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사강(士綱), 호는 죽와(竹窩).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로 하는 달성배씨이다.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를 지냈으며, 대구에서 칠곡으로 이거(移居)한 배경인(裵褧仁)의 후손으로 배처관(裵處寬)의 아들이다. 1746년(영조 22)에 칠곡군 칠곡읍 관음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경(思卿), 호는 모헌(慕軒).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모(姜模)이다. 1687년(숙종 13)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출생하였다. 채팽윤(蔡彭胤)의 문인으로 1713년(숙종 3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718년(숙종 44)에 정시문과 병과에...
-
경상북도 칠곡군 일원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미과 낙엽교목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 경상북도 칠곡군은 일찍이 낙동강변의 범람원 상에 사과 과수원이 많아, 사과의 재배지로도 유명하여 북삼읍, 가산면, 기산면 일원에서 많이 재배된다. 2009년 칠곡군에서 75.8㏊의 면적에 약 1,235톤의 사과를 생산하고 있으며, 착색이 뛰어나고 당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사과의...
-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사극(士極). 김알지(金閼智)의 28세손 경순왕(敬順王)의 제5자인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는 의성김씨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통정대부 김기휘(金基輝)이다. 1862년(철종 13)에 태어나 벼슬은 참봉을 지냈고, 선천적으로 타고난 맵시가 어질고 후덕하여 흉년에 곤궁한 고을 사람들을 위하여 도와주는 마음씨가 넉넉했으며...
-
경상북도 칠곡군의 사대부가에서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 사대부가에서 조상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집으로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한다. 사당은 조선왕조 중기 이후 철저히 실행되었는데, 사대부가에서는 선조의 신위를 모시는 가묘 형태의 사당을 둘 수 있었고, 제사를 목적으로 묘소 주변에 재각(齋閣)을 둘 수 있었다....
-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칠곡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제도. 사동화현(斯同火縣)은 삼국시대 및 남북국시대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에 있었던 지방 행정제도이다. 757년(경덕왕 16) 이후부터 940년(태조 23)까지는 수동현으로, 고려시대에는 인동현, 조선시대에는 인동현 또는 인동도호부로 불렸다. 1895년 지방 행정구역 개편 때 인동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78년...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영리에 전해오는 금학마을과 사두혈(蛇頭穴)에 관련된 이야기. 이야기는 풍수(風水)를 소재로 삼고 있다는 데에 공통점이 있지만, 두 개의 이야기가 전혀 상관성이 없는 이질적인 것으로 결합되어 있다.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었다. 칠곡군 기산면 영리의 금학마을은 ‘지맥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덕산리에 전해오는 사람무덤과 말무덤에 관련된 이야기. 우리나라 동물보은담의 경우, 대부분 주인이 동물에 대해 인간과 같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보은과 관련된 이야기는 인간의 가치관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대가 아무리 변화하더라도 전승력(傳承力)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다. 칠곡군이 채록하여 1983년 발행된 『호국의 고장』에 수록되어...
-
경상북도 칠곡군 출신의 이담명이 유배지에서 팔순 노모를 그리며 지은 노래. 정재 이담명은 미수 허목에게 사사하여 24세에 대과에 아원으로 급제하여 수찬, 교리, 도승지, 공조참판, 영남관찰사, 대사헌, 대사성, 부제학,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680년 경신환국으로 부친인 귀암 이원정이 참화를 당하는 것을 보고 너무나 원통하고 억울하여 부친의 피묻은 적삼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형제.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자장(子長). 송은(松隱)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으로 통찬(通贊) 장맹저(張孟儲)의 아들이다. 동생 장신손(張信孫)은 자는 사립(斯立), 호는 죽창(竹窓)이고 1507년(중종 2)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성종 때 어모장군(禦侮將軍) 충순위(忠順衛) 장적손(張嫡孫)은 부모상을 당해 동생 장신손(張信孫)과 함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神主)나 영정(影幀)을 모셔 두고 제사 지내는 건축물. 조선시대 중후기에 주로 지어졌던 사묘는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 두고 제사 지내는 건물로 사우(祠宇),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 등으로도 불렸다. 사묘는 인간의 보편적 의지...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여헌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며, 사인(士人) 장굉(張浤)의 장자(長子)이나 백부(伯父) 장관에게 출계(出系)하여 후사(後嗣)가 되었다. 어머니는 동래정씨, 부인은 인천채씨이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입법과 행정에 법규를 적용하여 권리 관계를 확정하거나 또는 사례의 적법·위법성을 판단함으로써 구체적 쟁송을 해결하는 것. 사법(司法)은 입법, 행정과 함께 국가 통치 작용 중의 하나로 개인 상호 간 또는 국가와 개인 간의 법률관계에 관한 쟁의로 소송이 제기될 경우 무엇이 적법인가를 선언함으로써 법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다. 좁은 의미의 사법은 재판 작용만...
-
조선 중기 칠곡에서 활동한 무신.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사빈(士彬), 호는 지주헌(砥柱軒). 고려 명종 때 덕풍호장을 지낸 이존술(李存述)을 시조로 하는 덕산이씨의 후손으로 중시조 이유(李愉)의 후손들이 칠곡에 정착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 이형(李衡)이고, 어머니는 황씨(黃氏)·이씨(李氏)이고, 부인은 달성서씨·달성배씨이다. 낙재(樂齋)...
-
경상북도 칠곡군의 광주이씨 이원정의 종손 이필주 가(家)에서 보관해 온 조선 중기 자서(字書)의 목판 중간본. 최세진(崔世珍)이 1517년(중종 12)에 편찬한 중국자음용(中國字音用) 운서로서 본래는 2권 2책의 목판본인데 초간본은 알 수 없고, 광해군 때와 효종 때에 간행한 중간본이 전해지고 있다. 광주이씨 판서(判書) 이원정의 종손인 이필주 가(家)에 소장...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앙(士仰), 호는 고암(古巌). 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벽진태수로 있을 때 용맹을 떨쳤던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는 벽진이씨 판서 이건지(李建之)의 후손이다. 만와(晩窩) 이항춘(李恒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부림홍씨, 부인은 월성최씨이다. 1714년(숙종 40)에 태어나 명암(冥菴) 이주대(李柱大) 문하에서 유학했으며...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사양 서당은 본래 조선 시대 서원으로 1864년 대원군 서원 철폐 때 대부분의 건물이 헐리고 지금은 강당인 경회당과 솟을대문만 남아 있다. 조선 시대 서원은 선현(先賢)과 향현(鄕賢)을 제향(祭享)하는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를 아울러 갖추고 있었다. 사(祠)와 재(齋)의 기능을 겸비한 최초의...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사양 서당의 강당 건물. 사양 서당의 강당인 경회당(景晦堂)은 1985년 8월에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17호로 지정되어 있다. 경회당은 단정한 형태의 이익공계 맞배집으로,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규모이다. 평면은 가운데 3칸의 넓은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온돌방을 둔 형태로, 대청은 유생을 가르치는 공간으로, 좌우 온돌방...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사양 서당은 본래 조선 시대 서원으로 1864년 대원군 서원 철폐 때 대부분의 건물이 헐리고 지금은 강당인 경회당과 솟을대문만 남아 있다. 조선 시대 서원은 선현(先賢)과 향현(鄕賢)을 제향(祭享)하는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를 아울러 갖추고 있었다. 사(祠)와 재(齋)의 기능을 겸비한 최초의...
-
조선 말기 칠곡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사언(士彦).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였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송심석(宋心錫)이고, 어...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장(景藏), 호는 사오(四吾). 고려시대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신씨 후손으로, 현재 칠곡에 살고 있는 평산신씨 대부분은 조선 개국공신 제정공(齊靖公) 신효창(申孝昌)의 후손이다. 증 참판 신우덕(申祐德)의 아들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출신으로 1611년에 출생하였다. 여헌 장현광...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神主)나 영정(影幀)을 모셔 두고 제사 지내는 건축물. 조선시대 중후기에 주로 지어졌던 사묘는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 두고 제사 지내는 건물로 사우(祠宇),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 등으로도 불렸다. 사묘는 인간의 보편적 의지...
-
조선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사원(士元), 호는 매촌(梅村).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원(士遠).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감호당 이도장(李道章)의 차자(次子)이다. 어머니는 양천허씨, 부인은 전의이씨·성주이씨이다. 1610년(인조 10)에 자여도(自如道) 찰방에 임명되었으며, 1683년(숙종...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초에 윷을 가지고 그 해 운수를 점 치는 풍속. 칠곡 지역에서는 윷점을 칠 때, 4개의 윷을 연속적으로 세 번 던져서 괘(卦)를 구성한다. 그리고 괘(卦)를 통하여 한 해의 길흉(吉凶)을 점친다. 이때 집단으로 편을 나누어서 그 해의 풍흉을 점칠 수도 있고, 개인이 윷을 던져 나타난 숫자로 자신의 운수를 점칠 수도 있다. 윷점은 원래 점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 남아 있는 옛 절터. 사지(寺址)는 절이 있었던 터이다. 지금은 사찰은 사라지고 흔적만이 잔존하는 곳이어서 정확한 사역(寺域)의 규모나 창건과 폐사와 관련된 기록을 찾을 수 없으나, 잔존하는 터의 규모나 남아있는 유물을 통해 과거에 실재했던 절의 규모나 시대를 추정해봄으로써 칠곡 지역의 불교역사를 이해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다. 칠곡에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기록하는 것. 사진은 빛이나 복사 에너지의 작용을 통해 감광성의 물체위에 피사체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진은 과학적이면서 예술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사진은 보통 사진기로 만들어지는데, 사진기는 빛을 모아 필름이나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에 초점을 맞...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사징(士徵), 호는 귀암(歸巖).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부응교(副應敎) 이도장(李道長)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 부인은 벽진이씨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선비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1648년(인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불교 신자들이 모여 예배하는 곳. 칠곡 지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우리나라에 불교가 유입된 이후 어느 시기로 여겨지나 최초의 창건 사찰 등 불교의 초기 수용 역사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칠곡 대표 전통 사찰로 유명한 송림사가 신라 내물왕 때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최고(最古)의 사찰로 평가된다. 그 외에도...
-
조선시대 칠곡 지역의 각 면(面)에 설치하여 빈민을 구휼하던 곡물 대여 창고 및 제도. 칠곡 지역 사창 설치의 경위 및 목적은 1696년 신익황이 작성한 ‘약목현사창계약속서’를 통하여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목은 인주(仁州)의 속현으로 지리적인 이점이 있어 물산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생산이 줄고, 좋은 풍습이 없어져서 스스로 보존하고 서로 도울 수 없게 되었다. 이...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서 발원하여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에서 남천(南川)으로 유입하는 하천. 사창천은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의 가산(架山)[901.8m] 북사면에서 발원한 후 북쪽으로 흘러 좁은 골짜기를 지나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에서 남천(南川)으로 유입한다. 사창천은 지방 하천이며, 하천 연장은 11.75㎞이고 유역 면적은 56.02㎢이다. 유역의 지질...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개고기로 만든 보양 향토 음식. 보신탕은 개장, 개장국, 구장(狗醬), 지양탕(地羊湯)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칠곡에는 보신탕이 유명하여 전통이 오래된 보신탕집이 많다. 옛날부터 여름 더위가 가장 심했던 삼복(초복·중복·말복)에 개고기를 주로 먹었다. 특히 삼복 날에 먹었던 것은 음양오행설에서 개고기는 화(火), 복(伏)은 금(金)에 해당하여 더운 성...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사칙(士勅), 호는 죽우(竹寓). 정지원(鄭之遠)을 1세로 하고 정절공파 18세 정여강(鄭汝康)의 아들 양졸재 정수(鄭錘)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동래정씨의 후손이다. 금양(錦陽) 정속(鄭涑)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월성손씨, 부인은 달성서씨이다. 1796년(정조 20)에 칠곡 지역에서 태어나 1844년(헌종 10)에 생원시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장민(長民), 호는 사헌(思軒).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광산김씨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랑(正郞)의 벼슬을 지낸 적암(適菴) 김동준(金東俊)이다. 1720년(숙종 46)에 태어나 1750년(영조 26)에 생원시에 합격했다. 기헌(奇軒) 강해(姜楷)의 문하(門下)에서 유학하여 학문을 갈고 닦았다. 자품(姿稟)이 뛰어났고...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현(士鉉), 호(號)는 학린(鶴隣).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 통계(通溪) 강회중(姜淮仲)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태준(姜台俊)이고, 어머니는 광주이씨, 부인은 오천정씨이다. 1834년(순조 34)에 태어나서 1882년(고종 19)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의 종6품 벼슬...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형(士衡), 호는 월오(月塢). 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벽진태수로 용맹을 떨쳤던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는 벽진이씨이다. 판서 이건지(李建之)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말정(李末丁)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 부인은 성산여씨이다. 1450년(세종 32)에 태어나서 1465년(세조 11)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1496년(연...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홍(士鴻). 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벽진 태수로 용맹을 떨쳤던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절충장군 이말정(李末丁)을 칠곡에 입향한 중조로 하는 벽진이씨 후손이다. 아버지는 좌랑 이주세(李柱世)이고 어머니는 양주조씨, 부인은 옥산장씨이다. 1713년(숙종 39)에 태어나 1759년(영조 35)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지역민의 쾌적하고 안녕한 생활을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활동 및 노력. 일반적으로 지역 사회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의 개념은 사회생활에서 곤란 또는 장애를 받고 있는 자, 즉 장애인, 노인, 아동 등 사회적 약자나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보호, 지도, 치료, 재활 등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좀 더 소극적이고 한정된 개념으로 본다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권력이나 이윤을 추구하지 않고 공공선(公共善)을 지향하면서 활동하고 있는 비영리단체. 사회단체의 광의적 개념으로는 기본적으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해결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이다. 따라서 그 활동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집단들이나 사회 구성원들에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게 마련이다. 사회의 공...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지역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집단이 행하는 행동. 매우 광범한 여러 형태와 조직·행동을 내포하고 있으나, 간단히 말하자면 사회 구성원 또는 사회단체 각각의 한정된 목표에 대하여, 그리고 그들의 공통적인 목표를 향하여 보다 많은 인원을 동원하고 현실적 성과의 획득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경향의 집단행동들을 아울러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조선 중기 및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휴(士休).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석담 이윤우(李潤雨)의 손자이고 감호(鑑湖) 이도장(李道章)의 장자이다. 어머니는 양천허씨이고 부인은 동래정씨·청주한씨이다. 1666년(현종 7)에 생원시에 합격하...
