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도로·철도·인도 등이 장애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高架) 구조물. 2013년 현재 칠곡군은 교량 173개소[총 1만 2598m]를 가지고 있다. 고속 국도 97개소[6,932m], 일반 국도 45개소[4,368m], 지방도 10개소[631m], 그리고 시군도 21개소[667m]이다. 낙동강을 건너는 칠곡군의 교량은 7개소이다. 가장...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자신을 사랑하는 어린이, 배움을 즐기는 어린이, 자연과 문화에 대한 감성을 지닌 어린이, 더불어 사는 행복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올바르게 생각하고 슬기롭게 공부하자’이다. 1949년 9월 1일 다부 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4일 병설 유치원이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 1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1960년 제1대 교역자인 김병기 전도사에 의해 설립되었다. 지역 주민의 영혼 구원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다부동 거주 교인들이 먼 거리에 있던 금화교회로 출석을 하고 있었기에 교인들의 편리 및 당시 지역으로의 안식교 침투를 사전에 방지코자 현재의 주소에 설립되었다. 최초의 예배 장소는 1960년 7월 교...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전쟁 기념관. 호국의 고장에 6·25 전쟁 전적지를 개발함으로써 호국 영령을 추모하고 안보 의식을 고취하여 전후 세대에 대한 전쟁의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설립하였다. 1981년 11월 30일 준공하였으며, 충혼비와 구국관은 1995년 6월 24일 준공하였다. 구국 용사 명각비는 1997년 6월 24일에 준공하여 1997년 6월~20...
-
6·25 전쟁 때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 일원에서 벌어진 전투. 다부동은 다부원(多富院)이라고도 한다. 곧 조선시대 출장 관원을 위한 국영 숙박 시설인 원이 있었으며, 다부원은 칠곡 고평역(高平驛), 선산 연향역(延香驛), 인동 양원역(楊原驛)과 통했다. 다부동은 대구 북쪽으로부터 22㎞, 남북으로 ‘대구-안동’ 국도, ‘대구-상주’ 국도가 지나고 있고...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전쟁 기념관. 호국의 고장에 6·25 전쟁 전적지를 개발함으로써 호국 영령을 추모하고 안보 의식을 고취하여 전후 세대에 대한 전쟁의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설립하였다. 1981년 11월 30일 준공하였으며, 충혼비와 구국관은 1995년 6월 24일 준공하였다. 구국 용사 명각비는 1997년 6월 24일에 준공하여 1997년 6월~20...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다부원(多富院)이 있는 곳이라고 하여 ‘다부(多富)’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석적면(石積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거문, 원증 일부를 병합하여 다부라 하고 칠곡군 가산면(架山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한천(漢川)이 백운산(白雲山)[713.4m]과 황학산(黃鶴山)[762m]...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다부 초등학교에서 대구예술대학교로 난 길을 따라 조금 들어가면 다부동 섬마을에 위치한 가산 기독교수양원이 나온다. 수양원 주변의 야산 일대가 다부리 고분군이다. 중앙고속도로 건설로 인한 구제 발굴에서 22기의 돌덧널무덤을 발굴하였는데, 돌덧널의 주변에 적석을 깔아서 무덤 범위를 표시한 무덤...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의 동제. 가산면 다부리에서 지냈던 마을 제사로 폐절되어 오래전부터 모시지 않는다. 마을 앞에 여러 그루의 느티나무를 모셨는데, 원래는 오래된 소나무였으나 죽은 후 다시 심었다고 한다. 유교식으로 지냈는데, 제관(祭官)은 음력 정월 12일, 13일에 제관 1명, 수전(修奠, 제수를 장만하는 사람) 1명을 생기복덕(生氣福德)을 봐서...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부사 오진영(吳晋泳)의 공덕비.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조선시대 부사 오진영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영세불망비로서, 가산면 다부리 다부동 전적비가 있는 국도 건너편 마을 하천변에 있었다. 화강암의 재질로 길이가 170㎝이며 폭이 50㎝, 두께가 15㎝이다. 불망비의 전면에 “侯之德 侯之德 奈仁民之無福...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조선시대 자기가마터.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서 조선시대 자기가마터가 확인됨에 따라 다부리 요지라고 불린다. 다부리 요지의 조성 시기와 자기 수급에 관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1990년 경북대학교박물관의 발굴 조사에서 분청사기, 조선청자, 백자 등이 발견됨으로써 조선시대 때 조업이 행해졌던 유적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유물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6·25전쟁의 최고 격전지. 6·25전쟁 때 대구 방어에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던 다부리의 전투 전적지이다. 다부리는 북서쪽으로 유학산이 있고, 북쪽에는 횡격실(橫隔室)을 이루고 있다. 동쪽에는 지역 내에서 가장 높은 가산(架山)[902m]이 있어 방어에 유리하였다. 반면, 6·25전쟁 중 이 방어선이 돌파되면 10㎞ 남쪽...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서의 전쟁 참상을 보고 조지훈이 지은 시. 6·25전쟁 때 공군 종군문인단(從軍文人團)에 소속되어 있던 조지훈이 가산면 다부리에서 전쟁의 참상을 직접 보고 경험한 것을 시인의 감회로서 쓴 시(詩)이다. 6·25전쟁 중 가장 치열했던 다부동전투가 한 달여간 계속된 후 전쟁으로 황폐된 현장을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한 전쟁시(戰爭詩)...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에 있는 절연선, 케이블 및 전자부품 제조 중소기업. 다산전자는 유비쿼터스의 핵심근간인 ‘네트워크’기술을 기반으로 광고 기술에 주력하고 있다. 2005년에 전자액자, LCD광고용 모니터인 아트 프레임(art Frame)의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2006년에는 멀티 프레임(multi Frame)과 차량용 후방 전광판을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교리에서 우렁이 농법과 친환경 농법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쌀. 칠곡군 다송쌀은 금오산의 본류인 경호천 맑은 물로 농사지은 쌀이다. 청결하게 도정한 후 5℃ 이하의 저온창고에서 보관하여 신선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쌀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경로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약 6~7천 년 전 인도 동북부 지역인 아삼에서 중국 운남과 북...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서 재배되는 감나무속 낙엽교목 식물인 단감나무의 열매. 금오산 남쪽 아래 바람 없고 햇살 많은 북삼읍 숭오리에서 재배되는 단감으로 달고 아삭한 맛이 일품이다. 북삼숭오단감작목반, 금오산 친환경단감 작목반 등에서 재배하고 있다. 단감은 영양 가치가 매우 높은 과일 중의 하나로 다른 과일에 비해서 수분은 적은 편이며, 당분은 약 14...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단오의 ‘단(端)’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자는 오(五), 곧 다섯이란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은 양수(陽數)인 홀수가 겹치는 3월 3일, 5월 5일, 6월 6일, 7월 7일, 9월 9일 등을 양기(陽氣)가 가득 찬 길일(吉日)로 치면서, 그 중에서도 5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단오의 ‘단(端)’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자는 오(五), 곧 다섯이란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은 양수(陽數)인 홀수가 겹치는 3월 3일, 5월 5일, 6월 6일, 7월 7일, 9월 9일 등을 양기(陽氣)가 가득 찬 길일(吉日)로 치면서, 그 중에서도 5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장례 때 하관(下官) 후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었다. 가창 방식은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뉜 선후창에 해당한다. 후렴을 제외한 가사를 선창자가 부르고 이어서 “어허달구요”라는 후렴을 후창자가 부르는 분련체 방식이다. 4음절을 표준 음절수로 하며 2음보 1행이 규칙적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장례 때 하관(下官) 후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었다. 가창 방식은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뉜 선후창에 해당한다. 후렴을 제외한 가사를 선창자가 부르고 이어서 “어허달구요”라는 후렴을 후창자가 부르는 분련체 방식이다. 4음절을 표준 음절수로 하며 2음보 1행이 규칙적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장례 때 하관(下官) 후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었다. 가창 방식은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뉜 선후창에 해당한다. 후렴을 제외한 가사를 선창자가 부르고 이어서 “어허달구요”라는 후렴을 후창자가 부르는 분련체 방식이다. 4음절을 표준 음절수로 하며 2음보 1행이 규칙적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장례 때 하관(下官) 후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었다. 가창 방식은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뉜 선후창에 해당한다. 후렴을 제외한 가사를 선창자가 부르고 이어서 “어허달구요”라는 후렴을 후창자가 부르는 분련체 방식이다. 4음절을 표준 음절수로 하며 2음보 1행이 규칙적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월 대보름 날에 산에 올라 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속. 