남쪽에 귀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해서 귀바위[耳岩]로 불렀다. 또한 큰 바위가 9개 있다고 구바우 또 돌이 많은 마을이라 돌밭[石田]이라고 불렀다....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사징(士徵), 호는 귀암(歸巖).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부응교(副應敎) 이도장(李道長)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 부인은 벽진이씨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선비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1648년(인조...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주거 건축. 귀암공 종택은 호가 귀암(歸巖)인 이원정(李元禎)의 고택으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서 국도 903호선의 반계리 방면으로 500m 가다 우측 골목으로 들어가면 귀암공 종택이 위치하고 있다. 귀암공 종택은 1670년(현종 11) 이원종이 양주목사 재임 때 돌밭[현 석전리]에 신기제택을 세워 매원에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원정의 사당. 광주(廣州) 출신의 귀암(歸巖) 이원정(李元楨)[1621~1680]은 자는 사징이며, 응교 이도장의 아들이다. 1648년(인조 26)에 진사에 입격한 후, 1652년(효종 3)에 증광시, 갑과의 방안으로 급제하여, 검열, 지평, 장령, 교리 등을 지내고, 1660년 장성 부사로 나아갔다가, 동년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있는 재실. 광주이씨(廣州李氏) 이동형(李東炯)은 당시 명망과 덕행을 계승하여 부유한 가산을 이루었고 효심과 우애가 돈독하고 청렴결백하며 검소한 생활을 했었다. 이동형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칠곡군 왜관읍 매원 2리에 있다. 전면의 사주문을 들어서면 마당을 향하여 자리 잡고 있으며, 주위는 토석 담...
-
조선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규응(奎應), 호는 만산(晩山). 벽진장군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칠곡 약목으로 옮겨 살던 첫째 집은 17세 절충장군(折衝将軍) 이말정(李末丁)[1422~1474] 대에 칠곡군(漆谷郡) 월오[현 왜관읍 왜관리]로 이거하였으며, 장자인 대사성 이철균(李鉄均)의 호(號)를 따서 동네 이름을 월오(月烏)라 하였다. 또...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높은 나무에 줄을 매달고 위에 올라 앞뒤로 흔들며 노는 놀이. 그네는 대개 농번기를 피해 음력 4월 8일을 전후하여 5월 5일 단오절에 이르는 약 한달 동안 놀았다. 그네놀이는 외그네, 쌍그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놀 수 있으며, 누가 제일 높이 올라가느냐에 따라 승부를 정한다. 고려 말부터 전승되어, 주로 단오절에 여자들이 많이 행한 놀이다. ‘그네’...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정보(正甫), 호는 극명당(克明堂).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장령 장수(張脩)의 후손이며 통정대부 장사영(張士瑛)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문화유씨, 부인은 한산이씨이다. 1563년(명종 18)에 태어나 한강 정구(鄭逑)와 여헌 장현광(張顯光)...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字)는 극오(極五), 호(號)는 노암(蘆巖).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인천이씨이다. 충간공(忠簡公) 이현좌(李賢佐)의 후손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어모장군에 임명되었고 벼슬은 첨정(僉正)에 이르렀다. 선조(宣祖) 때 임진왜란을 당하여 가형인 이두남(李斗南)과 함께 앞장 서서 의병을 일으켜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를...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명중(明仲), 호는 극재(克齋).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신씨로 조선 개국공신 제정공(齊靖公) 신효창(申孝昌)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통어사 신명전(申命全)이다. 어머니는 천안전씨, 부인은 순천박씨이다. 유년 시절부터 기질이 호탕하여 얽매임이 없더니 장성하여 몸을 수양하고 학문에 뜻을 두었다. 경전(...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에 있는 극재(克齋) 신익황(申益愰)의 사당. 본관이 평산(平山)인 극재 신익황[1672~1722]은 조선 중기 학자로 자는 명중(明仲)이다. 21세에 향시에 합격한 뒤에는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학덕으로 참봉, 주부 등에 천거되었으나 번번이 사퇴하였다. 만년에는 성리학에 뜻을 두고 이기설(理氣說)을 연구하였다. 학문은 이현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교육 진흥과 실업(實業) 발달을 목표로 민족의식의 고취와 국권을 회복하고자 하는 구국(救國) 교육을 이념으로 삼았던 교육 형태. 경상북도의 경우에는 유교적 전통과 유림(儒林)의 성격이 강고했으므로 신교육기관의 설립에 대해서는 비교적 보수적이었다. 