-
조선 중기 및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흥(士興), 호는 박곡(朴谷).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부응교(副應敎) 이도장(李道長)이고, 어머니는 안동김씨, 부인은 광주이씨·순흥안씨이다.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문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굵은 줄을 서로 잡아 당겨 겨루는 놀이. 줄다리기는 한 해가 시작되는 때 마을 사람들이 단결하여 줄을 꼬고 당기는 가운데 공동체 의식을 갖고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우리의 전통 민속놀이이다. 줄다리기에는 여러 가지 속신이 전해지고 있다. 줄다리기가 끝난 줄을 베어다가 자기 논에 던져두면 풍년이 든다. 또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자가 줄을 삶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반계리에 전해 오는 효행과 관련된 이야기.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반계리의 삭제동(朔祭洞)은 조선시대에는 인동부(仁同府)의 문양면(文良面) 반저촌(潘渚村)에 딸린 마을이었는데, ‘삭제동’이라는 이름이 생기게 된 연유를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또한 효(孝)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이야기 중의 하나이다. 칠곡군 석적읍 반계리에 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반계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인동(仁同)인 장맹저(張孟儲)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삭제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은 중앙에 1칸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에 각각 1칸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인데, 전면으로 반칸 규모의 툇간마루를 설치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의 지형 중 주변의 평지에서 높이 솟은 지표 기복. 산(山)은 해발고도나 기복량으로 정의하기도 하지만, 자연환경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산은 봉(峰)과 능(稜),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이란 산에서 가장 높이 솟아 있는 정상 부분을 말하며, 능이란 봉우리에서 사방으로 이어지는 줄기를 일컫는다. 칠곡군 지역의 산들은 낙동강을 사이에...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미환축산에서 생산하는 꿩과에 속하는 메추리의 알. 산골메추리알은 칠곡군 기산면의 맑은 자연환경에서 생산되는 메추리의 알로서, 비린 맛이 없고 고소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메추리알은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데 달걀보다 단백질, 지방, 무기질 함량이 더 높으며, 아미노산의 조성은 달걀과 기본적으로 같으나 글루타민산을 비롯한 일부 아미노산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 벤처농업은 농업 및 농업 관련 분야에서 지역적 특성, 특수한 농법 및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처기업이 첨단의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것처럼, 벤처농업은 새로운 기술·디자인·마케팅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으로서의...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과실 및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 중소기업. 주요 취급 품목는 딸기잼이다. 기호식품에 속하는 잼은 현대인들의 식습관이 변하면서 빵에 발라먹는 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잼은 처리 원료로 딸기, 포도, 사과, 복숭아 등 과일을 사용하거나 당근, 고추, 무화과, 파인애플 등과 같은 과채류에 설탕, 물엿, 포도당 등의 당류와 구연산 및...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산성 마을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청정 채소 축제. 산성 마을이란 가산 1리, 가산 2리, 용수리, 응추리 등 4개 마을을 이르는 말이다 칠곡군 가산면 산성마을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칠곡군에서 가장 오지(奧地) 마을로 반드시 군위군을 거쳐야만 들어가는 팔공산 북쪽 가산산성 자락에 있다. 해발 400m에 위치하여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
경상북도 칠곡군의 금오산에 전해오는 산신령과 관련된 이야기. 산신령에 관한 이야기의 대부분은 물질적인 도움을 받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산신령 말하다 욕본 사람」의 내용은 산신령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거의 없고 구성도 너무 단순하다.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금오산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에 수록되어 있다. 어느 날 세...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산업을 육성·발전시키는 데 바탕이 되는 공공시설 혹은 사회 기반 시설. 산업 기반 시설은 기업의 생산 활동을 위해서 필요한 사회적 기반 시설, 즉 산업 용지·도로·항만·용수(用水)·교량·철도·공항·발전 시설 등을 의미한다. 산업 기반 시설은 경제학적 관점에서 사회 자본[사회 간접 자본]의 일부이다. 사회 자본은 정부, 기타의 공공단체가 공급자가 되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산업을 육성·발전시키는 데 바탕이 되는 공공시설 혹은 사회 기반 시설. 산업 기반 시설은 기업의 생산 활동을 위해서 필요한 사회적 기반 시설, 즉 산업 용지·도로·항만·용수(用水)·교량·철도·공항·발전 시설 등을 의미한다. 산업 기반 시설은 경제학적 관점에서 사회 자본[사회 간접 자본]의 일부이다. 사회 자본은 정부, 기타의 공공단체가 공급자가 되는...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물품을 제공·가공하는 기업체를 집단적으로 수용·배치하기 위하여 계획을 세워 조성한 지역. 산업 단지는 집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조성되는데, 도로·철도·상하수도·전력 등의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개발 주체는 단지 내에 입주하는 기업들이 효율적인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토지 이용 계획에 따라 토지 및 건물의 용도를 규제하며, 토지의 매각 및 임...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에 있는 의료기관. 지역사회에서 일반진료와 함께 정신 장애인의 사회복지를 돕는데 일익을 담당하여, 향후 정신 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사랑과 봉사로 한 사람 한 사람의 정신 장애인이 사회에 복귀할 때까지 끊임없는 노력과 정성을 다하여 궁극적으로는 장애인 가정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2005년...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있는 과일 캔음료 및 통조림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1960년 3월 삼미식품공업으로 출발한 삼미식품은 면류, 대구 전 지역 학교급식 빵 공급, 과일 반제품 및 양송이 통조림, 파월 장병 급식용 통조림, 채소 및 과일 캔쥬스를 생산하는 종합 식품회사로 출발하였다. 1968년과 1992년 두 차례 이루어진 칠곡군 왜관으로의 공장 확장과 1996년 삼미...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금속가공 제품 제조 중소기업. 타월, 양말, 니트류 등을 편직하는 편직기용 바늘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1948년 10월에 삼성제침공업사로 설립되었으며, 1968년 10월에 삼성제침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2년에 삼성제침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6년에 삼성제침 브랜드를 ‘T.S.’에서 ‘SAMSUNG’으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11월...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있는 산업용 냉장 및 냉동장비를 생산하는 중소기업. 삼성판넬플랜트는 폴리우레탄 패널의 냉동, 냉장창고에 관해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로 저온 창고용 우레탄패널과 기어식 전동 방열문을 생산하고 있다. 홈플러스, 월마트, 롯데마트, 농협 등 전국 유수의 대형마트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1999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덕경(德卿)이고 호는 삼소재(三疎齋).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완석정 이언영(李彦英)의 현손이고 오일헌 이주세(李柱世)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양주조씨, 부인은 밀양박씨이다. 1702년(숙종 28)에 태어나 1740년(영조 16)에 생원시에 합...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출산과 아이의 성장을 관장한다고 믿는 집안의 신. 삼신은 출산과 아이의 성장을 관장하는 신으로 ‘삼신할매’라고도 한다. 여신(女神)이어서 성미가 맵다고 하여 특히 조심하였다. 칠곡군 가산면 가산1리 북창마을에서는 삼신과 ‘웃줄할매’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대체적으로 북창마을 주민들은 삼신할머니를 조상할머니가 좌정한다고 믿고 있었으며 ‘웃줄할매’라는 용어...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있던 이동전화기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1998년 11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0월에 ISO-9001 인증을 획득하였고, 2001년 11월에는 ISO-14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휴대폰 부품과 반도체를 주요 취급 품목으로 하는 기업으로, H600EPM LCD 조립 및 컴퓨터 하드디스크(HDD)와 반도체 소자 SMD 등을 생산하...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거원(巨原), 호는 삼우당(三優堂).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한다.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의 아들이다. 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삼재(三災)를 막기 위하여 행하는 풍속. 삼재(三災)는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재난으로 3년 동안 머무르게 된다. 즉 뱀띠·닭띠·소띠에 태어난 사람은 돼지·쥐·소해에, 원숭이띠·쥐띠·용띠는 범·토끼·용해에, 돼지띠·토끼띠·양띠는 뱀·말·양해에, 범띠·말띠·개띠는 원숭이·닭·개해에 삼재수가 든다. 이렇게 삼재가 드는 해에는 액운이 닥쳐 하는 일이 잘 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삼재(三災)를 막기 위하여 행하는 풍속. 삼재(三災)는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재난으로 3년 동안 머무르게 된다. 즉 뱀띠·닭띠·소띠에 태어난 사람은 돼지·쥐·소해에, 원숭이띠·쥐띠·용띠는 범·토끼·용해에, 돼지띠·토끼띠·양띠는 뱀·말·양해에, 범띠·말띠·개띠는 원숭이·닭·개해에 삼재수가 든다. 이렇게 삼재가 드는 해에는 액운이 닥쳐 하는 일이 잘 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명절. 삼짇날은 3이 3번 겹친 길일(吉日)로 봄이 본격적으로 돌아온 절기이다. 이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오는 날이기도 하다. 이날은 만물이 소생하는 왕성한 만춘의 봄기운으로 인해 야외에서 행해지는 풍속이 많은 날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날 쑥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산으로 가서 화전놀이를 즐기며 진달래꽃을...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속하는 법정리. 삼청리는 4개 자연 마을이 3개 행정리로 나누어져 있다. 삼청 1리에 오솔[월매(越梅), 오수월(梧樹越), 오곡리(梧谷里)] 마을, 삼청 2리에 장다리[장달리(長達里), 장교(長橋)] 마을·홈골[명곡(椧谷), 사라리(沙羅里)] 마을, 삼청 3리에 못고개[모곡리] 마을이 있다. 오솔 마을은 매원리 남쪽으로 흐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상사(喪事)를 공동 부조하기 위해 만든 조직. 상계 또는 위친계라 불리는 상포계는 아버지·어머니·본인·아내 등의 상(喪)에 필요한 경비와 노동력을 충당할 목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상례 시 일어나는 모든 경비 및 노동력, 방문, 애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계칙에 따라 범위가 장인·장모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마을의 입구와 또는 외진 곳에는 상여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 벤처농업은 농업 및 농업 관련 분야에서 지역적 특성, 특수한 농법 및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처기업이 첨단의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것처럼, 벤처농업은 새로운 기술·디자인·마케팅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으로서의...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연근(蓮根)식품 가공 중소기업. 친환경 무농약으로 재배한 연근을 직접 가공하여 연근 엑기스, 연근 식혜, 한방 식혜 등으로 음료화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국민건강 증진과 사회발전 공헌을 목표로 국내 및 일본으로 판매망을 구축하고,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2003년 11월에 무농약 농산물 인증을 받았으며, 12월에 연근 음료, 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0월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가신(家神)들에게 올리는 제의. 상달고사는 추수를 다 끝낸 후 음력 10월에 날을 잡아서 지낸다. 고사는 집안의 가신(家神)들에게 한 해 농사에 대한 고마움을 나타내는 일종의 가신제(家神祭)라 할 수 있다. 보통 한 집의 주부가 제주(祭主)가 되어, 그 해 수확한 곡식으로 음식을 차려 놓고 가업 번성과 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모자(母子) 보호 시설.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여성이 사별, 이혼, 배우자로부터 유기(遺棄) 또는 지적 장애, 신체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노동 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여성으로서 자립 능력이 없고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모자 가정에 대해 주거와 기본 생계를 보장함으로써 자립 기반을 조성토록 하여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하도록 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명절. 삼짇날은 3이 3번 겹친 길일(吉日)로 봄이 본격적으로 돌아온 절기이다. 이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오는 날이기도 하다. 이날은 만물이 소생하는 왕성한 만춘의 봄기운으로 인해 야외에서 행해지는 풍속이 많은 날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날 쑥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산으로 가서 화전놀이를 즐기며 진달래꽃을...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상삼(象三), 호는 계은(溪隱). 사육신(死六臣) 충정공(忠正公)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으로 달성군 하빈면 묘동에서 칠곡군 이언으로 이거한 칠곡 입향조 박숭의(朴崇義)의 후손이다. 1880년(고종 17)에 생원시에 합격했는데, 사마방목(司馬榜目) 전교(傳敎) 중에 ‘박오현(朴五鉉)은 충정공 박팽년의 후손인 까닭으로 특별히 풍...
-
경상북도 칠곡군의 장례 의식에서 상여를 나르며 부르는 소리. 칠곡군의 「상엿소리」는 선소리꾼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상두꾼들 여럿이 뒷소리 즉 “어-하 어-하 으-하 넘차 으--하”를 받는 식으로 노래된다. 죽은 이를 묻는 장지는 대개 마을 근처의 산에 위치한다. 따라서 죽은 이의 집에서 장지까지는 꽤 오랜 시간을 이동해야만 한다. 이때 선소리꾼은 가족과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정월 대보름은 새해 첫 번째 드는 큰 보름날이란 뜻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대보름이 설 다음에 오는 큰 명절로 인식되어 있다. 이날에는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한 민속 행사가 벌어진다. 특히 보름날 저녁에는 달을 보고 절을 하며 풍년을 기원하고 액운이 없기를 소망한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전통 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상사(喪事)를 공동 부조하기 위해 만든 조직. 상계 또는 위친계라 불리는 상포계는 아버지·어머니·본인·아내 등의 상(喪)에 필요한 경비와 노동력을 충당할 목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상례 시 일어나는 모든 경비 및 노동력, 방문, 애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계칙에 따라 범위가 장인·장모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마을의 입구와 또는 외진 곳에는 상여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5일 새벽에 새 쫓는 흉내를 내는 풍속. 칠곡 지역에서는 음력 1월 15일 새벽에 “훼이! 훼이!”라고 하면서 손을 내저어 새 쫓는 시늉을 한다. 새가 나락을 탐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모의 행동인데, 한 해 동안 새에게 입는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행해지는 풍속이다. 농민들의 최대 기원은 농사가 풍요로운 결실을 맺는...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있는 천막 및 기타 캔버스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산업용 섬유제품인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직물과 자동차 에어백용 원단 등을 생산하여 수출하는 기업이다. 1998년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2000년 5월에 ‘Somat Rapier Thema’ 등 직기 41대와 기타 설비를 완비함으로써 상품의 대량생산에 박차를 가하였다. 2004년 12월 새날을 합...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새비름은 한 해에 네 번의 세대교체를 할 수 있으며, 재생력이 뛰어난 식물로 번식력도 뛰어나다. 환경이 좋지 않을 때는 닫힌 꽃가루받이를 하며, 뿌리 채로 뽑아도 달려 있는 씨앗은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다육질의 특성상 줄기나 잎을 한여름 가물 때 뽑아 두어도 며칠씩 살아남을 정도로 건조에 강하다. 지난날 쌀이 귀했던 시절 쌀을 대신해서 끼...