정월 대보름날 초저녁에 마을 주변의 산위에 올라가 달맞이를 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떠오르는 달에 소원 성취를 빌며 공손히 절을 했는데, 이는 달의 신성성에 의해 소원이 성취될 것이라는 속신(俗信)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보름달을 보고 달빛에 따라 1년 농사를 미리 점쳐 보기도...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월 대보름날 밤에 행하는 풍속.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르면 달집에 불을 놓는다. 이때 연기나 불길의 모양으로 한 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하였다. 즉 달집이 잘 타거나 연기가 많이 올라가야 그 해 마을에 풍년이 깃든다고 생각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달집태우기를 ‘달불놓기’라 불렀는데, 동명면 남원리, 북삼읍 율리 등 마을에서는 개인의 소원을 빌고 마을의...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율리의 농가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에 콩으로 행하는 점풍(占豊). 달불이는 ‘달불음’ 또는 한자어로는 ‘월자(月滋) 라고도 한다. 이는 인위적으로 만든 상태에 나타나는 자연현상을 보고 어느 달이 농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판단하는 일종의 점법이다. 칠곡군 북삼읍 율리의 농가에서는 섣달 그믐 날에 콩을 찬물에 담가 두었다가, 정월 초하룻...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율리의 농가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에 콩으로 행하는 점풍(占豊). 달불이는 ‘달불음’ 또는 한자어로는 ‘월자(月滋) 라고도 한다. 이는 인위적으로 만든 상태에 나타나는 자연현상을 보고 어느 달이 농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판단하는 일종의 점법이다. 칠곡군 북삼읍 율리의 농가에서는 섣달 그믐 날에 콩을 찬물에 담가 두었다가, 정월 초하룻...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달방산(達坊山)의 서쪽(西)에 위치한다고 하여 달서(達西)라고 불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상지면(上枝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동원, 서원, 석문의 일부를 병합하여 달서라 하고 칠곡군 지천면(枝川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달서리는 이언천(伊彦川) 양안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에 분포되어 있는 고려시대 고분군.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 서원골마을에 있는 자봉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 말단부에 분포되어 있는 분묘군으로 약 20여기가 위치하고 있다. 달서리 서원골마을 북서쪽의 달서리 사지에서 계곡을 따라 약 200m 더 올라가면 시멘트 포장길 좌측으로 작은 계곡이 갈라지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서 남동쪽...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 일대에 있는 절터. 석탑이 있었다고 하나 다른 곳으로 이건했다고 하며, 1992년경에는 마을 주민 이해수의 논 180-1번지에서 논을 갈다가 금동불상을 발견한 적도 있다고 전한다. 달서리 사지는 현재 계곡을 사이에 두고 북쪽은 계단식 논, 남쪽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는데 이곳에서 다량의 와편과 토기편 등이 확인되고 있다. 유적은 달서리 서원골...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에 있는 고려시대 자기가마터.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에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가 확인됨에 따라 ‘달서리 요지’라고 불린다. 달서리 요지의 조성 시기와 자기 수급에 관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단 지표 조사에서 고려시대 녹청자편이 발견됨으로써 고려시대 때에 조업이 행해졌던 유적으로 추정된다. 달서리 요지는 달서...
-
서진을 시조로 하고 서순조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달성 서씨(達城徐氏) 시조(始祖)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역임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져 달성[현재 대구광역시]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아 그곳에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그런 연유로 후손들이 본관을 달성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금산리에 있는 산. 해발고도 177m의 나지막한 야산이다. 파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산은 구릉성 산지로서 대체로 완만하나 북쪽 사면에는 각력질 암설이 쌓인 애추가 나타난다. 파산은 왜관읍 왜관리의 안산으로서 왜관읍을 보호하여 재앙을 막아주는 산으로 북쪽 골짜기로는 경부선 철로가 달리며, 남쪽에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월 대보름날 밤에 행하는 풍속.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르면 달집에 불을 놓는다. 이때 연기나 불길의 모양으로 한 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하였다. 즉 달집이 잘 타거나 연기가 많이 올라가야 그 해 마을에 풍년이 깃든다고 생각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달집태우기를 ‘달불놓기’라 불렀는데, 동명면 남원리, 북삼읍 율리 등 마을에서는 개인의 소원을 빌고 마을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무르게 익은 콩을 단기 발효시켜서 만든 속성 된장. 청국장은 삶은 콩을 뜨거운 곳에서 발효시켜 누룩곰팡이가 생기도록 만든 속성 장류이다. 된장은 발효시켜서 먹기까지 몇 달이 걸리지만 청국장은 담가서 2~3일이면 먹을 수 있다. 즉, 콩 발효 식품류 중 가장 짧은 기일에 만들 수 있는 장이 청국장인 것이다. 칠곡 지역에도 청국장은 농촌에서 가장 쉽게 만...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혜지(惠之), 호는 담수(淡叟).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생부는 이덕중(李德中)이고 이효중(李孝中)의 양자로 입계(入系)했다. 어머니는 의성김씨, 부인은 진주유씨이다. 1769년(영조 45)에 태어나서 1813...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명절. 삼짇날은 3이 3번 겹친 길일(吉日)로 봄이 본격적으로 돌아온 절기이다. 이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오는 날이기도 하다. 이날은 만물이 소생하는 왕성한 만춘의 봄기운으로 인해 야외에서 행해지는 풍속이 많은 날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날 쑥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산으로 가서 화전놀이를 즐기며 진달래꽃을...
-
고려 전기 천태종을 창종한 승려. 성은 왕씨(王氏), 휘(諱)는 석후(釋煦), 자는 의천(義天), 호는 우세(祐世), 시호(諡號)는 대각국사(大覺國師). 1055년(문종 9)에 송악에서 문종과 인예왕후가 일찍이 숙세(宿世)의 인연으로 한 때 묘하게 계합(契合)하여 국사(國師)가 기이함을 가지고 태어났다.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한 고승(高僧)으로 아버지는 고려 11대 왕인 문종이며 문...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있는 화학섬유 직물 직조 중소기업.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생산·수출하고, 부동산 임대업을 겸하는 기업이다. 주요 수출 국가는 아랍에미레이트(UAE)이다. 1977년 12월에 설립되었으며, 1978년 4월에 동해섬유공업사를 인수하여 기업의 규모를 더욱 확장하였다. 1982년에 수출 ‘천만불탑’을 수상하고, 1988년 3월에 한일은행으로부터 유망중소기...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학생, 심신이 건강하고 정의로운 학생, 슬기롭고 창의적인 학생, 꿈을 키워 행복을 나누는 학생을 키워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한다.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새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칠곡군의 인구 증가에 따라 2005년 석적읍에 신설된 초등학교이다. 2005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에 있는 영진 전문 대학교 부설의 영어 교육 시설. 각 지방의 영어 마을은 지역 주민과 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을 통하여 각 지방 자치 단체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며, 우수한 원어민 교사가 참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체험을 통해 기본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및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과 자신감을 배양한다. 대구 경북 영어 마...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예술 특성화 사립 대학교. 대한민국의 교육 정신에 입각하여 창의력과 진취적 사고방식을 가진 인재를 배출하고 예술을 통해 국가와 인류 사회에 공헌하는 예술인을 양성한다는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교양인[전문적 실기 교육, 창의적 예술 교육], 개방적 전문인[실용적 외국어 교육, 첨단 정보화 교육]을 육성하여 창의적 예술...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부동산 등기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행정 기관. 대구 지방 법원 칠곡 등기소는 대구 지방 법원의 관할 구역 중에서 칠곡 지역의 등기 사무를 처리할 권한을 가진 행정 기관이다. 원칙적으로 칠곡 지역 내에 존재하는 부동산에 관해서만 등기 사무를 행할 권한이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16년 1월 24일 대구 지방 법원 왜관 출장...