그러나 정부와 선각적인 개화 인사들의 노력으로 근대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인지됨으로써 학교 설립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의 칠곡군 교육문화회관에 소속된 학습 동아리.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주부들도 가정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사회의 일원으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글마루를 통해 책이 좋고 아이들 지도에 뜻이 있는 주부들이 아동 글쓰기 지도자 과정을 수료하고 자격증을 취득한 후 가정과 이웃 더 나아가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활동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몽여(夢汝), 호는 금고(琴皐).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進士)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의 6세손이며, 아버지는 이정록(李正祿)이다. 1769년(영조 45)에 태어나서 순조(純祖) 때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벼슬은 전적(典籍)·좌랑(佐郞)...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금화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전통사찰 146호로 지정되어 있다. 금화저수지에서 계곡을 따라 2㎞ 정도 오르면 해발 300m 지점에 산허리를 깎아 사역을 조성하고 있다. 금곡사는 633년(신라 선덕여왕 7)에 김란(金蘭)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나, 현재 금곡사 사역은...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금화리 금곡사의 극락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아미타불좌상(阿彌陀佛坐像)으로 두꺼운 개금으로 외견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우나 2007년 문화재청 조사 자료 『한국의 사찰문화재』에 따르면 석재라고 한다. 약간 앞으로 숙인 불두와 안정적인 구도 등 세부적인 양식은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인다. 약간 숙여진 방형의 불두에 비해 어깨는 왜소하고, 전체 불신에...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금화리에 있는 절터. 현재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금화리에 있는 금곡사 일대에 있었다고 전하는 옛 절 터이다. 금곡사는 원래 633년(선덕여왕 7)에 김란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는데, 현재 금곡사의 위치와 동일한지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현재의 금곡사 극락전은 1959년에 건축한 것이다. 다만 금곡사 뒤쪽 산 사면에 조선시대의 와편이 분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꺼리거나 싫어하는 대상이나 행위를 표현한 짧은 말. 금기어는 어떤 대상이나 어떤 신성한 존재나 일을 신성시하지 않아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을 염려하는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공포의 대상이 되는 대상을 직접 부르지 못하거나, 죽음이나 질병, 신체의 일부 등을 직접 표현하지 않을 때도 금기어가 생겨난다. 천연두를 마마, 손님마마, 시두 손님, 마누...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꺼리거나 싫어하는 대상이나 행위를 표현한 짧은 말. 금기어는 어떤 대상이나 어떤 신성한 존재나 일을 신성시하지 않아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을 염려하는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공포의 대상이 되는 대상을 직접 부르지 못하거나, 죽음이나 질병, 신체의 일부 등을 직접 표현하지 않을 때도 금기어가 생겨난다. 천연두를 마마, 손님마마, 시두 손님, 마누...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무산(錦舞山) 남쪽에 위치하여 금남리(錦南里)라고 불렀다. 자연 마을인 남산이[南山] 마을은 마을 논밭이 대부분 마을 북쪽 가실에 사는 이도원(李道元)이라는 한 부자의 소유였으며, 논밭이 금무산 남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가래골 마을은 뒷산에 호두과에 속하는 가래나무가 많다고 해서 붙여졌고, 밤나무골 마을은...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을 광주(廣州)로 하는 판관(判官) 이심일(李心一)의 첩(妾)이다. 칠곡군 지천면 신리 상지(上枝)에 살았다.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만나 물에 몸을 던졌으나 물이 얕아 죽지 않자, 차고 있던 은장도(銀粧刀)를 뽑아 스스로 목을 찔러 세상을 떠났다. 열행(烈行)이 나라에 알려져 왕명으로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의 금산리·낙산리와 지천면의 금호리에 걸쳐 있는 산. 검은 산이란 뜻으로 거무산이라 부르다가 금무산이 되었다. 해발고도 286.4m의 산으로, 중생대 백악기의 역암과 셰일, 사암 등으로 구성된 낙동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흑색 셰일층은 2매로 나타나는데 부분적으로 탄화되어 있다. 산지는 대체로 완만한 구릉성을 보이나 주변에서는 가장 높은 산지이다. 