-
조선 후기 칠곡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한양조씨(漢陽趙氏). 초명은 조양래(趙陽來), 개명(改名)은 조서규(趙瑞圭), 자는 복초(復初), 호는 양졸재(養拙齋)이다. 덕원부(德原府) 용진현(龍津縣)에서 세거한 사족의 후손 조지수(趙之壽)를 시조로 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한성으로 옮겨 가세가 크게 번창하자 한양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78년 11월 21일 칠곡군 인동면 진평동에서 태어났다. 서기옥은 1919년 3·1운동 때 진평동 주민들을 선도하여 만세 시위를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에 확산될 때, 진평동에서 이상백(李相佰), 이영식(李永植), 이내성(李乃成) 등이 주동한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3월 12일 마을 뒷산에...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있는 고개. 기산면 봉산리 가시막골에서 무림리로 넘어가는 아름다운 노을을 볼 수 있는 고개이다. 약 200년 전 봉산리로 정착해온 선비가 서낭당 고개에서 낙동강에 비치는 아침노을을 바라보고 너무 좋아서 '조조산하채(朝朝散霞彩) 막막등추색(幕幕燈秋色)'이란 구절로 경탄한 나머지 서낭당 고개를 노을티 또는 하현(霞峴)이라 했는데 이...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있는 고개. 기산면 봉산리 가시막골에서 무림리로 넘어가는 아름다운 노을을 볼 수 있는 고개이다. 약 200년 전 봉산리로 정착해온 선비가 서낭당 고개에서 낙동강에 비치는 아침노을을 바라보고 너무 좋아서 '조조산하채(朝朝散霞彩) 막막등추색(幕幕燈秋色)'이란 구절로 경탄한 나머지 서낭당 고개를 노을티 또는 하현(霞峴)이라 했는데 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었던 사설 교육기관. 서당에 관한 기록은 사기(史記)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나 삼국시대 고구려에 경당(扃堂)이라는 마을 단위의 학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것이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 초기부터 각처에서 성행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의 서당은 그대로 조선시대에 계승되어 더욱 발전된 민중 교육 기관으로 신교육이 실시될 때까지 존속해온 가장 보편화된 교육기관이...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치강(致强), 호는 농우(農寓). 시조(始祖)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역임하면서 공이 있어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져 달성[현재 대구광역시]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아 그곳에 세거하게 되었다. 그런 연유로 후손들이 본관을 달성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칠곡군 기산면 노석...
-
경상북도 칠곡군을 거쳐 서울과 부산 간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 1971년 8월 31일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 간 고속 도로[고속 국도 1호선]로 지정되었다. ‘서울~부산 간 고속도로’에서 ‘서울~부산 간’을 ‘경부(京釜)’로 약칭하여 경부 고속 도로(京釜高速道路)라고 하였다. 경부 고속 도로는 서울~부산 간 총연장 416.04㎞이다. 대구·경상북도 구간은 15...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조선시대 성리학 연구 및 선현 제향을 위해 설립되었던 사설 교육기관. 조선시대 서원의 시작은 1543년(중종 38)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 말 학자였던 안향을 배향하고 유생을 가르치기 위하여 경상도 순흥에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다. 초기의 서원은 인재를 키우고 선현·향현을 제사지내며 유교적 향촌 질서를 유지, 시정(時政)을 비판하는 사...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서 낙동강에 이르는 하천. 강정천은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합류 지점 인근의 마을 명칭에서 유래한다. 합류지점에는 강정나루터와 강정마을이 있다. 기산면 각산리 비룡산(飛龍山)[578m]에서 발원한 후 남쪽으로 흘러 각산교에서 내각천과 합류하고, 동쪽으로 흐르면서 질매재에서 발원한 소하천을 합류한 후 서원천(書院川)이 된다....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와 약목면 남계리,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에 걸쳐 있는 산. 『교남지(嶠南誌)』에서는 서쪽을 진호(鎭護)하는 산이라고 하여 서진산(西鎭山)이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1:50,000 지형도」에는 선석산이라 하였고, 누진산(樓鎭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742.4m의 서진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관입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와 약목면 남계리,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에 걸쳐 있는 산. 『교남지(嶠南誌)』에서는 서쪽을 진호(鎭護)하는 산이라고 하여 서진산(西鎭山)이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1:50,000 지형도」에는 선석산이라 하였고, 누진산(樓鎭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742.4m의 서진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관입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7년 3월 3일 칠곡군 인동면 진평동에서 태어나 1919년 3·1운동 때 진평동 주민들을 선도하여 만세 시위를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19년 3·1운동 때 진평동에서 이상백(李相佰), 이영식(李永植), 이내성(李乃成) 등이 주동한 시위에 참가하여 3월 12일 진평동 뒷산에 모인 군중 약 300여 명과 함께 독립...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서칠(瑞七), 호는 서파(西坡).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만각재(晩覺齋) 이동급(李東汲) 후손이며 이헌운(李憲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함양박씨 부인은 강진안씨·경주최씨이다. 1807년(순조 7)에 태어나 18...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서칠(瑞七), 호는 서파(西坡).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만각재(晩覺齋) 이동급(李東汲) 후손이며 이헌운(李憲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함양박씨 부인은 강진안씨·경주최씨이다. 1807년(순조 7)에 태어나 18...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가 초백(楚伯), 호가 서헌(恕軒).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참봉(參奉) 이원지(李元祉)의 후손으로 좌랑 이기명(李基命)의 아들인데, 양자로 들어가서 초당 이현명(李顯命)의 후사(後嗣)가 되었다. 어머니는 청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4월 8일 부처님오신날에 지내는 명절. 사월 초파일은 석탄(釋誕)일 또는 욕불(浴佛)일이라고도 한다. 이날은 불교의 연중 기념일 가운데 가장 큰 명절이다. 본래 석가의 탄신일이기 때문에 불가(佛家)에서 하던 축의(祝儀)행사였다. 그러나 불교가 민중 속에 전파됨에 따라서 불교 의식이 자연스럽게 민간의 세시풍속과 동화되어 차츰 민속화 되기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서 돌로 날이 달린 도구를 만들어서 사용하던 시대. 인류의 역사 발전 단계에서 날 달린 도구의 재질을 기준으로 나누어서 시대 이름을 붙이는 과정에서 청동기시대의 앞부분을 모두 일컫는 용어이다. 이 시대는 인류역사에서 가장 긴 기간을 차지하고 있는데, 크게 보아 뗀석기를 사용하는 구석기시기와 간석기를 주로 사용하는 신석기시기로 잘게 나눌 수 있다. 구...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용견(龍見), 호는 석농(石儂).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죽정(竹亭) 장잠(張潛)의 후손이며 장유붕(張有鵬)의 아들이다. 1873년(고종 10)에 무과에 합격하여 의흥위(義興衛)의 좌부장(左部長), 주부, 언양현감 등을 거쳐 1890...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무백(茂伯), 호는 석담(石潭).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이덕부(李德符)의 증손이고 국은(菊隱) 이희복(李熙復)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청도김씨, 부인은 인천채씨이다. 1569년(선조 2)에 태어나 1591년(선...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에 있는 석담 이윤우의 사당. 조선 중기 유학자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의 불천위 사당으로 석담 종가(宗家) 안에 위치하고 있다. 섬약하고 장식적인 익공과 화반의 형태는 조선 말기 익공 양식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칠곡군 지천면 신리 웃갓마을 석담종가에 있다. 신동초등학교에서 500여m 북으로 들어간 웃갓마을의 마을회관 뒤편...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백원(伯元), 호는 석당(石塘). 창성부원군에 봉해지고 벼슬이 보국대장군에 오른 조계룡(曺繼龍)를 시조로 하는 창녕조씨는 1540년(중종 35)에 성주목사를 지낸 후 창녕에서 칠곡[팔거]으로 이거하여 세거지를 정한 조세우를 입칠곡 시조로 하고 있다. 아버지는 부사 조상겸(曺尙謙)이다. 1513년(중종 8)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숙(定叔), 호는 석문(石門).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곡(朴谷) 이원록(李元祿)이다. 어머니는 순흥안씨, 부인은 청주한씨·광주노씨이다. 1664년(현종 5)에 태어나서 1693년(숙종 19)에 진사...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모퉁이에 돌이 많이 쌓여 있으므로 돌모리 또는 석우(石隅)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선산군 장천면(長川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신점, 신방, 홍계, 불동, 아동 등을 병합하여 석우라 하고 선산군 장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칠곡군 가산면(架山面)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석우리는 서쪽...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에 있는 신라시대 고분군.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소재지인 천평리에서 국도 5호선을 따라서 군위 쪽으로 올라가면 길이 오른쪽으로 급하게 휘어지는 부분이 나오는데, 석우리 고분군은 굽이치는 오른쪽 산에 위치한다. 가산의 서쪽 말단 지맥으로 북류하는 한천의 동쪽에 인접하여 북향하고 있는 해발 120~127m의 구릉에 입지한다. 학술조사...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에 있는 화봉에서 지내는 고사(告祀). 석우리는 원래 구미시 장천면에 속해 있다가, 1987년 1월 1일에 칠곡군 가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석우리에 있는 화봉(火峯) 혹은 ‘소금재봉’[鹽峯]이라고 하는 곳에 묻어 둔 소금 단지에 3년마다 한 번 씩 소금을 갈아 넣어 마을의 화재를 방지한다. 소금단지를 묻는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 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 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
-
조선 말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응팔(應八), 호는 석은(石隱).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하고 있다. 복재(復齋) 장걸(張杰)의 후손이며 장성학(張聲鶴)의 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있는 체육공원. 낙동강변의 공한 지역을 칠곡군에서 군민의 건강 증진과 체육 활동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2004년에 석적읍 남율리에 건립하였으며, 2006년에 ‘석적면’이 ‘석적읍’으로 승격되고 왜관읍 소재 종합운동장의 시설이 착공되면서 제45회 군민 체육 대회를 석적 체육공원에서 개최하였다. 2010년 10월에도 제49회 군민...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포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를 사랑하고 친구를 존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문화 예술과 스포츠를 즐기는 어린이, 교육 활동에 즐겁게 참여하는 어린이 육성을 목표로 한다. 1936년 6월 30일에 석적 공립 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아 1936년 9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39년에 첫 졸업생 13명을 배출하였다. 1950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와 성곡리에 걸쳐 있는 산. 둥글다는 뜻의 고어 ‘둠’에서 유래하여 ‘데미’가 되었다고 한다. 해발고도 518.7m의 산으로 숲데미산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선산화강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 산록에는 중생대 쥐라기에 퇴적된 낙동층군에 속하는 낙동층이 분포한다. 정상부에는 암반이 드러나 험준하다. 숲데미산은 칠곡군 석적...
-
경상북도 칠곡군 중앙에 있는 행정 구역. 석적읍(石積邑)은 경상북도 구미시 배후의 도·농 복합 도시이다. 주민들은 주로 쌀농사, 과수, 양봉, 시설 재배, 한우 사육 등 전형적 농업에 종사하지만, 상당수는 구미 제3 국가 공단 또는 구미시로 출퇴근하거나 상업에 종사한다. 인근의 유학산 주변에 돌이 많이 쌓여 있어 ‘석적(石積)’이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체육 운동장.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위치한 석전운동장은 기존에 석전리에 있던 제5837부대 2대대가 석적읍으로 이전하면서 군민(郡民)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건강 증진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1999년에 15,000㎡의 면적에 기존에 있던 시설을 이용하여 건립되었으며 주요 시설로는 축구장과 야구장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를 육성한다. 기본 생활 습관을 바르게 형성한다. 독서 교육 강화를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함양한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 진로 지도를 통하여 자기 적성 및 특성을 발굴한다. 교훈은 ‘깊게 생각하고, 넓게 보며, 바르게 행하자’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의 확...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속하는 법정리. 석전리는 9개의 자연 마을과 10개의 행정리로 나누어져 있다. 석전 1리에 고지[고제(古堤), 고정(古亭)] 마을, 석전 2리·석전 7리·석전 8리에 만치골[만취리(萬取里), 후문(後門), 기지촌(基地村)] 마을, 석전 3리·석전 5리·석전 9리에 귀바우[구바우, 구암(九岩), 이암(耳岩)] 마을, 관터[관기(館基)]...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로서 주변에 청동기시대 취락이 분포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 유적이다. 고인돌군은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암마을 국도 79호선에서 대화아파트로 통하는 진입로의 남쪽 미군 부대의 경계되는 북쪽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다. 정확한 소재지는 경상북...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수령 13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길...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별서(別墅) 건축. 운정(芸亭)은 본관이 벽진(碧珍)인 외암(畏巖) 이기일(李驥一), 아들 이원식(李元植), 손자 이충기(李忠基) 3대를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건립한 추모지소이다. 석전리에 있는 모암재(慕巖齋)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넓은 평지에 정면 5칸, 측면 3칸의 ‘ㄷ’자형 건물을 남향 배치하고 주위는 시멘트 블...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 이담명의 영사비.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이담명(李聃命)[1646~1701]이 굶주린 백성을 진휼한 공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이담명의 자는 이노(李老), 호는 정재(靜齋),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조선 숙종 때의 명신으로 1670년 문과에 급제하고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바위 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 지은 가옥. 석전리 이택기 가옥(石田里李擇基家屋)은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바위 마을에 위치한 농암 정사(聾巖精舍) 우측에 위치한다. 농암 정사 오른쪽 담을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입구에는 알루미늄 문이 있다. 석전리 이택기 가옥의 오른쪽에는 농암 정사로 향하는 작은 문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로서 주변에 청동기시대 취락이 분포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 유적이다. 고인돌군은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암마을 국도 79호선에서 대화아파트로 통하는 진입로의 남쪽 미군 부대의 경계되는 북쪽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다. 정확한 소재지는 경상북...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6·25전쟁 전몰장병 충혼비. 6·25전쟁 때 왜관 출신으로 전쟁에 참여한 사람은 군인 116인, 노무자 126인이며, 이 중에 전사자는 69인, 실종자는 37인이다. 이들을 기념하기 위하여 1955년 10월 3일 충혼비를 세웠다. 장방형의 이중으로 만든 화강암 받침돌, 오석 비신, 팔작지붕 형태의 지붕돌[옥개석]로 되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1979년 5월 21일에 기산면 전 지역과 왜관 1~3리, 석적읍 반계리, 약목면 관호 2리 등지의 419세대 1,313명이 왜관본당에서 분리되어 왜관읍 석전로 34-7[석전 4리 730-1번지]에 설립되었다. 초대 신부로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소속 민공도[알로이시오] 신부가 부임하였다....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정선(旌善). 호(號)는 석천(石川). 전섭(全聶)을 시조로 하고 전선(全愃)을 득관중조(得貫中祖)로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는 정선전씨이다. 고려가 개국할 때 개국공신인 충렬공 전이갑(全以甲)의 후손이다. 선조(宣祖) 때 사복판관으로서 어가(御駕)를 호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수행한 공으로 호성삼등공신(扈聖三等功臣...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경홍(景弘), 호는 석천(石泉). 송유익(宋惟翊)을 시조(始祖)로 세계를 계승하고 있는 여산송씨로 칠곡군 북삼읍 오평리와 율동에 400여년 전 단종(端宗) 폐위로 낙향한 과암(果庵) 송찬(宋瓚)의 6세손이며 참판 송기(宋麒)의 아들이다. 여헌(旅軒) 장현광의 문인으로 평소 기우가 장하고 담력이 있어 1592년 임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서 왕우렁이 농법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쌀. 칠곡군 석적읍 포남리·도개리·망정리 등에서 우수한 품종을 엄선하여 우렁이 농법으로 재배한 친환경 쌀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 영양이 풍부하고 밥맛이 좋다. 왕우렁이를 이용한 벼 재배 방법은 모내기 후 7~10일쯤 먹이 활동이 왕성한 왕우렁이를 논에 골고루 뿌려 잡초를 방제하는 것...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민주적으로 집단의 대표를 선정하는 방식과 절차. 선거는 일반 대중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치 투입의 가장 중요한 형태로서 대표자를 선출하고, 선거에 의해 당선된 대표자에게 정치권력의 정통성을 부여한다. 또한 국민의 다양한 의견이나 가치·이익을 정치에 투입시키며, 국민의 정확한 여론을 측정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통령과 국회 의원, 지방 자치 단...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선경(善卿). 벽진장군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칠곡 약목으로 옮겨 살던 첫째 집은 17세 절충장군(折衝将軍) 이말정(李末丁)[1422~1474] 대에 칠곡군(漆谷郡) 월오로 이거하였으며, 장자인 대사성 이철균(李鉄均)의 호(號)를 따서 동네 이름을 월오(月烏)라 하였다. 또한 선산으로 이주한 둘째 집은 18세 이예원(...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수원(水原)인 추강(秋岡) 백지규를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건립하였다.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위치하고 있다. 선덕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평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은 중앙의 1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 2칸 온돌방을 연접시키고 우측에 1칸 온돌방을 둔...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대각 국사 의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 고려 문종의 넷째 왕자인 대각 국사 의천(義天)[1055~1101]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132년(인종 10)에 건립된 비석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산로 275-209에 있다. 비석의 형태는 지붕돌 60㎝, 비좌 56㎝, 비신 234㎝로 전체높이는 3.5m이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문자로 기록된 역사가 없었던 시기. 역사학에서 시대구분을 할 때 문자로 쓰여진 기록이 있는 시기를 역사시대로 부르는 데에 대하여 문자로 기록된 것이 존재하지 않는 시기에 대하여 쓰는 용어이다. 선사시대에 대한 연구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고고학적 방법을 통한 발굴에서 확인된 유구(遺構) 와 유물(遺物)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고고학에서는 날...