-
일제강점기 대구사범학교에서 칠곡 출신의 장세파 등이 소속되어 활동한 항일 학생운동. 대구사범학교에는 문예부, 연구부, 다혁당 등 3개의 비밀결사가 결성되어 학생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서로의 연관성을 가지면서도 독자적으로 움직였다. 이들 비밀결사는 학교 내·외에서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을 준비하고자 한 학생 비밀결사였으며, 1940년대 학생운동의 대표적 조직이었다. 1940년...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공동묘지. 대구광역시에 인접한 지리적 조건으로 대구광역시가 건립하고 운영하는 공원묘지 4개 지구 중 3개 지구가 칠곡군에 위치하고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과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산 25 일대에 동명가족묘지가 1935년 4월 20일에 개설되었고 1964년 6월 11일에 칠곡군 동명면 학명리 산 145...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자동차 부품용 및 산업용 스프링 제조 중소기업. 1988년 2월에 설립된 대구정밀은 1991년 6월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1999년 6월에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됨으로써 성장 가능성을 인정 받아왔다. 2000년 7월에 벤처기업으로 등록된 후, 기업의 위상이 강화되어, 2007년 9월에는 구조개선 모델기업...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에 있는 세무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 기관. 지방 세무 관서(地方稅務官署) 직제에 의하면 세무서는 세무에 관한 소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방 국세청 소속하에 각 지구에 설치된 지방 행정 기관으로 국세청과 지방 국세청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다. 납세자는 물론 일반 국민을 상대로 내국세 부과·징수의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민원 사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일원에 조성되어 있는 산업단지. 2011년 현재 우리나라의 기초 지방자치 단체는 230개다.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모두가 자기 지역이 최고라고 자랑하고 있다. 이들 자치단체가 가장 먼저 내세우기 좋아하는 말이 있다면 무엇일까? 한번쯤은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가장 많이 하는 말 중의 하나는 아마도 ‘기업하기 좋은 도시...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末寺)로 신라시대 고찰(古刹)인 대둔사는 해발 420m 정도의 산허리에 터를 잡아 전면의 팔공산을 향해 사역을 조성하고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지정 전통사찰 147호이다. 대둔사는 신라 고찰이라고 구전될 뿐 정확한 기록이 없어 창건 연대 및 이후의 사적을...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대둔사 초입에 있는 부도. 대둔사 입구에 위치한 석종형 부도로 홍수로 수몰된 뒤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해 안치한 것이라고 한다.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의 대둔사 진입로를 따라가다 주차장을 지나면 바로 진입로 변에 위치하고 있다. 방형좌대 위에 종형의 탑신, 그리고 지붕돌[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석질과 형태 등으...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일대에 있는 절터. 원래 대둔사는 신라 고찰(古刹)이라고 구전할 뿐 정확한 기록이 없어 창건년대 및 이후의 사적을 알 수 없는데, 『칠곡부읍지』에 "대둔사 재가산산성북문외(大芚寺 在架山山城北門外)" 라는 기록을 볼 수 있어 대둔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인 대둔사가 위치한 일대로, 주변에서...
-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 칠곡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제도. 신라 시대에는 칠촌(七村) 혹은 대목현(大木縣), 남북국 시대에는 계자현(谿子縣), 고려 시대에는 약목현(若木縣)으로 바뀌면서 존재하였으나, 1390년(공양왕 2)에는 인동현(仁同縣)에 소속되었다. 1914년에 칠곡군으로 편입되어 약목면이 되었다. 목(木)은 ‘그루’, ‘그루터기’의 표기로 성(城)을 뜻하는 고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정월 대보름은 새해 첫 번째 드는 큰 보름날이란 뜻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대보름이 설 다음에 오는 큰 명절로 인식되어 있다. 이날에는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한 민속 행사가 벌어진다. 특히 보름날 저녁에는 달을 보고 절을 하며 풍년을 기원하고 액운이 없기를 소망한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전통 사...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영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인동(仁同)인 장경달(張慶達)을 추모하기 위해 인동장씨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장경달의 자는 태정(泰亭)이며 호는 만취당(晩翠堂)이다. 장내량(張乃亮)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에 태어났고 1699년(숙종 23)에 사망했다.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영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송재는 정면 4칸,...
-
조선 말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명서(明瑞), 호는 대암(大菴).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로 하는 달성배씨로 을축사화(乙丑士禍)로 인하여 경산부 팔거(八莒)에 와서 정착한 성담(聖潭) 배이훈(裵以纁)의 후손으로 배덕준(裵德俊)의 아들이다. 1827년(순조 27)에 칠곡군 칠곡읍[현 대구광역시 북구]에서 태어나...
-
일제강점기 칠곡의 유생.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대연(大淵), 호는 하잠(荷岑). 고려 때 예부상서를 지낸 박선(朴善)을 1세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본관을 함양으로 하는 함양박씨이다. 성주군 선남면 오도종마을에서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로 입향한 송천(松泉) 박철산(朴鐵山)의 후손인 유행 박윤무(朴胤武)의 후손이다. 사미헌 장복추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진리를 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음·식료품 및 담배 가공기계 제조 중소기업. 곡물 가공 기계 제조 및 미곡 종합처리장 설비 기업으로 도정기, 연속식 건조기, 색채 선별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 대만, 인도, 일본, 러시아 등이 있다. 1970년에 성창기계라는 상호로 설립되었으며, 1982년 11월에 대원산업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1년에 상공부장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자동차 외장 전문도장 및 범퍼 가드 등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1999년 2월에 대구공장의 설립과 함께 출발한 대일기업은 2000년에 칠곡군 왜관읍으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2001년 2월에 모야플라스틱과 생산 협정을 체결하였고, 같은 해 10월에는 쌍용차의 범퍼 가드를 생산하였다. 2002년 4월에는 ISO-9002와 QS-9000 인증을 취...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대재(大材), 호는 공암(孔巖). 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벽진태수로 용맹을 떨쳤던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는 벽진이씨 후손으로, 아버지는 참봉 이운(李運)이고, 어머니는 덕산황씨, 부인은 월성최씨이다. 1535년(중종 30)에 태어나 1564년(명종 1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73년(선조 6)에 문과에 급제하여...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위치한 경북과학대학 식품공장에서 생산되는 감식초. 대학촌감식초는 전통 식품의 과학화를 추구하는 경북과학대학 식품연구소 교수진에 의하여 연구·개발되었으며, 비타민 C와 미네랄이 풍부한 감과실 100%만을 원료로 하여 첨단 발효 공법으로 생산되는 위생적인 알카리성 식품으로, 각종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된 품질이 우수한 제품이다....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위치한 경북과학대학 식품공장에서 생산되는 감식초. 대학촌감식초는 전통 식품의 과학화를 추구하는 경북과학대학 식품연구소 교수진에 의하여 연구·개발되었으며, 비타민 C와 미네랄이 풍부한 감과실 100%만을 원료로 하여 첨단 발효 공법으로 생산되는 위생적인 알카리성 식품으로, 각종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된 품질이 우수한 제품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군의 친일 부호 장승원을 처단한 독립운동 단체. 1913년 경상북도 풍기에서 채기중(蔡基中) 등을 중심으로 결성된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1915년 1월 15일 대구에서 윤상태(尹相泰) 등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의 일부 인사들이 1915년 7월 15일 통합하여 결성하였다. 총사령은 박상진(朴尙鎭), 부사령은 이석대(李奭大)[일명 李...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노인들의 복지와 권익 향상을 위해 설립된 사회단체. 대한 노인회의 설립은 1969년 1월에 전국 노인정 회장이 중심이 되어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연합 회장에 황한영을 선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1969년 4월 단체의 명칭을 대한 노인회로 개칭하고 초대 회장에 이용한을 선출하였다. 1970년 4월 사단 법인 설립 허가를 받았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6·25 참전 유공자들의 복지와 권익 향상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 .