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일원에 조성되어 있는 산업단지. 2011년 현재 우리나라의 기초 지방자치 단체는 230개다.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모두가 자기 지역이 최고라고 자랑하고 있다. 이들 자치단체가 가장 먼저 내세우기 좋아하는 말이 있다면 무엇일까? 한번쯤은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가장 많이 하는 말 중의 하나는 아마도 ‘기업하기 좋은 도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무산(錦舞山)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금산이라 이름 붙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노곡면(蘆谷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대곡, 저동, 강창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금산동이라 하고 왜관면에 편입하였고, 1949년 왜관면이 왜관읍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른다. 금산리는 5개의 자연 마을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바위, 돌, 금속 등에 새겨져 있는 그림이나 문자. 금석문은 바위, 돌, 금속 등에 새겨져 있는 문자, 그림 등을 총칭하여 가리키는 용어이다. 칠곡군의 금석문은 비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바위 면에 문자를 새긴 암각류가 있다. 비석에는 신도비, 효열비, 기념비, 전적·전승비, 유적·유허비, 사적비, 송덕비, 불망비, 제단비, 묘비 등이 있다. 암각류로...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군으로 시집 온 이명득이 지은 관동지방 기행가사. 「금수강산 유람가」의 작가는 이명득[1909~1992]이다. 이명득은 성산이씨로 지천면 신동의 풍산김씨 김병갑에게 출가하였고 택호를 성곡댁이라 한다. 노래의 갈래는 가사로서 기행가사(紀行歌辭)이며 관동지방의 산천 명승지를 단체 유람한 일정과 소회를 담은 점에서 관유가사(觀遊歌辭)이다. 이명득은 여러...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산(錦山) 마을의 첫 글자와 구암(龜岩) 마을의 끝 글자를 따서 금암(錦岩)이라 이름 붙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서북면(西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금산, 강당, 구암, 동석, 횡금, 안천, 삼산 등을 병합하여 금암이라 하고 동명면(東明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금암리는 팔거...
-
경상북도 동명면 금암리 일대에 있는 신라시대 고분군. 팔계천의 중류에 위치한 금암 3리 북실마을 남동쪽에는 남서로 길게 뻗은 해발 120m의 구릉이 있는데, 고분군은 구릉 일대에 50여 기가 분포한다. 민묘 주변으로 도굴된 흔적이 관찰되며, 내부 구조는 돌덧널무덤으로 추정되며, 장축은 남북으로 보인다. 주변에 유물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고분군은 북실마을을...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동명면 금암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로서 현존하는 3기 모두 뚜껑식[蓋石式] 고인돌이다. 금암리 835번지에 4기, 978번지에 1기의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다. 지표면에서 확인된 형태로 고인돌의 형상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뚜껑식 고인돌 형식으로 파악된다. 고인돌 내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유...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유물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동명면 금암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로서 현존하는 3기 모두 뚜껑식[蓋石式] 고인돌이다. 금암리 835번지에 4기, 978번지에 1기의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다. 지표면에서 확인된 형태로 고인돌의 형상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뚜껑식 고인돌 형식으로 파악된다. 고인돌 내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유...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 금오산도립공원에 속해 있는 계곡. 금오산 정상의 서남쪽 해발 800m 주변에 평탄한 지형을 성안분지라고 한다. 금오동천은 성안분지에서 산 아래로 이어지는 계곡을 일컫는다. 계곡의 네 번째 폭포인 벅시소 주변의 암벽에 금오동천(金烏洞天)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동천이란 산 속의 골짜기가 크고 깊다는 뜻이다. 금오동천은...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과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걸쳐 있는 산. 태양 속에 산다는 세 발 달린 황금빛 까마귀[金烏]가 저녁노을 속에 금빛 날개를 펼치며 비상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해발고도 976.6m의 금오산은 선캄브리아기의 화강암질 편마암을 뚫고 분출한 중생대 백악기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안산암과 유문암으로 구성된 금오산 화산암류는 침식에...