-
김선궁을 시조로 하고 김응기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선산김씨의 시조는 김선궁(金宣弓)으로 원조(元祖)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이며 문성왕(文聖王)의 8세손이다. 고려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할 때 선산에 이르러 군사를 모집하고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통일에 공을 세우니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 영문하시중(領門下侍中)에 올랐다. 후손들은...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와 약목면 남계리,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에 걸쳐 있는 산. 『교남지(嶠南誌)』에서는 서쪽을 진호(鎭護)하는 산이라고 하여 서진산(西鎭山)이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1:50,000 지형도」에는 선석산이라 하였고, 누진산(樓鎭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742.4m의 서진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관입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2월 30일에 지내는 풍속. 섣달그믐은 한 해를 정리하고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날이다. 이날 손위 어른이나 가묘에 묵은세배를 드린다. 그리고 세찬과 차례를 위한 음식을 준비했으며, 곳곳마다 등불을 밝히고 밤샘을 하는 수세(守歲)풍속이 있었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날 남에게서 빌린 물건이나 빚을 해가 바뀌기 전에 돌려준다. 그 이유...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시작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이다.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이는 몸과 마음을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를 시작하라는 뜻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충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여순(汝順), 호는 설강(雪岡). 부원군 백원정(白元貞)의 후손이다. 유일(遺逸) 백치거(白致据)의 손자이고 참봉 백계정(白繼程)의 아들이다. 선산(善山)에서 태어나 약목(若木)으로 이거했다. 지략과 용력이 뛰어나 임진왜란 때 전몽운(全夢雲) 등과 함께 창의(倡義)하여 금오산(金烏山)을 지키면서 많은 공을 세웠고,...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옛날부터 입으로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 설화는 개인에 의해 창작된 이야기가 아니고 전승 집단의 문화나 가치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민중적이거나 지역적인 특색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다. 칠곡군에서 구비전승되고 있는 설화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국적으로 분포된 설화로는 칠곡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화 중에서 ‘의견총’, ‘바위고...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이윤 획득을 목적으로 생산·판매·금융 활동 등을 영위하는 경제 조직체. 기업체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배급하는 경제 단위이다. 경제 사회의 분업과 교환의 체계가 형성되면서 생산과 소비는 분화되었고, 이 중 기업체는 생산 경제의 단위체로, 반면 가계는 소비 경제의 단위체로 형성되었다. 여기서 생산 경제의 단위인 기업체는 단순히 유...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안심원이 운영하는 무료 노인 요양 시설. 가톨릭 정신에 바탕을 둔 창설자 김율석의 뜻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정신적·육체적 어려움을 보살피고 안정되고 평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992년 12월 22일 성가 요양원(聖家療養院)이 개원하였다. 초대 원장은 김영자 데레사 수녀이다. 1997년 1월에 제2...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안심원이 운영하는 무료 노인 요양 시설. 가톨릭 정신에 바탕을 둔 창설자 김율석의 뜻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정신적·육체적 어려움을 보살피고 안정되고 평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992년 12월 22일 성가 요양원(聖家療養院)이 개원하였다. 초대 원장은 김영자 데레사 수녀이다. 1997년 1월에 제2...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속하는 법정리. 유학산, 숲데미산, 봉두암산 등의 산이 성벽처럼 솟아 있는 골짜기여서 성곡(城谷)이라 하였다. 원래는 성곡(省谷)으로 썼으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성곡(城谷)으로 바꾸었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장곡면(長谷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인근의 발양, 성리를 병합하여 성곡이라 하고 칠곡군 석적면...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곡리에 있는 신라시대 고분군. 낙동강의 동쪽에 형성된 지류인 광암천의 상류에 형성된 성곡리 웃골마을에 위치한다. 고분군이 입지하였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에는 이미 마을이 들어서 있어 유적의 성격은 알 수 없다. 앞으로 정식 발굴조사가 진행되면 무덤인지 주거지인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광암천의 양안에는 성곡앞들과 상리들, 방...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면 성곡리에 있는 수령 62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길...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 분포하는 외적의 침입에 대비해 흙이나 돌로 축조한 방어 시설. 우리나라의 성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면 도성·읍성·산성·행성(장성)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산성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산성은 험한 지형을 이용하여 쌓기 때문에 적으로부터 쉽게 노출되지 않고, 또 성에서 오래 항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모든 시설을 갖추었다. 성벽은...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성균관 유도회(成均館儒道會)의 칠곡군 지부. 1986년 3월 11일에 성균관 유도회 칠곡군 지부를 창립하고 장재성을 초대 칠곡군 지부 회장으로 선임하여 칠곡군 유도회가 개설되었다. 군민의 도의(道義) 함양과 윤리 정신 진작(振作)과 예(禮)의 생활 실천을 선도하여 전통문화 계승과 유학 정신 보급을 목적으로 삼는다. 1995년 12월 26일까지 칠곡...
-
조선 말기 대한제국 당시 칠곡 군수를 지낸 문신.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성내(聖내), 호는 일화(一和). 최석노(崔錫魯)의 아들로 대구에서 살았으며 1905년 제실회계심사관(帝室會計審査官)과 칠곡군수(漆谷郡守)를 지냈다. 1894년(고종 31)에 주사(主事)가 되었으며, 1903년 경남시찰사(慶南視察使)가 되어 지방관리의 비리를 색출하였다. 1905년 제실회계심사관(帝室會計審...
-
고려 후기의 충신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성노(成老), 호는 둔촌(遁村). 이집(李集)은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로 광주이씨 시조이다. 충목왕(忠穆王) 때 문과에 급제, 벼슬이 판봉상사(判奉常事)에 이르렀다. 1368년(공민왕 17)에 신돈(辛旽)의 비행을 논박하다가 화를 피해 영천(永川)에 사간(司諫) 최원도(崔元道)의 집에서 피신, 신돈이 처형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천주교의 종교의식이 행해지는 건물. 천주교 신자들이 다 같이 모여서 하느님을 찬미하고, 흠숭하기 위하여 만든 거룩한 집으로 이곳에서 대부분의 종교의식이 이루어진다. 천주교에서는 좁은 의미로 교회당 즉, 건물 안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성체를 모셔 두고 주임신부가 상주하는 성당을 본당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소라고 한다. 대성전은 로마 성 베...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죽전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소속 교회. 여원희 목사를 중심으로 죽전교회에서 분리하여 평복 1리에 가정 교회를 설립하여 평복리와 죽전리의 지역 복음화를 이루고자 설립되었다. 여원희 목사를 중심으로 김춘례 권사, 이충웅 집사, 유복년 집사, 김무석 권사, 박남수 권찰, 허재근 집사, 이정구 집사 등 12여명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무(聖武).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 송맹영(宋孟英)을 시조로 하는 직장공파 선무랑통례원(宣務郞通禮院)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손(孫)이며,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인 야성송씨로 송헌징(宋獻徵)의 아들이다. 야성송씨는 도촌(道村), 왜관 오곡(梧谷)에 세거지를 정하여 맥을 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성백(省伯), 호는 신재(新齋).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통덕랑 장숙(張琡)의 아들로서 어머니는 평산신씨이고 부인은 진성이씨이다. 1786년(정조 10)에 태어나 1813년(순조 13)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경릉[성종의 생부 묘] 참봉, 의금...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천주교 남자 수도자들의 수도원. 독일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수도원으로부터 파견된 수도자들이 북한 덕원과 중국 연길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하던 중 이념의 차이로 인한 당국의 탄압과 6·25전쟁 때 북한 정권의 박해로 남한으로 피난을 와서 1952년 다시 모여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을 설립하였다. 베네딕도 성인의 정신에 따라 '일하며 기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성보(聖甫), 호는 만암(晩菴).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로 하는 달성배씨로 대구에서 칠곡으로 이거한 칠곡 입향조이다. 조선 선조(宣祖)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지냈으며, 혼조(昏朝)에 관직을 그만두고 낙향, 대구에서 칠곡 읍내동으로 이거하여 살았다. 당...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문욱(文郁), 호는 성와(惺窩). 사육신(死六臣)인 충정공(忠正公)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으로 박충후(朴忠後)의 손자인 직장(直長) 박숭의(朴崇義)의 후손이 영조 때 달성군 하빈면 묘동에서 칠곡군 지천면 덕산리 이언(伊彦)으로 이거하여 번창한 인맥을 이어오고 있다. 아버지는 박취휘(朴就徽)이다. 1683년에 태어나 천성...
-
조선 중·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호여(皥如), 호는 성와(省窩).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이다.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운거(雲擧), 호는 성와(省窩).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동급(李東汲)이다. 어머니는 밀양박씨, 부인은 안동권씨이다. 1756년(영조 32)에 태어났으며, 선천적으로 타고난 맵시가 도(道)에 가까워 우...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성원(聖源), 호는 남파(南坡).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한다.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의 차자이고 어머니는 광산이씨,...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성유(聖惟), 호는 오은(梧隱).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벽상삼중대광 검교상장군을 지낸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능성구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구영림(具永林)이다. 1545년에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에서 태어나 백담문하(栢潭門下)에서 수학하였으며, 용기가 있고 힘이 장하여 궁술에 능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을 진주(晉州). 자는 성윤(聖允), 호는 혜사(蕙社). 백하(白下) 강의영(姜宜英)의 아들이다. 1890년(고종 27)에 명경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를 제수 받았고 그 후 여러 요직을 역임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되자 1905년(광무 5) 1월 동지들과 일본 공사관에 공개장을 보내어 불법을 지적하고 규탄하였다...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성윤(聖胤), 호는 농구(聾癯).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으로 이광필(李光弼)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밀양박씨 부인은 영천최씨이다. 듣고 보고 깨달아 얻는 지식이 높고 크고 학식이 여유가 있었다. 여러 책을 지었으며 사...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있는 건설 폐기물 처리 및 비금속 원료 재생 중소기업. 건설 폐기물 중간처리업 대구·경북권 제1호 업체로서 건설 신기술(제126호)과 환경 신기술 (제39호)을 획득한 건설 폐기물 재생공법의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환경 벤처기업이다. 인간 존중과 자연환경 보전을 최고의 가치로 삼고, 인간과 환경이 조화된 푸른 미래의 세상을 열어간다는 그린 마...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성재(聖哉), 호는 지암(遲菴).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이다. 참봉(參奉) 이원지(李元祉)의 후손으로 이항중(李恒中)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강릉김씨, 부인은 성산여씨이다. 1736년(영조 12)에 태어났다. 도덕심이 순박하...
-
조선 말기 칠곡의 효자.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전(聖傳).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며 존순재(存順齋) 송...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가족의 안녕을 관장하는 집안의 신. 성주 신은 집을 지키고 보호해 주는 집안의 최고신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옮긴 뒤에는 ‘성주받이’ 굿을 하고 성주를 모셨다. ‘성주단지’를 마루에 모시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가족들이 성주 신의 보호를 받는다고 믿고 있다. 성주 신에게는 정월 대보름이나 2월 초하루에 성주상을 차려 놓고 비손을 한다. 성주단지를 마루...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마애불상군. 기산면 노석리 도고산 중턱에 위치한 가로 5m, 세로 4.5m의 바위 면에 돋을새김된 석불군이다. 1977년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붉은색, 주황색, 푸른색 등의 채색 흔적이 남아 있었으나 채색된 시점은 알 수가 없다. 바위 면의 중심에 본존불과 협시보살의 삼존불을 두고, 삼존과 별도로 우협시 옆에 불좌상이...
-
도계를 시조로 하고 도덕택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도씨는 중국의 여양[현재 직예성 대명도] 출신의 도계(都稽)가 한무제 때에 북파장군으로 여가의 반란을 평정하여 도씨 성을 받은 것에서 유래한다. 우리나라의 도씨는 도계(都稽)의 후손인 도조가 중국 성제 제위 기간에 고구려에 건너와서 동명왕의 첫째 아들 유리가 이복동생인 온조와 왕권 경쟁을...