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는 6·25 전쟁 참전 국가 유공자들의 노후 대책과 회원들의 명예와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2000년 10월 27일 칠곡군 재향 군인회 주관으로 6·25 참전 전우회 칠곡군 지회 창립 발기인 총회를 개최하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대한민국 상이군경회의 칠곡군 지회(支會). 회원이 상부상조하여 자활 능력을 배양하고 유공자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조국 통일 성업 달성과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데 있다. 1951년 5월 15일에 대한 상이군인회 경북 지부 칠곡군 지회가 발족하여, 1953년 10월 1일에 대한 상이용사회 경북 지부 칠곡군 지회로 개정되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대한민국 상이군경회의 칠곡군 지회(支會). 회원이 상부상조하여 자활 능력을 배양하고 유공자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조국 통일 성업 달성과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데 있다. 1951년 5월 15일에 대한 상이군인회 경북 지부 칠곡군 지회가 발족하여, 1953년 10월 1일에 대한 상이용사회 경북 지부 칠곡군 지회로 개정되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에 있는 인도주의적인 사업을 실천하기 위한 봉사 단체. 대한 적십자 봉사회 칠곡 지구 협의회는 대한 적십자의 여러 활동 영역 중 하나인 봉사 사업을 지역 단위에서 더욱 가까이 실현하고자 설립되었다. 지역 사회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금전적인 보상을 바라지 아니하며,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직접 발굴하여 사랑과 봉사를 실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토지 및 부동산 측량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기관. 한국 국토 정보 공사 칠곡군 지사는 지적(地籍) 측량 기술의 개발 및 지적 제도의 발전을 통해 국민의 재산권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국가 산업 단지, 왜관 산업 단지, 기산 농공 단지 등 도·농 복합형 도시라는 칠곡군의 경제·산업 특징 및 단군 위패와 영정을 봉안한 국조...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지회를 두고 있던 계몽운동 단체. 대한협회는 1907년 8월에 일제의 고종 강제퇴위 강요에 반대 시위를 주도하다가 해산당한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의 간부들과 천도교의 주요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창립된 계몽운동 단체이다. ‘나라의 비운과 인민의 행복은 오직 실력 여하에 달려 있으므로, 정치·교육·산업을 통해 실력을 달성해야 한다’는 실력양성론적 활동...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 일대에 있는 절터. 대흥사지는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 서티마을에 있는 절로 현재는 승려들이 수양하고 있는 공간이다. 대흥사지에 대해서는 『교남지(嶠南誌)』에 “재군서사십리 서진산 약목거 김해지김 철성지이양씨 선묘구재일산이록 각건제사개무후 임진후 승도결사 어구제기 내위대찰(在郡西四十里西鎭山 若木居 金海之金 鐵城之李 兩氏先墓...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 대흥사지에 있는 부도군. 대흥사지 부도군(大興寺址 浮屠群)은 대흥사지 동쪽 계곡으로 50m 정도 지점에 위치한다. 평탄한 대지에 부도 8기가 일렬로 늘어선 모습인데, 끝에 1기는 공간 부족인지 열을 벗어나 전체적으로 ‘ㄱ’자 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산리 서티마을에서 북쪽으로 2㎞ 지점인 서진산 계곡 사면에 있다. 근년...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있는 골판지 및 골판지 상자 제조업체. 가산면 학산로 102[학하리 771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대흥포장공업사는 참외, 야채, 공산품, 과일 박스 등 각종 부속품을 담는 골판지 상자를 주요 품목으로 하고 있는 업체이다. 1990년 5월에 칠곡 특산단지 8호로 설립되었다. 2011년 현재 상시 종업원 수는 9명이다. 생산되는 박스는 저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덕경(德卿)이고 호는 삼소재(三疎齋).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완석정 이언영(李彦英)의 현손이고 오일헌 이주세(李柱世)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양주조씨, 부인은 밀양박씨이다. 1702년(숙종 28)에 태어나 1740년(영조 16)에 생원시에 합...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이홍(爾弘), 호는 덕봉(德峯).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이다. 완정 이언영(李彦英)의 증손이고 덕봉(德峯) 이해발(李海潑)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풍양조씨, 부인은 남원윤씨이다. 1674년(현종 15)에 태어났다. 하늘에서 선천적으로 타고난...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덕산리에 있는 말무덤. 약목면 덕산리에는 임진왜란 때 손사인용이 아끼던 말이 왜병을 물어죽이고 죽임을 당하자 묻어주었다는 말무덤에 관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이곳을 ‘말무덤골’이라 불렀고 지금도 1기의 대형 말무덤이 전한다. 덕산리 덕뫼 마을회관에서 길을 따라 남쪽으로 20~30m 정도 내려가면 덕산들로 난 곧은 길을 만난다...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덕산리에 있는 유물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속하는 법정리. 들판 한가운데에 독산(獨山)이 있는데, 발음이 변화하여 덕산(德山)이 되었다. 자연 마을인 독뫼 마을은 마을 앞 넓은 들판 가운데 솔숲의 구릉지[獨山]를 의미한다. 임호(林湖) 마을은 마을 앞 커다란 못 이름에서 따왔다. 관성리(觀星里) 마을은 뒷산에 관성대(觀星臺)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약목면(若木面)...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리(德山里)[지천면] 이름은 인근의 산 이름에서 유래한 것인지, 구릉지 독산(獨山)의 변형이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덕천(德川)과 만산(萬山)에서 따온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이언면(伊彦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판동, 상이(上伊), 시기(市基)의 일부와 상지면 하...
-
이존술을 시조로 하고 이운현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덕산 이씨(德山李氏) 시조(始祖) 이존술(李存述)은 고려 명종 때 덕풍(德豊: 또는 덕산)호장을 지냈다. 아들 이언후(李彦厚), 손자 이극보(李克甫)는 모두 검교(檢校)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덕풍호장을 충남 예산군 덕산에서 지낸 연유로 덕산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繼承...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화학섬유 직물·직조 중소기업. 폴리에스테르 직물 등 정장용 의류원단을 제조·수출하는 업체이며, 주요 교역 대상국가는 미국, 캐나다 및 아시아, 유럽, 중동 지역의 국가들이다. 1994년 10월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3월에 병역특례업체로 지정되었다. 2001년 11월 제38회 무역의 날에 ‘5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였고, 2002년 1...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1년 2월 17일 칠곡군 왜관면 석전동에서 태어나, 약목(若木)에 있는 동락의숙(同樂義塾)과 서울 보혜학교(普惠學校)를 수학하였다. 1919년에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하여, 1920년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지게 하였다. 1924년에 체포되어 복역 중에 병보석 되었으나 고문의 여독으로 1927년에 순국하였다. 1913년 경상남도 밀양(密陽)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덕은(德隱).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이정립(李廷立)이고, 어머니는 광주노씨, 부인은 성주이씨이다. 1717년(숙종 43)에 태어나서 1759년(영조 35)에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했다. 벼슬은 좌랑(佐郞)...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덕현(德鉉).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원지(元之) 이인부(李仁符)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정운(李挺運)이고 어머니는 영일정씨, 부인은 강진안씨·진주강씨이다. 1789년(정조 13)에 태어나 1844년(헌종 10)...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덕회(德晦), 호는 여헌(旅軒).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덕녕부윤(德寧府尹) 장안세(張安世)의 8세손이며, 증 이조판서 장열(張烈)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경산이씨, 부인은 청주정씨이다. 1595년(선조 28)에 학문과 덕행으로 천거되어 보은현감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덕후(德厚), 호는 학서(鶴西).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입칠곡 중조(中祖)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박곡 이원록(李元祿)의 주손(冑孫)이다. 아버지는 이건수(李建秀)이고 어머니는 순천박씨, 부인은 전주최씨·옥산장씨이다. 1873년(고종 10)에 천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이윤 획득을 목적으로 생산·판매·금융 활동 등을 영위하는 경제 조직체. 기업체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배급하는 경제 단위이다. 경제 사회의 분업과 교환의 체계가 형성되면서 생산과 소비는 분화되었고, 이 중 기업체는 생산 경제의 단위체로, 반면 가계는 소비 경제의 단위체로 형성되었다. 여기서 생산 경제의 단위인 기업체는 단순히 유...