-
경상북도 구미시, 칠곡군, 김천시의 경계에 위치한 도립 공원. 금오산은 군사 요충지로 한양과 부산을 잇는 길목을 지키고 있는 산이어서, 고대시대부터 조선시대 말까지 군창(軍倉)과 군영(軍營)이 있었던 굳건한 산성과 산성 마을이 있었다. 병자호란 때와 임진왜란 때 군·관·민이 함께 피난을 했던 금오산성은 금오산 동쪽 계곡을 막은 외성(外城)과 정상 아래 넓은 분...
-
경상북도 구미시와 김천시,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걸쳐있는 금오산에 세워진 고려 말기의 산성.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해발 976m의 험준한 금오산의 정상부와 계곡을 감싸 내·외성 2중으로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내성은 정상부에 테를 두른 모양으로 쌓았는데 둘레가 10리나 되며, 험한 절벽에는 따로 성벽을 쌓지 않았다. 외성은 계곡을 감쌌는데 둘레가 5리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개인 혹은 기업의 금융 거래에 대한 중계를 주요 업무로 하는 기관. 금융 거래가 발생한다는 것은 금융 자산이 거래 당사자 간에 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 기관은 이러한 금융 거래를 중개하는 기관으로 금융 중개 기관이라고도 한다. 금융 기관은 기업으로 대표되는 자금 수요자에게 융자 또는 자금 수요자가 발행한 유가 증권을 매입하고, 이를 위한 자금은...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영리의 봉화산 맑은 물을 이용하여 친환경농법으로 생산하는 쌀. 금종쌀은 경상북도 칠곡군 봉화산 맑은 물로 정성껏 농사지은 쌀로서, 친환경 및 특수 농법으로 재배한다. 청결하게 자가 도정하여, 5℃의 저온 창고에서 보관하므로 신선한 쌀눈이 붙어 있어 영양이 풍부하다. 금종쌀은 소비자로부터 밥맛이 부드럽고 구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
-
조선 후기 칠곡 출생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문거(文擧), 호는 금호(錦湖).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이다. 좌랑 기중(沂中)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이이엽(李以曄)이고 어머니는 풍양조씨, 부인은 청주정씨이다. 1828년(순조 28)에 태어나 재주와 사람된 바탕과...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무산(錦舞山)의 첫 글자와 대정호(大汀湖)의 마지막 글자를 따서 금호(錦湖)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도촌면(道村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불동, 자원, 빈주, 내도의 일부와 노곡면 왕방(旺方)을 병합하여 금호라 하고 칠곡군 지천면(枝川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금호리는...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금호리 일대에 위치한 절터. 금호리 사지는 동편으로는 의흥 김씨 묘역이 조성되어 있고 왼편으로는 계곡을 끼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부처골’ 또는 ‘부치골’이라고 불리고 있다. 주민들의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곳에 옛날에는 절이 있었다고 하여 그렇게 불린다고 한다. 금호리 사지는 금호리 유물산포지 북서면, 부치골 끝자락에서 민묘...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금호리에 있는 유물산포지. 칠곡군 지천면 금호리 불동마을에서 북쪽으로 부치골 너머 산자락 포도 경작지 일대이다. 현재 칠곡 영남권 화물터미널 및 컨테이너기지 건설을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우회 도로가 신설되어 있어 도로를 따라 가다 연화리를 지나서 우회전하면 금호영농조합건물이 있다. 조합 맞은편에 있는 구릉 남사면에 유물산포지가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금화리에 있는 저수지. 금화 저수지는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오염되지 않은 자연미를 가지고 있다. 금화 저수지의 제방 쪽 상류에는 금화 계곡과 신라 시대에 창건됐다고 전해진 금곡사가 자리 잡고 있고, 계곡 주변에 관관농원이 조성되어 있어 칠곡군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유명하다. 금화 저수지는 중(中) 규모의 농업용수 개발을 목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