-
이순유를 시조로 하고 이석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시조(始祖) 이순유(李純由)는 아우 이돈유(李敦由)와 함께 신라에 벼슬하여 재상(宰相)에 올랐으나 신라가 망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고려 때 벼슬을 하지 않고 이름을 극신(克臣)이라 고쳐 경산(京山)[현재의 성주]부에 옮겨 살며 대대로 호족(豪族)을 이루니 고려 때에 누대(累代)에 걸쳐 후손들을 호장...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지신밟기의 한 과정에서 불리는 노래. 칠곡군의 지신밟기에서는 ‘대문풀이-성주풀이-조왕(정지)풀이-장독간(장고방)풀이-우물(샘, 용왕)풀이-곳간(고방, 뒤주, 창고)풀이-외양간(마구간, 축사)풀이-정낭(통시, 변소)풀이-주신(마당)풀이-문간(나올 때 집을 향해)풀이’ 등으로 집안의 곳곳을 돌며 곳곳을 관장하는 신들에게 가족의 안녕과 복을 기원...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성지(誠之), 호(號)는 경암(敬菴).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강해(姜楷)이다. 1721년(경종 1)에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출생하였다. 1753년(영조 29)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며, 집안에서 형 강필근(姜必謹)과 같이 실학(實...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김치 제조 중소기업. 성한식품은 김치를 제조하는 회사로서 군부대로의 김치 납품을 전문적으로 한다. 신속하고 정확한 납품을 원칙으로 여기며, 불만족스러운 사항에 대해서는 즉시 사후 조치를 취하는 기업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 성한식품은 2002년 11월 26일에 설립되었으며,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을 대한다. 보다 양질의 제...
-
조선 중기 칠곡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화여(和如), 호는 성헌(省軒).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현손(玄孫)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 동일한 인물을 시조(始祖)로 하면서 집성 세거한 성씨(姓氏). 성(姓)은 혈족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이것이 언제부터 발생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이미 인류 사회가 시작되는 원시 시대부터 이러한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원시 사회(原始社會)는 혈연을 기초로 하여 모여 사는 집단체로 조직되었기 때문이다. 사람은 처음에 모계(母系)...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대구·경북교구 칠곡교회. ‘세계평화와 통일을 위한 가정연합'이란 뜻으로 참 가정을 중심으로 한 세계평화와 통일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내걸고 설립되었다. 일반적으로 통일교라고 알려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1954년 5월 1일에 문선명에 의해 서울 성동구 북학동에서 창립되었으며 칠곡군에는 1957년 3월에 처음으로 칠...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에 있는 극재(克齋) 신익황(申益愰)의 사당. 본관이 평산(平山)인 극재 신익황[1672~1722]은 조선 중기 학자로 자는 명중(明仲)이다. 21세에 향시에 합격한 뒤에는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학덕으로 참봉, 주부 등에 천거되었으나 번번이 사퇴하였다. 만년에는 성리학에 뜻을 두고 이기설(理氣說)을 연구하였다. 학문은 이현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개인 및 기업의 세금을 매기고 거두어들이는 행정 사무. 세무는 각종 세금에 대한 부과, 감면, 징수에 대한 업무를 의미한다.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는 사회 질서의 유지, 국민 복리 증진, 국가 또는 지역 정책의 목적 실현을 위해 필요한 재정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 세금을 부과한다. 세금은 중앙 정부가 국방, 교육, 복지 등에 필요한 재원 조달을 위...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계절에 따라 행해지는 일반적인 생활 풍속과 의례. 세시풍속은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등으로 불렸으며, 최근에는 연중행사라는 말로도 일컬어진다. 세시풍속의 ‘세(歲)’는 한 해를 의미하고 ‘시(時)’는 사계절을 뜻하므로 세시풍속은 일 년 사계절에 관련된 풍속이다. 다시 말하면 정월부터 섣달까지 일 년 열두 달을 주기로 하여 같...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시작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이다.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이는 몸과 마음을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를 시작하라는 뜻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계절에 따라 행해지는 일반적인 생활 풍속과 의례. 세시풍속은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등으로 불렸으며, 최근에는 연중행사라는 말로도 일컬어진다. 세시풍속의 ‘세(歲)’는 한 해를 의미하고 ‘시(時)’는 사계절을 뜻하므로 세시풍속은 일 년 사계절에 관련된 풍속이다. 다시 말하면 정월부터 섣달까지 일 년 열두 달을 주기로 하여 같...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계절에 따라 행해지는 일반적인 생활 풍속과 의례. 세시풍속은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등으로 불렸으며, 최근에는 연중행사라는 말로도 일컬어진다. 세시풍속의 ‘세(歲)’는 한 해를 의미하고 ‘시(時)’는 사계절을 뜻하므로 세시풍속은 일 년 사계절에 관련된 풍속이다. 다시 말하면 정월부터 섣달까지 일 년 열두 달을 주기로 하여 같...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합성섬유 생산 및 판매 기업. 1979년 세원기업사가 설립되었고, 1989년 세원기업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3년에는 ISO-9001 인증을 획득하는 등 품질을 인정받았고, 2006년 4월에는 벤처기업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세원엔터프라이즈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화학섬유 방적업체로 주요 생산 제품은 부직포의 원사인 나일론 스...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에 있었던 기계장비 조립용 플라스틱 제품 제조 중소기업. TFT-LCD 모니터용 플라스틱 등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및 정보통신 부품 금형 제조업체로 LCD 플라스틱 부품, BLU 몰드 프레임, 자동차 범퍼, 도어 패널, 금형 등이 주요 취급 품목이었다. 1995년 5월에 대진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2년 1월에 제2공장을 건립하였다. 2002...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 벤처농업은 농업 및 농업 관련 분야에서 지역적 특성, 특수한 농법 및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처기업이 첨단의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것처럼, 벤처농업은 새로운 기술·디자인·마케팅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으로서의...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위치한 비료 및 질소 화합물 제조 중소기업. 환경 친화적 미생물을 이용한 농업기술로 생태계와 인체에 전혀 해를 끼치지 않고 인공합성 농약과 화학비료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특수 미생물 농법을 개발하여 토양개량과 농업인의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기업이다. 기세라골드, 파이토리아 등 천연배양 비료와 세라 알파, 세라그린, 세라칼슘 등...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함양(咸陽). 초명은 세첩(世倢), 호는 운암(雲菴). 고려시대 예부상서를 지낸 박선(朴善)을 중시조로 한다. 칠곡 입향조 송천(松泉) 박철산(朴鐵山)의 후손이다. 1728년 이인좌의 난에 의병을 일으켜 거창(巨昌) 가좌(伽左)의 들판에서 싸우다가 죽었으며 그 사실이 성주객사 앞 승전비에 전하고 공신록에 증서가 있다. 『국역 칠곡지리지』에 기록...
-
조선 시대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응렬(應烈), 자는 사원(士元), 호는 모재(慕齋). 진사(進士) 소노세(蘇老世)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많은 전공(戰功)이 있어 선무훈(宣武勳)으로 기록되어 벼슬은 절충장군이 되었고, 1640년(인조 18)에 이명웅이 안찰사로 있을 때 천거되어 가산산성[칠곡군 가산면]을 축성하는 데 공을 세웠다. 당시 축조된...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새비름은 한 해에 네 번의 세대교체를 할 수 있으며, 재생력이 뛰어난 식물로 번식력도 뛰어나다. 환경이 좋지 않을 때는 닫힌 꽃가루받이를 하며, 뿌리 채로 뽑아도 달려 있는 씨앗은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다육질의 특성상 줄기나 잎을 한여름 가물 때 뽑아 두어도 며칠씩 살아남을 정도로 건조에 강하다. 지난날 쌀이 귀했던 시절 쌀을 대신해서 끼...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창녕(昌寧)인 석당(石塘) 조세우(曺世虞)을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 조병선이 1935년에 건립한 추모지소이다. 조세우는 1540년(중종 35)에 성주목사를 지내고 창녕에서 칠곡 구덕리로 이거·입향하였다. 동명저수지에서 송림사 쪽으로 지방도 908호선을 타고 500m 정도 간 지점에 위치한 송림마을 복판에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에 있는 서원. 소암 서원은 투암(投巖) 채몽연(蔡夢硯)[1561~1638], 백포(栢浦) 채무(蔡楙)[1588~1670], 극명당(克明堂) 장내범(張乃範)[1563~1640]을 향사하던 서원이다. 숙종 29년(1703) 10월 유학자인 장벽, 장세휘, 박정석 등 20여명이 소암동 팜암바위 뒷산에 사당과 강당을 지어 소암사라 하고...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에 있는 서원. 소암 서원은 투암(投巖) 채몽연(蔡夢硯)[1561~1638], 백포(栢浦) 채무(蔡楙)[1588~1670], 극명당(克明堂) 장내범(張乃範)[1563~1640]을 향사하던 서원이다. 숙종 29년(1703) 10월 유학자인 장벽, 장세휘, 박정석 등 20여명이 소암동 팜암바위 뒷산에 사당과 강당을 지어 소암사라 하고...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광주(廣州)인 정재(靜齋) 이담명(李聃命)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추모지소로 건립했다. 석전리 귀바위마을에 있는 미군부대 담장 옆에 이암동산이 있다. 이암동산 안에는 소암재(紹巖齋), 낙촌정(洛村亭), 경암재(景巖齋) 등의 누정 및 재사 건물이 ‘ㄷ’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귀바위마을은 석전리 중심마을로 마...
-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칠곡군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경상도를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상주의 옛 지명인 상락(上洛) 또는 낙양(洛陽)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과 가락국(駕洛國)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이 있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 화전동의 함백산(咸白山)[1,573m]...
-
조선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용건(勇健), 호는 남파(南坡). 진주소씨 소논동(蘇論東)의 후손이다. 진주소씨는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에 집성을 이루어 선조의 얼을 추모하면서 400여 년 동안 세거지로 삼아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으로 건장하고 도량이 깊었다. 1894년(고종 31)에 부패한 관리 타도, 조...
-
조선 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양중(揚仲), 호는 소정(小亭).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승지 장석유(張錫裕)의 동생이다. 사미헌 장복추(張福樞)의 문하로 1865년(고종 2)에 식년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 성균관 전적을 거쳐 1871년(고종...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도개리와 지천면 황학리에 걸쳐 있는 산. 소학산은 황학산, 유학산과 더불어 3학(鶴)을 이루며, 그 사이에 있는 땅재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6·25전쟁 때 격전지였다. 땅 속에서 학이 날아갔다 하여 소학산이라 부른다. 해발고도 622m의 산으로, 소학산의 지질은 고생대 말에서 중생대 쥐라기에 퇴적된 낙동층군에 속하는 낙동층으로 이루어져 있...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비판과 교훈 등을 담은 짧은 말. 속담은 언제 누구에 의해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여러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사용이 확대되어 오늘날까지 관용적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는 짧은 말이다. 속담은 민중의 삶 속에서 만들어지고 이어져 왔기 때문에 속담을 통해 민중의 생활양식과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속담이 민족의 삶...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6년 12월 14일 칠곡군 석적면 반계동에서 태어났다. 1915년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고, 1916년 친일파 처단에 사용할 총을 보관·전달하였다가 체포되어 태형(笞刑)을 받았다. 1913년 풍기(豊基)에서 채기중(蔡基中) 등을 중심으로 대한광복단(大韓光復團)을 조직할 때, 왜관(倭館)의 이수택(李壽澤)과 같이 가입하여 군자...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5년 1월 12일 칠곡군 약목면 덕산동에서 태어났다. 1920년 군자금을 모아 상해로 가려다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치른 후, 1925년 다시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집 지령서를 부호(富豪)들에게 배포하고 모금하던 중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형을 받았다. 1920년 북만주(北滿洲)로 가서 독립운동 자금 모집을 협의하고 돌아와, 군자금 조달책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에서 닭에게 솔잎을 첨가한 사료를 먹여 생산한 달걀. 칠곡군 왜관읍 유성농장에서 생산하는 솔란은 솔잎을 첨가한 사료를 먹인 닭이 생산한 달걀로서, 비린 맛이 없고 고소한 맛을 낸다. 솔란은 영양 공급원으로 우수한 식품이며, 손쉽게 구입하여 짧은 시간에 조리·가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 가능한 식품이다. 솔란을 이용하여 만...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에 전해오는 솔배기와 딘바디에 관련된 이야기. 한국의 풍수지리담은 대부분이 자신이나 후손들을 잘 살게 하기 위한 것들이 많다. 조상의 무덤이나 부자가 되기 위해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명당(明堂)이라고 하면 반드시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는 내용이다.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에 전해 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에 전해오는 솔배기와 딘바디에 관련된 이야기. 한국의 풍수지리담은 대부분이 자신이나 후손들을 잘 살게 하기 위한 것들이 많다. 조상의 무덤이나 부자가 되기 위해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명당(明堂)이라고 하면 반드시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는 내용이다.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에 전해 오는 이야기로,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어로 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300년 전 마을 앞 경호천에 포구를 이루어 곡식이나 생활필수품을 실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한다. 그 후 강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게 되어 소(沼)는 흙이 쌓인 갯벌이 되었다가 농토가 된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본래는 솔징이[松亭]마을이었는데, 1920년 대홍수로 수해를 당한 국포 주민들이 이곳으로 옮겨와서 마을...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어로 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 300년 전 마을 앞 경호천에 포구를 이루어 곡식이나 생활필수품을 실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한다. 그 후 강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게 되어 소(沼)는 흙이 쌓인 갯벌이 되었다가 농토가 된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본래는 솔징이[松亭]마을이었는데, 1920년 대홍수로 수해를 당한 국포 주민들이 이곳으로 옮겨와서 마을...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있는 재실. 벽진 이씨(碧珍李氏) 재실로 경은(耕隱) 이맹전(李孟專)의 손자 이예원(李禮源)은 성균관 생원이었으나 벼슬을 하지 않고 현재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은거하였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 1리에 있다. 동명 중·고등학교 뒤쪽에 있는 재실로 재실의 뒤에는 신풍 산업이라는 중소기업이 위치하고 재실...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송학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영천(永川)인 송강(松岡) 이의과(李宜果)는 문과별시에 급제하고 조선 순조 때 배 춘추관기주의 벼슬을 지내고 제주판관겸 제주진병마절제도위감목사 벼슬을 지냈다. 칠곡군 가산면 송학 1리에 있다. 동명중·고등학교 근처에 있는 재실로 재실의 뒤에는 ‘신풍산업’이라는 중소기업이 위치하고 재실 맞은편에는 ‘승진 비니루...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 벤처농업은 농업 및 농업 관련 분야에서 지역적 특성, 특수한 농법 및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처기업이 첨단의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것처럼, 벤처농업은 새로운 기술·디자인·마케팅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으로서의...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있는 과실 및 채소 절임 식품 제조 중소기업. 송광매원은 매실과 차조기를 이용한 전통 식품 제조업체로, 토종 매실인 ‘송광매’ 묘목 보급운동본부를 계승·발전하여 만들어졌다. 순수 토종 매실로 만든 각종 가공식품에 집중적으로 연구·투자하여 국민 건강에 기여하려고 노력 중이며, 송광매원의 제품으로 매실 엑기스, 매실 장아찌, 매실 고추장,...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지난날 먹을 양식이 부족하여 허기를 달래기 위해 소나무 속껍질(송기)을 이용하여 만든 떡이다. 못살던 시기에 허기를 면하기 위해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만들어 먹지 않는다. 50~100년 된 소나무의 속껍질을 도끼나 낫 등으로 채취하여 양잿물에 담아 둔다. 