-
조선 중기 칠곡에서 활동한 학자 겸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고려 의종 때에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정극경(鄭克卿)을 시조로 삼고 본관을 청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는 청주정씨 성주파(星州派) 10세조 정효충(鄭孝忠)의 후손이다. 감찰 정응상(鄭應祥)의 손자이며 정사중(鄭思中)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신동이라 일컬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문의(文義)인 노암 박윤경(朴潤卿)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박윤경의 자는 군택(君澤), 호는 노암(魯庵)이다. 아버지는 진사(進士) 박세연(朴世延)이며, 1479년(성종 10)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서 태어났다. 한훤당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04년(연산군 4)에 문과급제하여 홍문관...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속하는 법정리. 칠곡군의 중심지인 지금의 왜관읍과 왕래할 수 있는 작은 길이 개발되면서 도개(道開)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의 석적면(石赤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인근의 학전을 병합하여 도개동이라 하고 칠곡군 석적면(石積面)에 편입하였다. 2006년 석적면이 석적읍(石積邑)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른다....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도개2리 배리밭마을의 동제.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모시던 배리밭마을의 동제이다. 산신제와 동제로 이루어져 있다. 산신제를 먼저 모시고 다음에 동제를 모셨다. 지금은 사찰인 삼학사에 동제를 맡겼다. 산신당과 동제당은 마을 입구에 있는데, 산신당은 소나무이며, 동제당은 조산과 당나무(느티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조산은 원추형으로 높이 1m 정도이며...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면 도개리 일대에 있는 절터. 도개리 사지(道開里 寺址)는 도개리 배리밭마을 중단쯤의 산 사면에 인접한 경작지 일대로 추정된다. 도개리 사지는 마을 주민들에 의하면 과거 절이 있었던 자리라고 하지만, 현재는 일부 확인되는 석축 외에는 사지로 추정할 만한 직접적인 유구나 유물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도개리 사지에서는 아직까지 일...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도개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도개리에 있는 알칼리성 수소탄산나트륨형 온천. 지하 820m 화산암반층에서 용출되는 35도의 약알칼리성 수질로 1998년 6월 1일에 개장한 단순천(33.1~33.8도)이다. 게르마늄, 유황 등 인체에 이로운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만성질환, 피부 미용, 신경통, 비만에 효과가 있다는 근거로 도개 온천을 운영하게 되었다. 2007년 9월에 리모델링...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산. 해발고도 348.7m의 산으로 영암산(鈴岩山)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 위치하며,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오랜 기간의 풍화와 침식으로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진달래와 철쭉이 밀생하여 군락을 이루고 있다. 도고산은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위치하며 성주군 선남면 문방리와 접한다. 도고산에서 동쪽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와 지천면 백운리의 경계에 있는 고개. 180여 미터 정도 되는 요술 고개는 실제로 오르막길이지만 내리막길처럼 보여 일명 도깨비 도로로 불리고 있다. 차를 세우고 시동을 끄거나, 캔이나 공 등을 도로에 올려놓으면 거꾸로 올라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요술고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요술 고개는 석적읍 망정리와 지천면 백운리를 잇는 군도...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와 대구광역시 북구 중대동, 동구 덕곡동에 있는 산. 해발고도 659.9m의 산으로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낙동층군 내의 동명층(東明層)이 팔공산 화강암의 관입으로 접촉변성작용을 받은 수성 변성암이다. 도덕산의 북쪽에는 팔공산 화강암과의 경계가 침식된 골짜기가 나타나고, 서쪽에는 변성암 내에 형성된 절리를 따라 형성된 협곡이 나타난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동화사의 말사(末寺)로 송림사에서 동쪽으로 약 4㎞ 오르면 도덕산 해발 400m 산허리에 사역을 조성하고 있다. 사역에 들어서면 입구 우측에 요사체가 있고 정면에 ‘ㄱ’자형 관음전이 있다. 관음전 배면 20척 정도 가파른 지형 위에 좁게 터를 조성하고 나한전, 산령각, 자응전, 요사체...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의 도덕암 나한전(羅漢殿)에 있는 불상·나한상·시자상 등 제상(諸像). 신라 눌지왕 때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도덕암은 사적기에 인조 10년(1632)에 훈장선사가 나한전을 건립하였다는 기록이 전하며, 그 후 1970년 이상호 주지가 나한전을 중수하였다고 한다. 현재 나한전에는 본존인 석가모니불좌상, 우협시 범천의좌상, 좌협시 제석천의좌상의...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도덕암(道德庵)에 전해지는 선의대사(善誼大師)의 초상화. 진영은 좌측 상단에 적색 바탕 위에 묵서(墨書) 종서(縱書)로 ‘몽계당대선사선의진영(夢溪堂大禪師善誼眞影)’ 10자가 쓰여 있어 진영이 몽계당 선의대사의 진영임을 말해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동화사 말사인 도덕암은 역사적으로 신라 눌지왕(訥祗王) 18년인 435년에 창건한 것으로...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여급(汝及), 호는 여남(旅南). 칠곡군 석적읍[인동] 장곡의 입향조로서 선교랑(宣敎郞) 밀양(密陽) 교수(敎授) 도응룡(都應龍)의 아들이다. 1601년(선조 34)에 태어나 문학과 행실로 당세에 추중(推重)되었으며, 1636년(인조 14)에 37세의 나이로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 진사가 되었다. 홍주(洪州)에서 인동 장곡...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전해오는 도둑골의 명칭 유래와 문다지골이 얼음으로 유명하게 된 이야기. 일반적인 지명 유래담은 설화로서의 구성과 체제가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설화의 모습을 거의 지니고 있지 않다.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된 『금오산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에 수록되어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지표의 어느 두 지점 간에 사람이나 물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공용의 노선. 조선 시대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또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매우 단순한 형태의 도로망을 보여 준다. 도로는 주요 도읍 간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표시되고 있다. 자세한 경로가 분명하지 않지만, 경유지의 지명에 따르면 오늘날의 국도망과 유사하다. 도로가...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903년 1월 20일 칠곡군 약목면 덕산동에서 도상필(都相弼)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자는 계현(啓賢), 호는 동포(東浦)이다. 대구 계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독립군 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1927년 신간회(新幹會) 칠곡지회를 결성하여 민족교육운동을 폈다. 1945년에 체포되어 연행 도중 낙동강에 투신 순국하였다. 1919년 3·1독립운동 때...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면 성곡리 유학산에 있는 조계종 사찰. 유학산 중턱에 깎아지른 절벽을 병풍 삼아 있는 비구니 사찰이다. 가파른 지형에 터를 마련하고 종각과 대웅전, 비로전, 석탑, 산신각, 요사 등이 자리하고 있다. 도봉사에서 우측 산길로 약 20분쯤 오르면 깎아지른 듯 한 절벽이 나타나는데, 어른 키로 50질이나 되며 학이 노닐던 곳이라 하여 쉰질바위 또...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오평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여산(礪山)인 석천(石泉) 송유관(宋愉寬)이 지은 무민재(无悶齎)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다시 중건한 재실이다. 송유관은 임진왜란 당시 중국 조정에 사신으로 천거되었다가 왜적들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였다.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조상의 신주(神主)를 받들어 금오산에 들어가 봉양하였다. 대현(大賢)의 문하에 있었으며 후인에게...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도시 근교농업의 형태를 띠고 있는 특작(特作) 농업. 전형적인 도시 근교농업의 형태를 띠고 있는 칠곡 농업의 특징을 한마디로 하면 백화점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종합 세트다. 왜 이런 평을 받는지 궁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없는 작물이 없는 농업이기 때문이다. 없는 것 빼고는 다 있다. 사실 칠곡의 농업은 도시 근교의 장점을 살린 다양성...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에 있는 재실. 도암재는 일암(壹菴) 서순조(徐舜肇)의 추모 재실로 정면 4칸, 측면 1칸 반 규모이다.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고, 평면구성은 중앙의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재실의 가구(架構)는 소로수장형이다....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서 토기나 도자기를 구워내던 가마의 유적. 가마터는 목적과 소성효과(燒成效果)에 따라 많은 종류의 요식(窯式)이 연구되어 왔다. 가마의 경사도(傾斜度)에 따라 평요(平窯)와 등요(登窯)[경사요(傾斜窯)]가 있고, 다시 경사요는 아궁이 이외의 전체가 터널 모양으로 된 지하식(地下式)과 반지하식(半地下式), 지상요(地上窯) 등으로 구분된다. 또 가마굿의...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치달(致達), 호는 도운(陶雲). 신라 때부터 재상(宰相)을 지낸 이순유(李純由)를 시조로 하고, 호장을 지내고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봉하여진 12세손 이장경(李長庚)을 중시조로 하는 성주이씨이다. 칠곡에서 세계를 이어가는 성주이씨는 중시조 이장경의 15세손 통사랑 이석(李碩)을 입향조로 하는 성주이씨 후손이다. 1885...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뇌칙(耒則), 호는 도은(道隱). 신라 때부터 순유(純由)를 시조로 내려오다가 호장을 지내고 경산부원군에 봉해진 12세손 장경(長庚)을 중시조로 하고 본관을 성주로 하는 성주이씨이다. 통훈대부 군자감(軍資監)을 지낸 이덕삼(李德三)이 가문을 빛내어 후손들이 칠곡군 포남리에 세거지를 정하였다.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후손이고...