양잿물은 소나무의 속껍질을 잘 물러지게 하는데, 물러지면 벌겋거나 갈색의...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지난날 먹을 양식이 부족하여 허기를 달래기 위해 소나무 속껍질(송기)을 이용하여 만든 떡이다. 못살던 시기에 허기를 면하기 위해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만들어 먹지 않는다. 50~100년 된 소나무의 속껍질을 도끼나 낫 등으로 채취하여 양잿물에 담아 둔다. 양잿물은 소나무의 속껍질을 잘 물러지게 하는데, 물러지면 벌겋거나 갈색의...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末寺)이다. 조선 세종 때에는 교종, 선종 36본산의 하나였으나, 조선 후기에 동화사가 본산이 되면서 그 말사가 되었다. 신라 진흥왕 때 진(陳)의 사신 유사(劉使)가 중국 유학승인 명관대사(明觀大師)와 함께 신라에 오면서 불경 2,700권과 불사리(佛...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에 있는 석조 아미타여래 삼존 좌상. 현재 송림사 천불전에 봉안돼 있는 석조 아미타여래 삼존 좌상(石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아미타불상, 관세음보살상, 지장보살상의 3구로, 본존 아미타불상에서 발견된 복장조상기문에 의해 1655년(순치 12)의 정확한 연기가 알려진 불상이다. 17세기 불교 조각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수작이다. 20...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송림사 중창 기념비. 1686년에 동명면 구덕리의 송림사 기성대사(箕聖大師)에 의해 대웅전과 명부전을 중창 불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비는 송림사가 1243년(고종 30) 몽골의 침략으로 절이 소실된 상태에서 400여 년간 방치되어 오다가 1686년(숙종 12) 기성대사에 의해 대웅전과 명부전이 중창되었으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송림사의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절 입구에 세웠던 깃 당의 일종이다. 구조는 당간을 받쳐 세우기 위한 기둥으로 2개의 기둥을 세우고 기둥 상·하 2개의 구멍을 뚫어 깃대를 세웠다. 사역의 경계 표시 또는 사역 위치, 일정 의식을 표식하기 위함이다. 송림사 대웅전 서쪽 100m 지점의 경작지 가장자리에 1기의 당간지주가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의 송림사 대웅전에 있는 목조 석가여래 삼존 좌상. 송림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 석가여래 삼존 좌상(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본존 석가모니불상과 좌우 협시의 문수보살상, 보현보살상의 3구로, 1657년의 조성 연대가 확인된 목조 불상이다. 협시의 지물(持物)과 보관(寶冠)은 후대에 보수한 것이나 대체로 조성 초기의 상태를 유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의 송림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송림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 삼존상과 시왕상 및 제상을 포함한 총 22구이다. 지장보살의 좌협시 보살인 도명존자상과 지지보살의 협시상에서 시왕 조성 발원문[十王造成發願文]이 발견되어 삼장보살을 제외한 대부분의 명부전 조각상이 1665년에 일괄 조성되었으며 화원은 승일(勝一)을 비롯,...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 명부전에 봉안된 석조 삼장 보살 좌상. 2004년 10월에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71호로 지정된 송림사 명부전 석조 삼장 보살 좌상(松林寺 冥府殿 石造三藏菩薩坐像)은 본존 천장보살 좌상(天藏菩薩坐像)과 우본존 지장보살 좌상(地藏菩薩坐像), 좌본존 지지보살 좌상(持地菩薩坐像)의 3구로서 1655년(순치 12)의 정확한 연기가 알려진...
-
경상북도 칠곡군의 송림사의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불경·다라니 등의 전적(典籍). 송림사 극락전 석조아미타불좌상의 복장에서 5종의 유품, 명부전 석조천장보살상 복장에서 발견된 총 21종 34책의 경전, 다라니, 후령통, 명부전 목조무독귀왕입상의 복장에서 4종의 유품, 명부전 목조 도명존자의 입상에서 8종의 유품, 명부전 목조제1진광대왕의좌상 복장에서 4종의 유품...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에 있는 부도군. 송림사 부도는 모두 4기이다. 부도의 양식은 조선시대 전형적인 양식인 석종형 부도에 속한다. 송림사에 주석했던 고승들의 부도로 여겨지지만 남아있는 기록이나 명문이 없어 어느 스님의 묘탑인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 송림사 부도군(松林寺 浮屠群)은 송림사에서 동쪽으로 약 300m 지점, 대웅전 동쪽...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의 송림사 경내에 있는 석등. 네모난 지대석(地臺石) 위에 8각의 복련석(覆蓮石)을 얹고 그 위에 가늘고 긴 8각의 간주(竿柱)를 세웠으며, 다시 8각의 화사석을 받치기 위한 8각의 앙련석(仰蓮石)을 얹고 화사석 위에는 8각의 지붕돌[옥개석]을, 지붕돌 정상부에는 보주를 얹은 전형적인 팔각 간주석(竿柱石) 석등(石燈)이다. 송림사...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의 송림사 경내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전탑. 칠곡 송림사 오층 전탑은 형태와 재료, 유물들로 미루어 보아 9세기 초 통일 신라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중에 피해를 입어 탑신이 북으로 기우뚱해졌는데, 1959년에 부분 보수 후, 다시 1961년에 전면 해체·복원되었다. 현재 송림사 경내에 대웅전 앞에 있다. 규모...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서 전하는 송림사의 창건 이야기. 사찰 창건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 사연들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는 돈독한 불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이야기들을 위주로 되어 있으나, 이 이야기에서는 송림사의 직접적인 창건 사연보다는 다른 이야기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송림사 창건 부분은 아주 짧게 마무리되어 있다.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정부(定夫), 호는 매헌(梅軒).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 송맹영(宋孟英)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야성으로 쓰고 있는 야성송씨(冶城宋氏)로 직장공파 선무랑(宣務郞)으로 통례원(通禮院)의 인의(引儀)를 역임한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이다.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세거지를 정한 아...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열녀 성산이씨는 고려시대에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역임하고 야성군(冶城君)에 봉해진 맹영(孟英)의 14세손으로 첨정(僉正)을 역임한 만호(萬戶) 송발(宋潑)의 아내이다.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송발은 벼슬에 있어 오지 못하고 이씨 부인과 식구들만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로 피난 와서 살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 왜병이 짐승처럼 덤벼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주위에 솔숲이 울창하여 송산(松山)이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서북면(西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대조, 상어, 중어, 칠전, 송항의 일부를 병합하여 송산이라 하고 동명면(東明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송산리는 북쪽의 백운산(白雲山)[713.4m]에서 발원한 송산천(松山川)을 끼...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있는 수령 3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길...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 대치마을의 동제. 대치 동제는 한 때 중단되었다가 마을에 나쁜 일이 자주 생겨서 새로 모시기 시작하였다. 원래의 큰 나무는 없어지고 새로 움튼 나무가 자라서 지금의 당나무가 되었다. 예전에는 풍물을 치며 ‘천왕을 받는다’고 하여 ‘신대(대나무)’를 들고 다니며 제관을 선정하였지만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 일대에 있는 절터. 송산리 사지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절터로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구릉의 서쪽 사면에 석축을 쌓아 조성한 평탄지 일대로 추정된다. 송산리 사지는 송산리 성황나무에서 북서쪽으로 200m 지점 산사면에 위치한다. 석축은 3단이며 평탄지는 서남향을 이룬다. 현재는 대나무 숲에 가려진 최 상단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에 있는 석불. 송산리 석불(松山里 石佛)은 원래 여부골 절 터에 있었는데 홍수로 하항마을 앞까지 떠내려 와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1981년 1월 23일에 동명고등학교 뒤편 북쪽 담에서 10㎞ 가량 떨어진 현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현재는 송산리 140번지 민가 앞에 제단을 마련해서 안치해 두었다. 좌상 석불로 높이 130㎝,...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 3리 옻밭골마을의 동제. ‘천왕제’라고도 부른다.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동제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예전에는 ‘대를 받아서’ 제관을 정했으나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송산 3리 옻밭골마을의 교회에서 200m 정도 떨어진 북쪽 뒷산 구릉에 위치하며, 상당(上堂)과 하당(下堂) 두 곳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당은...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 옻밭골 마을 입구에 있는 장승. 송산리 이장 서영만에 따르면 1985년 경에 장승이 세워졌다고 한다. 장승에 희미하게 남아있는 각자(刻字)는 2000년 2월 제작으로 추정되어 다시 세운 것으로 짐작된다. 나무는 이장이 제공하고, 조각은 대구에 살던 골동품 수집가인 이원호가 맡아서 제작하였다고 한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윤(景胤), 호는 송설헌(松雪軒), 시호는 안양(安襄). 1305년(충열왕 31)에 등과하여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에 이르고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진 인동장씨 장계(張桂)의 후손이다. 장계는 인동현의 남쪽 발영전(拔英田)에 터를 잡아 인동을 본관으로 정했다. 1459년(세조 5)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1463년(세조...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기보(紀甫), 호는 존순재(存順齋). 시조 맹영(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諫議大夫) 총부의랑(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손자이며 송광택(宋光宅)의 차자이다. 어머니는 신창표씨,...
-
조선 말기 칠곡의 효자.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전(聖傳).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며 존순재(存順齋) 송...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택선(擇善), 호는 송암(松巖).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진사 이덕부(李德符)의 다섯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풍천임씨, 부인은 문화유씨이다. 진락당(眞樂堂) 김취성(金就成)을 스승으로 섬겼다. 과거 공...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무(聖武).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 송맹영(宋孟英)을 시조로 하는 직장공파 선무랑통례원(宣務郞通禮院)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손(孫)이며,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인 야성송씨로 송헌징(宋獻徵)의 아들이다. 야성송씨는 도촌(道村), 왜관 오곡(梧谷)에 세거지를 정하여 맥을 이...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충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계직(季直), 호는 송연(松淵).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절충장군 이말정(李末丁)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생원 이주남(李柱南)의 아들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여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토벌하다가 전투 중에 세상을 떠났다. 완정 이언영(李彦英)이 제문(祭文)에서 “출중한 기개와 도량...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인(景仁), 호는 송와(松窩).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송은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으로 진사 장신손(張信孫)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휴암 장항(張沆)이다. 어머니는 울산박씨, 부인은 경주김씨이다. 송정(松亭) 최응룡(崔應龍)의 문인...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학무(學懋), 호는 아헌(啞軒).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 맹영(孟英)을 시조로 하는 야성송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교위(校尉) 송사호(宋師顥)이고 어머니는 팔거도씨, 부인은 인천이씨이다. 어려서 증조부 충숙공 송야계(宋倻溪)와 숙부 송신연(宋新淵)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한강 정구(鄭逑)와 여헌...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경홍(景弘), 호는 석천(石泉). 송유익(宋惟翊)을 시조(始祖)로 세계를 계승하고 있는 여산송씨로 칠곡군 북삼읍 오평리와 율동에 400여년 전 단종(端宗) 폐위로 낙향한 과암(果庵) 송찬(宋瓚)의 6세손이며 참판 송기(宋麒)의 아들이다. 여헌(旅軒) 장현광의 문인으로 평소 기우가 장하고 담력이 있어 1592년 임진...
-
고려시대 칠곡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호는 송은(松隱).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하고 있다. 장균(張均)의 아들이다. 고려 때 연경궁(延慶宮)의 제공(提控)·함흥부사를 거...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백수(伯綏), 호는 남촌(南村).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 송맹영(宋孟英)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로 직장공파 선무랑통례원(宣務郞通禮院)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손(孫)이며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우직(友直).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이다.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에 세거지를 정한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다. 남촌(南村) 송이...
-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호는 송정(松亭). 고려 태조 때의 개국공신이신 장렬공 김훤술(金萱述)을 시조로 하고 세대가 먼 후손인 김수(金銖)가 조선시대 때 예조판서로 해평군에 봉해짐으로서 후손들이 본관을 해평으로 하고 있다. 부모와 생몰년은 미상이다. 고려시대 후기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으로 공민왕(恭愍王) 때 문과 아원으로 급제하여 집현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곡(元谷) 마을 앞 하마천(下馬川) 제방에 노송 수십 그루가 우거져 장관을 이루었다고 하여 송정(松亭)이라 불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상지면(上枝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도당, 도촌면 중리 및 금정의 일부를 병합하여 송정이라 하고 칠곡군 지천면(枝川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송정리 왕산봉에 있는 수기석. 왕산봉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송정리 뒷산으로 연화 1리와 경계하고 있다. 928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과 팔공산에서 격전 중 전세가 불리하자 대장 신숭겸과 갑옷을 바꾸어 입고 달아나, 왕산봉에서 전열을 재정비하여 승전하였다 한다. 왕건 태조가 유진한 곳이라 하여 ‘왕건봉’이라고도 하며, 깃발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송정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반계리에 있는 자연 휴양림. 2006년 7월에 개장한 송정 자연 휴양림은 산·나무·동물·사람들의 만남이 있는 곳이며, 휴일을 이용해 가족 단위로 잠시 쉬었다 가기에 좋은 곳이다. 가끔은 아스팔트가 아닌 흙 위를 걸을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하고, 풀벌레와 자연의 향기를 가진 식물들의 좋은 학습 거리를 아이들에게 제공해 주는 곳으로 건립되었다. 송정마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있는 지역민의 자생적인 비영리 사회단체. 회원 간의 협동을 도모하고 불우한 이웃을 도와 명랑한 복지 사회 건설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64년 5월에 칠곡군 지역 부녀자들을 중심으로 계 조직 파랑새회로 창립되었으며, 초대 조윤남 회장이 선출되었다. 1972년에 공회당을 인수하고 예식장을 개장하였으며, 1973년 9월 7일에 예식장...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수장(秀長), 호는 송죽헌(松竹軒).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으로 완석정 이언영(李彦英)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현풍곽씨, 부인은 의성김씨이다. 1689년(숙종 15)에 올바른 행실로 천거되어 사산(四山) 감역(監役)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지난날 먹을 양식이 부족하여 허기를 달래기 위해 소나무 속껍질(송기)을 이용하여 만든 떡이다. 못살던 시기에 허기를 면하기 위해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만들어 먹지 않는다. 50~100년 된 소나무의 속껍질을 도끼나 낫 등으로 채취하여 양잿물에 담아 둔다. 양잿물은 소나무의 속껍질을 잘 물러지게 하는데, 물러지면 벌겋거나 갈색의...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충신.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과암(果菴). 시조(始祖) 송유익(宋惟翊)은 고려 때 진사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追贈)되었으며, 또한 4세손으로서 중시조인 정열공(貞烈公) 송송례(宋松禮)는 고려 원종 때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여량(礪良)[현재 여산]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지고 식읍 1...