-
일제강점기에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조선 후기 국권회복 운동으로 전개된 의병전쟁과 계몽운동, 그리고 구국운동은 1910년 국권 피탈 이후 조국 광복을 위한 독립운동으로 발전되었다. 이리하여 독립운동은 1919년 3·1운동과 1920년대 국내외의 무장투쟁으로 발전하여 근대적인 국민국가 수립을 목표로 하는 민족운동으로 승화되었으며, 1930년대 이후 군국주의 일본의 전쟁...
-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치우(致雨), 호는 창랑(滄浪)이다. 장택상은 판서 장석룡(張錫龍)의 손자이며 관찰사 장승원(張承遠)의 3남으로 1893년에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면 오태[현 구미시 오태동]에서 출생했다. 어려서 한학(漢學)을 수학하고 경성의 한성소학교에서 신학문을 수업한 장택상은 일본과 영국에서 유학하면서 독립운동을 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일제의 침략에 맞서 민족의 독립을 위해 운동을 전개한 사람. 독립운동가들은 일제의 한국 침략에 맞서 국권을 수호하거나 일제 강점기에 국내외에서 일제에 저항한 사람들이다. 독립운동의 범위는 한일 병합을 기점으로 앞선 시기에는 크게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후 시기에는 국내외 무장 투쟁, 3·1운동, 노동·농민·학생 운동 등 대중 운...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있는 예술 특성화 사립 대학교. 대한민국의 교육 정신에 입각하여 창의력과 진취적 사고방식을 가진 인재를 배출하고 예술을 통해 국가와 인류 사회에 공헌하는 예술인을 양성한다는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교양인[전문적 실기 교육, 창의적 예술 교육], 개방적 전문인[실용적 외국어 교육, 첨단 정보화 교육]을 육성하여 창의적 예술...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 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400년 전 광주이씨(廣州李氏) 이광복(李光復)이 조선 선조(宣祖) 초에 지천면 상지(上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정착함으로써 후손이 지금까지 살고 있다. 마을 앞 남쪽에 귀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해서 귀바위[耳岩]로 불렀다. 또한 큰 바위가 9개 있다고 구바우 또 돌이 많은 마을이라 돌밭[石田]이라고 불렀다....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희경(熙卿), 호는 동고(東皐).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로 하는 달성배씨이다. 문장과 올바른 행실로 명성이 났다. 1453년(단종 1)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 경은(耕隱) 이맹전(李孟專) 등과 도의(道義)의 사귐을 맺었다. 세조 때 여러...
-
정지원을 시조로 하고 정수['錘'는 '추'로도 읽힌다)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정씨의 근원은 서기 32년(유리왕 9) 육부(六部) 중의 진지촌장(珍支村長)인 지백호(知伯虎)를 정씨(鄭氏)로 사성(賜姓)한 데서 비롯되었다 한다. 시조는 안일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으로 하나 세계(世系)가 확실하지 않아 고려에서 보윤호장(甫尹戶...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 존경당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 유생 정수의 『실기(實記)』 판목.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 존경당(尊敬堂)에 동래정씨의 족보 목판과 함께 보관되어 있는 정수에 관한 기록이다. 인근 오양서당에서 보관해 오던 것을 1998년에 존경당 내 동래정씨 족보 판각(板閣)으로 족보 목판과 함께 옮겨 보관하게 된 것이다. 총 35매이며 장차(張...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정씨의 족보 판목. 동래정씨 문중에서 제작한 족보 판목 242매 중 11매가 결손되고 보존된 판목은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우리의 출판문화를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이대로 방치하면 노후하여 부식될 위험이 절박한 상황이다. 대개 판목이 그러하듯 판목의 장차(張次)가 앞뒤면 모두 새겨졌고 마구리가...
-
조선시대 칠곡을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던 간선 도로. 서울을 영남 지방과 연결하는 간선 도로이므로 영남 대로(嶺南大路)라고 하였다. 노폭은 대체로 4~8m이다. 노면은 황토로 피복되었으며, 비탈길 등의 일부 구간은 박석(薄石) 포장이었다. 영남 대로에 설치되었던 역원은 아래와 같다. 다부역(多富驛)은 소야고개 아래의 역이었고, 소야원(所也院)은 여행하는 관...
-
칠곡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동망(東望).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인 이인손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이다.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의 증손이고, 이해식(李海湜)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의성김씨, 부인은 남평문씨이다. 1674년(현종 15)에 태어나서 1705년(숙종 31)에 사마시에 합격했다. 1...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기본이 바로 선 사람’ 이란 교훈의 이념 아래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를 육성한다. 이를 위해 바른 삶을 가꾸는 인성 함양, 창의력과 잠재력 계발, 미래 사회 적응력 신장, 활기찬 학생 문화 창조, 감성을 키우는 특기 활동을 신장하여 행복한 학교, 보람찬 교단으로 신뢰받는 학교를 만든다. 교훈은 ‘기본이...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즐겁게 사는 어린이,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한다. 정직한 사람, 창의적인 사람, 자율적인 사람을 육성함을 기본 방향으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되자’이다. 1936년 4월 1일에 기남 간이 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43년...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위치한 정기 시장. 동명 시장은 1921년 개설되었으며, 해방 이후 1965년 종합 시장형 공설(公設)시장으로 새롭게 개설되었다. 매월 4일과 9일에 장이 서는 5일장이다. 장날에는 100개 정도의 소형 점포와 25개의 노점상들이 손님들을 맞이한다. 종합시장으로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부추와 쇠고기의 판매로 유명하다. 특히 동...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저수지. 동명 저수지는 농업용수 개발을 목적으로 한 농업용 저수지로 1956년 10월 7일에 착공되어 1961년 11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사업 시행은 농업 기반 공사 칠곡 지사에서 맡았으며, 조사 측량 및 설계와 공사 감독은 농어촌 진흥 공사에서 담당하였다. 동명 저수지의 수계는 낙동강이며 수혜 지역은 칠곡군...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삶을 실천하는 인성 교육의 내실화로 도덕적 품성을 지닌 사람을 기른다. 기본에 충실하고 자율성을 존중하는 교육 과정 운영으로 자율적이고 실력 있는 사람을 기른다. 개별화 교육 전개로 미래 사회를 선도할 경쟁력 있는 재능인을 기른다. 최적의 교육 환경을 지원하는 복지 행정 구현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적인 사람을 기...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생각을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적인 품성],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자주적인 능력],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창의적인 생각], 아름다움을 가꾸는 어린이[아름다운 감성],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한 생활]를 기른다. 교훈은 ‘바르고 튼튼하고 아름답게’이다. 1912년 칠곡면에 4년제 보통학교가 설립되었는데...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과 가산면에 걸쳐 있는 신갈나무 군락지. 동명·가산의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은 신갈나무와 생강나무가 표징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이며, 쇠물푸레와 철쭉꽃이 식별종으로 나타나는 쇠물푸레군(B-1, Fraxinus Sieboldiana Group), 떡갈나무, 까치수영, 제비꽃이 식별종으로 나타나는 떡갈나무...
-
경상북도 칠곡군 동부에 있는 행정 구역. 동명면(東明面)은 대구광역시의 북쪽 관문이며 영남 대로의 요충지였다. 오늘날은 팔공산 도립 공원 가산 지구의 관광 중심지이다. 가산 산성(架山山城) 아래 기성 계곡(箕星溪谷) 주변에 각종 식당과 숙박 시설, 위락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남 대로의 동명원(東明院) 이름을 따서 ‘동명(東明)...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1979년 12월에 칠곡 본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어 초대 정성우[바오로] 신부가 부임하여 사목하였다. 동명면 지역 천주교 신자들의 종교의식과 선교를 위해 설립되었다. 한티로 불리던 현재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신자촌이 형성된 것은 1876년에서 1910년경에 상주, 점촌 등지의...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서 특정 지역이나 수역(水域)에 살고 있는 동물의 모든 종류. 칠곡군은 옛 진한의 땅으로, 경상북도의 서남부,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 동서 양편에 자리 잡은 고장이다. 또한 옛날부터 낙동강을 끼고 있는 수자원과 넓은 평야 지대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우수한 자연 생태계가 보존되고 있는 지역이다. 2006년 10월부터 2007년 4월까지 환경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중소기업. 1981년 9월 동산공업 설립 이후, 1991년 왜관공장으로 이전과 1994년 법인 전환 이후 본격적인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 성장하였다. 1996년에는 현대자동차 2등급 업체 선정과 불량률 100ppm을 달성하였고, 2000년에는 Q.S-9000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3년 신(新)공장 준공 이후인 20...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있는 전자 부품 제조 중소기업. 액정 평판 디스플레이(LCD) 제조업체이며 주요 취급 품목은 액정표시 장치이다. 2002년 10월에 설립되었으며, 엘지 필립스 엘시디 백라이트 유니트사(LG PHILIPS-LCD BACK LIGHT UNIT)의 협력업체로 선정되었다. 2006년 2월에 엘지 필립스 LCD 폴란드 법인 1차 협력업체로 지정되었으며,...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 및 가공·판매 중소기업. 동아금속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파워 호스(Power Hose) 및 라디에이터 호스(Hose)의 클램프(Clamp) 전 제품을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또한 초정밀, 고기능 프레스 부품 개발에 주력하여 고품질, 고부가성 부품을 생산·수출하고 있다. 자체 기술력으로 제품 설계부터 생산 및 내구...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속하는 법정리. 옛날 역동에 있던 동안역(東安驛)의 이름을 따서 동안(東安)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약목면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역동, 내복의 일부를 병합하여 동안이라 하고 칠곡군 약목면(若木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동안리는 서쪽은 경부선 철도를 경계로 복성리와 접하고, 북쪽은 경호천(鏡湖川),...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동안리 일대에 있던 역원. 역원(驛院)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신구 관찰사·감사의 교대 장소나 외국 및 내국 사신의 경유지, 수령을 맞이하는 장소 등 지방 행정의 공식적인 행례나 공무 및 일반 여행자에 대한 편의 제공의 복합적 기능이 수행되었던 곳이다. 동안역(東安驛)은 『한국 지리지 총서』 부읍지 인동 편에 의하면 “인동부(仁同...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 벤처농업은 농업 및 농업 관련 분야에서 지역적 특성, 특수한 농법 및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처기업이 첨단의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것처럼, 벤처농업은 새로운 기술·디자인·마케팅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으로서의...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에 있는 조경 전문 기업. 조경을 기획·설계하고 시공·연출하는 기업으로, 꽃 조형물 및 수생 식물 조경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이다. 감동 조경, 평화 조경, 생태 조경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사람과 함께 아름다운 자연을 창조하는 기업이라 자부하고 있다. 1997년 10월에 경상북도 능금잔치 기념 사과첨성대 시공·연출을 시작으로, 1999년 김천...
-
경상북도 칠곡군의 각 마을 주민들이 한 해의 안녕과 풍년 농사 등을 비는 마을의 제사. 칠곡군의 경우, 1994년 칠곡군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동제가 완전히 없어진 곳은 약목면이며, 왜관읍 2개소, 지천면 4개소, 동명면 8개소, 가산면 5개소, 석적읍 4개소, 북삼읍 5개소, 기산면 2개소 등 30여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계속 줄어들고...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경에 지내는 명절. 동지는 양력 12월 22~23일경이다. 동짓날을 시작으로 밤의 길이가 짧아지고 낮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한다. 그래서 동지를 태양이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한 해가 시작되는 기점으로 여겨 예로부터 중시하였다. 전통 사회에서 동지를 ‘작은설’, ‘아세(亞歲)’라 부른 것도...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설립한 교육기관. 1922년 4월 7일 왜관청년회가 교육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설립한 학교로, 개원하자마자 원생이 크게 늘어 한 달여 만에 170여 명에 이르렀다. 일제강점기 칠곡군 유일의 사학 기관이었으며 채충식 등 청년회 활동가들이 교사로 되어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이수목(李壽穆), 박희중(...
-
조선 전기 칠곡의 효자. 본관은 함양(咸陽). 호는 동천(東川). 고려 때 예부상서를 지낸 박선(朴善)을 1세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는 함양박씨로서 성주군 선남면 오도종마을에서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로 입향한 송천(松泉) 박철산(朴鐵山)의 후손으로 개성부윤 박원택(朴元擇)이 아들이다. 가문은 당상관의 현관무장(顯官武將)을 배출한 명문이었으나 대대로 청빈하여 가세가 곤궁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잘못된 물건을 접촉하거나 일을 잘못 처리하여 생긴다는 질병. ‘동티’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일처리나, 물건에 잘못 접촉한 것 때문에 질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혹은 액운이 끼는 일, 예를 들면 집을 고치거나, 새로운 물건이 집에 들어 온 후, 가족 중에 누군가 아프거나 사고가 생기는 일 등을 말한다. 칠곡군 남원 2리 남창마을 주민들은 손...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잘못된 물건을 접촉하거나 일을 잘못 처리하여 생긴다는 질병. ‘동티’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일처리나, 물건에 잘못 접촉한 것 때문에 질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혹은 액운이 끼는 일, 예를 들면 집을 고치거나, 새로운 물건이 집에 들어 온 후, 가족 중에 누군가 아프거나 사고가 생기는 일 등을 말한다. 칠곡군 남원 2리 남창마을 주민들은 손...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있는 탄산칼슘 제조 및 판매 중소기업. 동호칼슘은 기초 무기화학 물질인 탄산칼슘의 생산을 주요 취급 품목으로 하고 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탄산칼슘을 국내에 매장되어 있는 석탄석을 원료로 생산하여 탄산칼슘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그 결과 탄산칼슘의 수입 대체를 이루어냄으로서 외화 절감은 물론 부존자원을 개발·활용하는 성과를 이루...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있는 탄산칼슘 제조 및 판매 중소기업. 동호칼슘은 기초 무기화학 물질인 탄산칼슘의 생산을 주요 취급 품목으로 하고 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탄산칼슘을 국내에 매장되어 있는 석탄석을 원료로 생산하여 탄산칼슘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그 결과 탄산칼슘의 수입 대체를 이루어냄으로서 외화 절감은 물론 부존자원을 개발·활용하는 성과를 이루...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농군들이 김매기를 마치고 날짜를 잡아 행하던 민속놀이. 7월 중순 무렵이 되면 농사는 세 벌 논매기를 마치고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다. 이때 그동안 수고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고 한바탕 놀이의 장을 마련하는데, 이것을 호미씻이·머슴날·장원례(壯元禮)라고 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를 꼼비기 먹기·풋구·초연(草宴) 등으로 부르는데, 일꾼들이 모여서 술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두벌 논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 칠곡 지역에서 불리는 논매기 노래의 하나로 두 번째 논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이다. “에-헤-이 헤-헤 이하/에-에이 소-오리 잘도 한다.”의 후렴은 칠곡군에서 불리는 두벌 논매기 노래의 내용적 특징인 듯이 보인다. 가령 초벌(아시) 논매기에서는 “오--호이 오-호이 이-하/오--호오리 잘도 한다.”를 후...