-
조선 중기 칠곡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자는 회수(晦叟), 호는 송포(松圃). 고려 두문동충신(杜門洞忠臣)인 사인(舍人) 이치(李致)의 후손이며, 대사간 이세림(李世琳)의 손자이고 증 이조참의(吏曹參議) 이돈(李敦)의 아들이다. 1613년(광해군 5)에 상소하여 이이첨(李爾瞻)을 제거하려다 10년간 위리안치(圍籬安置: 죄인이 귀양지에서 달아나지 못하도록 집 둘레에 가시로 울...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영심(令尋), 호는 문양(文陽).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이다.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며...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유학산(遊鶴山) 기슭에 송림(松林)이 울창하여 판재(板材)가 생산되던 곳이라 하판(下板)이라 하였다가, 송림에 학(鶴)이 날아와 살고 있으므로 송학(松鶴)이라 고쳤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동면(東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선산군 장천면 달천을 병합하여 하판리라 하고 칠곡군 가산면(架山面)에 편입하...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송학리에 있는 정려문. 열녀 아주신씨는 영천인 사인(士人) 이익수(李益修)에게 출가하여 시부모를 공경하고 남편을 지극히 섬겼으나 남편이 병들어 죽자 본인도 목을 매어 따라 죽었다. 1841년(헌종 7)에 조정에서 신씨의 열행을 기리어 정려를 내렸다. 대구~선산간 국도 25호선 동편에 위치한 송학리 아랫너실마을 복판에 자리잡고 있다. 아랫...
-
조선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사원(士元), 호는 매촌(梅村).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종한(宗漢), 호는 문헌(文軒).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이다.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택중(澤仲).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였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송복수(宋福綏)이고 어머니는 전...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에 있는 재실. 경탄재는 송지관을 추모하는 재실이다. 송지관(宋志寬)의 본관은 야성(冶城)으로 자는 원여(元汝)이고 호는 벽탄(碧灘)이다. 송지관은 한성부 주사(漢城府 主事)를 지내면서 못살아 궁핍한 사람에게 베풀기를 기뻐하고 없는 사람을 구제하는데 힘을 다하였다. 아들 송득재(宋得載)가 1970년경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로...
-
조선 중기 칠곡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화여(和如), 호는 성헌(省軒).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현손(玄孫)이...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시조인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였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며, 현감 송협(宋浹)의 동생이다. 칠곡군 지천면...
-
조선 중·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호여(皥如), 호는 성와(省窩).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이다.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
조선 말기 칠곡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사언(士彦).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였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송심석(宋心錫)이고, 어...
-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 음식. 새비름은 한 해에 네 번의 세대교체를 할 수 있으며, 재생력이 뛰어난 식물로 번식력도 뛰어나다. 환경이 좋지 않을 때는 닫힌 꽃가루받이를 하며, 뿌리 채로 뽑아도 달려 있는 씨앗은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다육질의 특성상 줄기나 잎을 한여름 가물 때 뽑아 두어도 며칠씩 살아남을 정도로 건조에 강하다. 지난날 쌀이 귀했던 시절 쌀을 대신해서 끼...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서 재배되는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다년생 풀. 미나리는 신선한 빛깔과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어 입맛을 잃었을 때 식용을 되찾는 식품으로 이용하며, 나물, 김치, 강회, 볶음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피를 맑게 해 주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옛날부터 귀하게 여겨 궁중에 진상하던 식품으로 비타민A, 비타민C,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서 재배되는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다년생 풀. 미나리는 신선한 빛깔과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어 입맛을 잃었을 때 식용을 되찾는 식품으로 이용하며, 나물, 김치, 강회, 볶음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피를 맑게 해 주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옛날부터 귀하게 여겨 궁중에 진상하던 식품으로 비타민A, 비타민C,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5년 1월 29일 칠곡군 왜관면 석전동에서 태어났다. 1925년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의 내몽고 지역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 모집에 참여하여 경상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중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19년 파리장서(巴里長書)를 가지고 중국에 가서 활동하던 김창숙은 독립운동의 활로를 열 방안으로, 내몽고(內蒙古) 지역황무지에...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충노(忠奴). 열부 곽씨의 종이었다. 임진왜란 시기 수남은 상전을 따라 산중으로 왜적을 피하였는데, 주인(主人)이 적에게 죽고 다만 8살 난 아이만 살아서 남아 있었다. 수남은 쌓인 시체 가운데서 주인집 식구들의 시신을 찾아 장사지냈는데, 양반 가운데 악한 사람이 어린 상전을 해치려 하자 수남이 업고 멀리 피하여 안전하게 보호하였다. 이로써 주인집...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칠곡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제도. 인동현(仁同縣)은 940년(고려 태조 23) 주군현 개편 때 수동현(壽同縣)을 인동현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생겨났다. 고려 시대에는 인동현, 조선 시대에는 인동현 또는 인동 도호부로 불렸다. 1895년 지방 행정 구역 개편 때 인동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78년 선산군, 칠곡군, 인동군, 구미읍을 합...
-
통일신라시대에 칠곡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제도. 수동현(壽同縣)은 757년(신라 경덕왕 16) 이후부터 940년(고려 태조 23)까지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에 있었던 지방 행정구역으로, 고려시대에는 인동현, 조선시대에는 인동현 또는 인동도호부로 불렸다. 1895년 지방 행정 구역 개편 때 인동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78년 선산군 구미읍[경상북도 구미출장소]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단오의 ‘단(端)’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자는 오(五), 곧 다섯이란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은 양수(陽數)인 홀수가 겹치는 3월 3일, 5월 5일, 6월 6일, 7월 7일, 9월 9일 등을 양기(陽氣)가 가득 찬 길일(吉日)로 치면서, 그 중에서도 5월...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8월 2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매원동[현 매원리]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조선 국권 회복을 위한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하였으며, 1944년에는 여운형(呂運亨) 등의 조선건국동맹에서 재무 담당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2월 28일 정월 대보름 시회(詩會)로 위장하여 달성군 수성면 안일암(安逸庵)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8월 2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매원동[현 매원리]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조선 국권 회복을 위한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하였으며, 1944년에는 여운형(呂運亨) 등의 조선건국동맹에서 재무 담당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2월 28일 정월 대보름 시회(詩會)로 위장하여 달성군 수성면 안일암(安逸庵)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8월 2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매원동[현 매원리]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조선 국권 회복을 위한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하였으며, 1944년에는 여운형(呂運亨) 등의 조선건국동맹에서 재무 담당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2월 28일 정월 대보름 시회(詩會)로 위장하여 달성군 수성면 안일암(安逸庵)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8월 2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매원동[현 매원리]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조선 국권 회복을 위한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하였으며, 1944년에는 여운형(呂運亨) 등의 조선건국동맹에서 재무 담당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2월 28일 정월 대보름 시회(詩會)로 위장하여 달성군 수성면 안일암(安逸庵)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에 있는 성주도씨 재실. 수성재는 지천면 달서리에 있는 성주도씨(星州都氏) 재실로 도순경(都舜卿)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1685년에 처음 지었으며, 그 후 화재 등으로 피해를 입어 여러 차례 수리했다. 지금의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1칸 반의 규모로, 1963년에 크게 수리한 것이다. 도순경은 월녕첨사(月寧僉使) 도의문(都義文...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호는 수암(遂巖), 고려 때 덕풍호장(德豊戶長)을 지낸 이존술(李存述)을 시조로 하는 덕산이씨로 칠곡에 세거한 중시조 이유(李愉)의 후손이며, 온혜공 이사맹(李師孟)의 아들이다. 부인은 인동유씨(仁同柳氏)이다. 1455년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세조가 왕위를 계승하자 만경현령(萬頃縣令) 직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세조 3년(1457)...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와 성곡리에 걸쳐 있는 산. 둥글다는 뜻의 고어 ‘둠’에서 유래하여 ‘데미’가 되었다고 한다. 해발고도 518.7m의 산으로 숲데미산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선산화강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 산록에는 중생대 쥐라기에 퇴적된 낙동층군에 속하는 낙동층이 분포한다. 정상부에는 암반이 드러나 험준하다. 숲데미산은 칠곡군 석적...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서 재배되는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다년생 풀. 미나리는 신선한 빛깔과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어 입맛을 잃었을 때 식용을 되찾는 식품으로 이용하며, 나물, 김치, 강회, 볶음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피를 맑게 해 주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옛날부터 귀하게 여겨 궁중에 진상하던 식품으로 비타민A, 비타민C,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
-
백우경을 시조로 하고 백수화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시조(始祖) 백우경(白宇經)은 중국에서 귀화한 황제헌원(黃帝軒轅)의 16세손 백을병(白乙丙)의 후손이다. 백우경은 780년에 동래(東來)하여 계림자옥산하(鷄林紫玉山下)에 정착하면서 신라(新羅) 때 사관(仕官)하여 좌복사사공대사도(左僕射司空大司徒)에 이르고, 백씨의 연원을 이루었다. 후손들이 그를...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수장(秀長), 호는 송죽헌(松竹軒).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으로 완석정 이언영(李彦英)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현풍곽씨, 부인은 의성김씨이다. 1689년(숙종 15)에 올바른 행실로 천거되어 사산(四山) 감역(監役)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봉숙(奉叔), 호는 수헌(守憲).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는 벽진이씨 후손으로, 모암(慕巖) 이충민(李忠民)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안동권씨, 부인은 고령박씨이다. 1626년(인조 4)에 태어나 경서(經書)에 관한 학문의 방법과 이론에 뛰어나 당대에 추앙되어 존중을 받았다. 회당(晦堂) 유세철(柳世哲),...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하리에 전해오는 조산박이와 관련된 이야기. 이야기는 풍수지리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소의 입 부분에 해당되는 소복이마을에 인공산을 만들어 소가 먹을 수 있는 산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칠곡군 가산면 학하 1리에 산을 인력(人力)으로 만들었다 하여 ‘...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숙윤(叔潤). 동래정씨는 육부촌장 지백호(知伯虎)의 후예로 안일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나 세계(世系)가 확실하지 못하여 정지원(鄭之遠)을 1세로 하고 정절공파 18세 정여강(鄭汝康)의 아들 양졸재 정수(鄭錘)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동래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정유식(鄭惟軾)이며, 어머니는 평산신씨...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숙정(叔精), 호는 매호.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이세용(李世瑢)이고, 어머니는 남원윤씨, 부인은 풍천임씨이다. 1741년(영조 17)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감찰, 예조좌랑, 해운판관(海運判官) 등을...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순거(順擧), 호는 만포(晩圃). 창녕조씨는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사위 조계룡(曺繼龍)을 시조로 하고 신라 말에 아간시중(阿干侍中)을 지내고 고려 태조의 딸과 결혼한 조겸(曺謙)을 중시조로 삼는다. 성주목사를 지내고 창녕에서 팔거(八莒)[현 칠곡]로 이거하여 정착한 석당(石塘) 조세우(曺世虞)의 후손이다. 시(詩)로 이름이...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역 앞 골목에 있는 전통 순대 국밥집. 고궁순대는 3대에 걸쳐 50년 동안 전통의 맛을 이어온 순대국밥집이다. 고궁식당의 순대국밥은 정갈하게 손질한 암퇘지의 머리 고기와 엄선된 내장을 사용 하는데, 신선한 재료를 매일 대구에서 가져와 소금을 이용해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만들어 낸다. 그리고 특히 국물은 돼지 사골만을 이용해 만드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가톨릭계 사립 고등학교.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민주 시민 의식을 지닌 정직한 사람, 심신이 건강한 사람을 기른다. 교훈은 ‘깨끗한 마음으로 부지런히 일하고 서로 돕는 사람이 되자’이다. 1936년 5월 15일 왜관 천주교회의 프랑스인 주임인 리처드 로벨도(Richard, R.)[...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가톨릭계 사립 여자 고등학교. ‘깨끗한 마음으로 부지런히 일하고 서로 돕는 사람이 되자’라는 교훈 아래 인성 교육을 통한 도덕인, 학력 신장을 통한 지식인, 교실 개혁을 통한 창의적인 인간, 세계화 교육을 통한 사회봉사인을 육성함을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깨끗한 마음으로 부지런히 일하고 서로 돕는 사람이 되자’이다. 1936년...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가톨릭계 사립 여자 중학교. 인성 교육을 통한 도덕인을 육성한다. 학력 신장을 통한 지식인을 육성한다. 교실 개혁을 통한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한다. 세계화 교육을 통한 사회봉사인을 육성한다. 건학 이념에 입각하여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간 육성으로 자아를 실현하는 교육, 사랑을 실천하는 교육, 창의력을 기르는 교육...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순심중·고등학교의 본관 건물. 순심중·고등학교 본관은 1962년에 철근콘크리트 슬레이트로 지은 3층 규모의 ‘ㄷ’자형 학교 건물이다. 순심중·고등학교는 1936년 4월 1일에 소화여자학원으로 설립된 뒤 1946년 5월 23일에 순심여자초급중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46년 11월 29일에 순심초급중학교, 1951년 8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가톨릭계 사립 중학교. 예절 교육을 강화하여 기본이 바로선 세계 시민의 자질을 기른다.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합리적인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른다. 과학 기술 및 정보 통신 교육을 강화하여 창의성과 탐구 능력을 기른다. 건강관리와 기초 체력 단련을 강화하여 건강한 신체와 강인한 의지를 기른다. 건학 이념에 입각하여 가톨릭 정신을...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순지(順之), 호는 학산(鶴山).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進士)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의 후손이고, 이옥(李鈺)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안동김씨, 부인은 밀양박씨이다. 1781년(정조 5)에 태어나 귀와(龜窩) 김굉(金宏)의 문인으로 정...