-
경상북도 칠곡군의 광주이씨 이원정의 종손 이필주 가(家)에서 보관해 온 『두시언해』 중간본(重刊本). 『두시언해』는 중국 당(唐)나라 두보(杜甫)의 시 전편을 52부(部)로 분류하여 한글로 번역한 시집(詩集)이다. 초간본은 15세기 국어를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며, 1632년(인조 10)에 발간된 중간본은 17세기 국어를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서 국어사(國語史...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군보(君甫).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이다. 대사헌 박곡(朴谷) 후손으로 이세린(李世璘)의 아들인데, 출계(出系)하여 이세위(李世瑋)의 대를 잇는 아들이 되었다. 어머니는 순천박씨, 부인은 의성김씨이다. 1731년(영조 7)...
-
고려 후기의 충신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성노(成老), 호는 둔촌(遁村). 이집(李集)은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로 광주이씨 시조이다. 충목왕(忠穆王) 때 문과에 급제, 벼슬이 판봉상사(判奉常事)에 이르렀다. 1368년(공민왕 17)에 신돈(辛旽)의 비행을 논박하다가 화를 피해 영천(永川)에 사간(司諫) 최원도(崔元道)의 집에서 피신, 신돈이 처형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속하는 법정리. 파계재에서 가산에 이르는 산등성이, 즉 명지등(明智嶝) 아래쪽에 위치하여 득명(得明)이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하북면(下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대현, 가좌, 법성의 일부를 병합하여 득명이라 하고 동명면(東明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득명리는 칠곡군의 동단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고지터마을의 동제. 동명면 득명리 고지터마을에서 마을의 안가태평을 위해 지내는 제사로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마을 뒤에는 ‘웃당’, 마을 앞에는 ‘아랫당’이 있다. 음력 정월 초 3일에 풍물을 치며 ‘농자천하지대본야(農者天下之大本也)’라고 쓰여 있는 천왕기(天王旗)를 들고 웃당에 가서 천왕 내림을 하여 천왕이 지정하는 집이 그 해...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본동마을의 동제. 매년 음력 정월 보름 새벽에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다. 제사를 모신 후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을 하며 화합을 다진다고 한다. 마을회관 길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느티나무 1그루와 소나무 1그루로 구성되어 있다. 정월 초 3일에 천왕(天王)을 받아 천왕이 지정하는 집의 내외가 제관(祭官)이 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자기가마터.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서 자기가마터가 확인됨에 따라 ‘득명리 요지’라고 불린다. 득명리 요지의 조성 시기와 자기 수급에 관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단 2001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의 발굴 조사에서 자기편들이 출토됨으로써 조선시대 때 조업이 행해졌던 유적으로 추정된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유압기기 제조 중소기업. 유압기기 전문 생산업체로서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질적 향상, 규격화 및 다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동안 수입 제품에 의존하던 유압기기의 국산화 성공을 기반으로 향후 더욱 국산화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품질 제일주의 정신과 철저한 애프터서비스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여 기술 우위 미...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보리 등겨를 주원료로 하여 담가 먹던 장. 전통 등겨장은 제조 과정 중 전분 및 단백질 등의 분해로 생성되는 당분의 단맛 및 구수한 맛에다 지방의 전통적인 특색에 따른 향신료 등이 조화된 우리나라 고유의 기호식품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를 ‘딩기장’ 또는 ‘시금장’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보리 등겨를 이용하여 등겨 메주를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겨울철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아곡리 등태 마을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포도 축제. 낙동강과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재배한 친환경 포도를 따서 직접 포도주도 담궈 보고 거봉 포도도 수확하여 지역민들에게 선보이는 축제이다. 왜관 포도 축제라고도 한다. 등태 마을 거봉 포도 축제는 지역민들에게 포도를 널리 홍보하여 칠곡군의 대표적인 축제로 만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勞動謠). 「디딜방아 노래」는 가내노동요로서 방아 찧는 노역에 수반된 노래이다. 방아찧기라는 힘든 노역이 있어야만 곡식을 가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노역이 가정 내에서 이루어짐으로 함께 불려진 노래가 「디딜방아 노래」이다. 노래는 노역의 힘듦을 덜고 노동의 통일성을 기하는 기능을 한다. 가내노동이 대체로 여성들...
-
여럿이 모여 함께 밥이나 떡 등 음식을 마련하여 함께 먹는 일. ‘모둠밥’이라고도 한다. 여럿이 함께 모여 일하거나, 어려운 이웃이 있을 때, 또는 놀 때 곡식과 반찬 등 여러 가지 음식 재료를 거두어서 함께 음식을 마련하여 다 같이 먹는 일을 말한다. 칠곡군에서는 함께 일하거나 어려운 이웃이 있을 때 여러 음식재료를 모아 밥이나 떡을 해서 나누어 먹는다고 한다. 여럿이 함께 일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보리 등겨를 주원료로 하여 담가 먹던 장. 전통 등겨장은 제조 과정 중 전분 및 단백질 등의 분해로 생성되는 당분의 단맛 및 구수한 맛에다 지방의 전통적인 특색에 따른 향신료 등이 조화된 우리나라 고유의 기호식품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를 ‘딩기장’ 또는 ‘시금장’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보리 등겨를 이용하여 등겨 메주를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겨울철이...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에서 재배되는 장미과 딸기속 식물의 열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 겨울철 연동하우스에서 재배하며 신선한 맛을 지니고 있다. 칠곡군 딸기는 비타민 C의 함량이 풍부하며 독특한 향기를 갖는 과채류로서 대부분 생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딸기는 저장성이 매우 약하여 수송이 상대적으로 편리한 도시 근교 지역에서의 농사 작물로서 매우 유망...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땅 위에 일정한 구역을 정하고 그 위에서 각자의 땅을 넓혀가며 승부를 겨루는 아이들 놀이. ‘땅뺏기’, ‘땅 재먹기’라고도 한다. 남자나 여자 아이들이 마당에서 손바닥으로 땅을 재어 많은 땅을 차지함을 겨루는 놀이이다. 여름철 평평한 마당에서 각자 납작한 돌을 가지고 한다. 칠곡 지역에서 어린 아이들이 평소 하는 놀이이다. 『칠곡군의 문...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땅 위에 일정한 구역을 정하고 그 위에서 각자의 땅을 넓혀가며 승부를 겨루는 아이들 놀이. ‘땅뺏기’, ‘땅 재먹기’라고도 한다. 남자나 여자 아이들이 마당에서 손바닥으로 땅을 재어 많은 땅을 차지함을 겨루는 놀이이다. 여름철 평평한 마당에서 각자 납작한 돌을 가지고 한다. 칠곡 지역에서 어린 아이들이 평소 하는 놀이이다. 『칠곡군의 문...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땅 위에 일정한 구역을 정하고 그 위에서 각자의 땅을 넓혀가며 승부를 겨루는 아이들 놀이. ‘땅뺏기’, ‘땅 재먹기’라고도 한다. 남자나 여자 아이들이 마당에서 손바닥으로 땅을 재어 많은 땅을 차지함을 겨루는 놀이이다. 여름철 평평한 마당에서 각자 납작한 돌을 가지고 한다. 칠곡 지역에서 어린 아이들이 평소 하는 놀이이다. 『칠곡군의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