-
조선 후기 및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순집(舜執), 호는 해산(海山).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장여헌(張旅軒)의 후손으로 오하(梧下) 장석봉(張錫鳳)의 아들이다. 고종 때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직은 영원군수(寧遠郡守)를 지냈으며,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가 있다...
-
박영규를 시조로 하고 박숭의의 후손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시조 박영규(朴英規)는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건국의 대업을 이루기 위하여 견훤(甄萱)의 큰아들인 후백제왕 신검의 세력을 축출(逐出)하는 데 공을 세워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좌승에 제수(除授)되었다. 전답(田畓)을 하사받고, 승주군(昇州君)에 봉해졌다. 그 후 세계가 실전(失傳)되었다...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유림(儒林) 대표 독립운동가. 1851년(철종 2) 10월 24일에 칠곡군 약목면 각산동[현 약목면 각산리]에서 전 형조참판(刑曹參判) 장시표(張時杓)의 아들로 태어나 조선 후기 성리학의 거두 이진상(李震相)에게 사사하였다. 1907년에는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지방보상 회장으로 활약하였으며 1919년 3·1운동 때, 파리강화회의에 보낼 전국 유림들의 독...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농군들이 김매기를 마치고 날짜를 잡아 행하던 민속놀이. 7월 중순 무렵이 되면 농사는 세 벌 논매기를 마치고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다. 이때 그동안 수고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고 한바탕 놀이의 장을 마련하는데, 이것을 호미씻이·머슴날·장원례(壯元禮)라고 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를 꼼비기 먹기·풋구·초연(草宴) 등으로 부르는데, 일꾼들이 모여서 술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각설이타령에서 부르는 노래. ‘숫자풀이’는 각설이타령에서 주된 구조를 담당한다. ‘일’자에서 ‘장’(10)자까지에 이른다. 1~10자까지는 희극적 구조를 지닌다. 각설이 타령에서 후반부의 숫자풀이만을 독립시켜서 부른 노래이다.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있다. 연속체의 형식으로 가창 방식은 독창 형...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숭산 어린이로,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학력],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인성],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창의],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건강]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스스로 배우며 슬기롭게 생각하는 참된 어린이’이다. 1949년 9월 26일에 숭산 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산리에 있는 당나무. 정월 보름에 동제를 모시던 당나무이다. 옆에 무너진 조산이 있다. 상·중·하당 중 하당이었다. 골맥이를 모신 곳이라 하였다. 숭산리에서는 제관을 정월 열흘에 선출하였다. 제관(祭官)은 상당 제관 1명과 중당과 하당을 담당하는 제관 1명을 뽑는다. 제관은 상을 당하지 않고 며느리나 부인이 임신하지 않은 사람이며 가축...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있는 서원 터. 자강서원터는 강릉인 선암(仙庵) 유창(劉敞)[1352~1421]을 배향하던 곳이다. 유창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활동한 문신 관료인데 1416년 옥천 부원군(玉川府院君)에 진봉되었으며, 1421년(세종 3) 궤장(几杖)을 받았다. 문헌이 불비하여 자강 서원의 구체적 건립 사실 등은 알 수 없다....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있는 북삼읍 최초의 장로교회. 1901년에 선산상모교회 정인명 전도사의 전도로 장운환이 최초로 신자가 되어 같은 해 이해기, 조수근, 안명석, 박원실, 김성한, 한복동, 홍년표 등의 남자 신도와 이달선, 김분이, 이달년, 박두리 등의 여신도가 중심이 되어 매주 선산상모교회에 가서 예배를 드리다가 정재봉, 오제세, 유원종, 장교연, 배암이,...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서 재배되는 감나무속 낙엽교목 식물인 단감나무의 열매. 금오산 남쪽 아래 바람 없고 햇살 많은 북삼읍 숭오리에서 재배되는 단감으로 달고 아삭한 맛이 일품이다. 북삼숭오단감작목반, 금오산 친환경단감 작목반 등에서 재배하고 있다. 단감은 영양 가치가 매우 높은 과일 중의 하나로 다른 과일에 비해서 수분은 적은 편이며, 당분은 약 14...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서 제조하는 된장. 숭오된장은 칠곡에서 농민들이 직접 재배한 국산 콩과 금오산 기슭에서 솟아나는 맑은 용천수를 사용하여 만든다. 오랜 경험과 정성으로 전통 옹기에서 장을 익혀 맛이 구수하다. 된장은 예로부터 계승되어 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두 발효식품으로, 곡류 단백질에서 부족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미네랄 및...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에 속하는 법정리. 숭산(崇山) 마을과 오평(烏坪) 마을의 첫 글자를 따서 숭오(崇烏)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북삼면(北三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인근의 숭산, 오평, 금곡, 상강, 하강 및 인평 등을 병합하여 숭오라 하고, 칠곡군 북삼면으로 편입하였다. 북삼면은 2003년 북삼읍으로 승격되었다....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3리 강진마을의 동제. 강진마을에서 모시는 동제로 산신제와 당제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뒷산에 산신당이 있고, 마을 앞에 당나무인 떡 버들나무가 있다. 상당은 금오산 자락의 마을 북쪽 소나무 숲에 산신을 모시는 제단이 있으며, 하당은 골맥이 당으로서 남쪽의 마을 입구에 떡 버드나무로 된 당나무가 있다. 제관은 정월 초엿새나 초이레에...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있는 수령 27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길...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 일대에 있는 절터. 숭오리 숭산마을에서 대각사로 올라가다보면 암자에 못 미쳐 산길 좌측으로 민가 1채가 있고, 민가 뒤쪽으로 완만한 평지를 이루는 곳이 있는데 여기가 숭오리 사지이다. 숭오리 사지는 높이 약 1.5~2m 가량의 석축으로 정비한 평탄지로 지금은 평지 주변으로 여러 곳에 석축의 흔적이 남아있고, 평탄지 곳곳...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있었던 목공예품 생산업체. 숭오목공예는 10년 이상의 나무상자 생산 경력을 갖고 있던 업체이다. 오동나무와 스기목 등을 사용하여 상품의 가치와 유통에 역점을 두어 보다 견고하고 미적 감각을 지닌 나무상자를 생산하였다. 1994년에 칠곡군의 공예산업 정책에 의해 농어촌 특산(特産)단지가 지정되어 육성·발전하게 되었다. 칠곡군은 공...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학명리에 있던 역원. 역원(驛院)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신구 관찰사·감사의 교대 장소나 외국 및 내국 사신의 경유지, 수령을 맞이하는 장소 등 지방 행정의 공식적인 행례나 공무 및 일반 여행자에 대한 편의 제공의 복합적 기능이 수행되었던 곳이다. 『칠곡지(漆谷誌)』에 의하면, 숭유원(崇儒院)은 “부(府)에서 20리 거리에 있는...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관호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수원(水原)인 설강(雪岡) 백수화(白受和)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백수화의 자는 여순(汝順)이고 호는 설강으로 참봉 백계정(白繼程)의 아들로 1552년(명종 7)에 선산(善山)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 지역으로 이거하였다. 지략과 용력이 뛰어나고 충효와 의지가 강하였다. 숭의재는 정...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있는 재실. 본관이 강릉(江陵)인 만송(晩松) 유병헌(劉秉憲)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유병헌는 초야(草野)의 몸이었으나 타고난 성품이 강개하여 일제의 협박과 조국의 망함을 통분히 여겨 ‘내 죽음으로 항쟁하리라’고 붓대를 가다듬어 오적의 매국한 죄를 열거하여 각 시가에 게시하여 은사금을 물리치고 묘적을 반대하고 납세를 거...
-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5년 1월 29일 칠곡군 왜관면 석전동에서 태어났다. 1925년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의 내몽고 지역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 모집에 참여하여 경상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중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19년 파리장서(巴里長書)를 가지고 중국에 가서 활동하던 김창숙은 독립운동의 활로를 열 방안으로, 내몽고(內蒙古) 지역황무지에...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와 성곡리에 걸쳐 있는 산. 둥글다는 뜻의 고어 ‘둠’에서 유래하여 ‘데미’가 되었다고 한다. 해발고도 518.7m의 산으로 숲데미산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선산화강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 산록에는 중생대 쥐라기에 퇴적된 낙동층군에 속하는 낙동층이 분포한다. 정상부에는 암반이 드러나 험준하다. 숲데미산은 칠곡군 석적...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자원봉사 단체인 숲사랑운동의 칠곡군 지회. 남부지방산림청 구미국유림관리소 산하에[10개 시.군 범위] 있는 지역협의회 숲사랑 운동 칠곡군지회는 산림보호를 위한, 산불예방, 희귀식물보호, 건전한 산행문화 등 산림환경 정화활동 및 푸른숲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자원봉사 단체이다. 유일한 탄소 흡수원인 산림을 보전하고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에 대처...
-
경상북도 칠곡 지역의 전통 술. 칠곡 지역의 전통 술 중에 하나로 쌀가루 누룩을 이용해 20일간 발효시킨 술이다. 술을 독에 넣어 땅에 20일간 묻기 때문에 스무주라 한다. 스무주를 만드는 데는 누룩이 필요하다. 누룩은 술을 만드는 효소를 갖는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시킨 것으로 색에 따라 황국균, 흑국균, 홍국균 등이 있다. 흔히 막걸리나 약주에 쓰이는 것은 주...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승언(昇彦), 호는 우곡(愚谷).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이다. 완정 이언영(李彦英)의 5세손이고 이희도(李熙道)의 아들이다. 출계하여 이희집(李熙緝)의 뒤를 이었으며 어머니는 안동권씨, 부인은 진성이씨이다. 1729년(영조 5)에 태어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보리 등겨를 주원료로 하여 담가 먹던 장. 전통 등겨장은 제조 과정 중 전분 및 단백질 등의 분해로 생성되는 당분의 단맛 및 구수한 맛에다 지방의 전통적인 특색에 따른 향신료 등이 조화된 우리나라 고유의 기호식품이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를 ‘딩기장’ 또는 ‘시금장’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보리 등겨를 이용하여 등겨 메주를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겨울철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계절에 따라 행해지는 일반적인 생활 풍속과 의례. 세시풍속은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등으로 불렸으며, 최근에는 연중행사라는 말로도 일컬어진다. 세시풍속의 ‘세(歲)’는 한 해를 의미하고 ‘시(時)’는 사계절을 뜻하므로 세시풍속은 일 년 사계절에 관련된 풍속이다. 다시 말하면 정월부터 섣달까지 일 년 열두 달을 주기로 하여 같...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에 있는 정신건강의학과·가정의학과 전문 의료기관. 정신지체, 우울증, 알콜중독 등의 문제를 갖고 있는 환우들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개방과 산책 등을 활성화하여 건강하고 자율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한다. 1988년 9월 2일에 의료법인 고신의료재단이 사회복지법인을 인가받아 1991년 12월 30일에 사회복지법인 혜화정신요양병원 시설을 허가받...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시보(時甫).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로 원지(元之) 이인부(李仁符)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참봉(參奉) 이심택(李心宅)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 부인은 한양조씨이다. 1582년(선조 15)에 태어나 1606년(선조 39)에...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0월에 날짜를 정하여 산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 묘사는 시사, 시향이라고도 하는데, 조상 숭배와 추수 감사가 합쳐진 의례이다. 보통 음력 10월 초부터 스무날 사이에 날짜를 정하여서 지내는데, 후손들이 모두 모여서 5대조 이상의 조상 산소에 직접 가서 지낸다.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서는 10월 중 역서를 보고 날짜를 택일하여 묘사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교환·거래하는 장소. 시장이란 교환·거래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장소를 뜻하는데, 한국에서는 시장을 장시(場市) 혹은 장(場)으로 불렀다. 오늘날 재래시장 혹은 정기 시장과 비슷한 형태로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시점은 장문(場門)이 발생하여 농산물의 교환·판매가 이루어졌던 조선 시대 제9대 성종(成宗) 초까지 거슬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0월에 날짜를 정하여 산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 묘사는 시사, 시향이라고도 하는데, 조상 숭배와 추수 감사가 합쳐진 의례이다. 보통 음력 10월 초부터 스무날 사이에 날짜를 정하여서 지내는데, 후손들이 모두 모여서 5대조 이상의 조상 산소에 직접 가서 지낸다.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서는 10월 중 역서를 보고 날짜를 택일하여 묘사를...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시준단지’에 햇곡식을 갈아 넣어 모시며 가족의 안녕을 비는 가신(家神) 신앙. 햇곡식이 나면 시준단지(우쭐단지)가 있는 집에서는 이곳에 가장 먼저 깨끗한 나락을 골라서 갈아 넣고 묵은 쌀로 떡을 만들어 식구들이 먹는다. 가을이 되면 성주단지와 삼신할매단지에 제일 먼저 햇곡식을 갈아 넣는다. 가정에 따라서 쌀을 넣기도 하고 나락을 넣기도 한다. 칠곡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시집살이의 고뇌를 소박하면서도 적절한 비유로 그려 낸 노래.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있다. 연속체의 형식으로 가창 방식은 독창 형식에 해당한다. 4음절을 표준 음절수로 하여 4음보 1행이 규칙적으로 지켜지는 노래이다. 그리하여 안정되고 균형 잡힌 호흡을 가지게 한다. 전체 내용은 대화 형식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여자들이 밭을 매면서 부르는 노동요. 칠곡군의 「밭매기 노래」는 ‘시집살이요’에 포함되기도 하고 여성의 ‘작업요’에 포함되기도 한다. 혹은 여성의 ‘노동요’이기도 하다. 노래의 내용은 여성의 노동이나 시집살이를 배경으로 하므로 며느리에 대한 노래이기도 하다. 노래는 며느리가 주인공이고, 주인공인 며느리의 입장에서 불린 노래이며, 며느리의 공...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0월에 날짜를 정하여 산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 묘사는 시사, 시향이라고도 하는데, 조상 숭배와 추수 감사가 합쳐진 의례이다. 보통 음력 10월 초부터 스무날 사이에 날짜를 정하여서 지내는데, 후손들이 모두 모여서 5대조 이상의 조상 산소에 직접 가서 지낸다.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에서는 10월 중 역서를 보고 날짜를 택일하여 묘사를...
-
조선시대 칠곡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字)는 시화(時化)이고 호(號)는 만봉(晩峯)이다. 시조 임온(任溫)의 6세손 임주(任澍)가 고려 충렬왕 때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어사대부(御史大夫)·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을 지냈다. 만포(晩圃) 임성의(任聖義)의 손자이다. 벼슬은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냈는데 시국(時局)이 나날이 그릇되어가는 것을 보고는 벼슬하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