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410
한자 陶窯址
영어의미역 Kiln Sit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약수김일수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서 토기나 도자기를 구워내던 가마의 유적.

[개설]

가마터는 목적과 소성효과(燒成效果)에 따라 많은 종류의 요식(窯式)이 연구되어 왔다. 가마의 경사도(傾斜度)에 따라 평요(平窯)와 등요(登窯)[경사요(傾斜窯)]가 있고, 다시 경사요는 아궁이 이외의 전체가 터널 모양으로 된 지하식(地下式)과 반지하식(半地下式), 지상요(地上窯) 등으로 구분된다. 또 가마굿의 숫자로 분류하면 굿이 하나로 된 단실요(單室窯)와 둘 이상이 이어지는 연방요(連房窯)가 있다. 또한 옛날에는 토기를 가마 속에 넣지 않고 그대로 맨땅 위에 쌓고, 그 위에 많은 장작이나 섶을 덮고 불을 질러 구워내는 방법[노천요(露天窯)]도 사용하였다. 한국 선사시대의 가지무늬토기와 민무늬토기도 이 방법으로 구워낸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 된 도요지로는 기원전 3,000년 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란의 시알크 제3문화기의 가마와 중국 산둥성[山東省] 성자애(城子崖)의 회도요(灰陶窯)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찍부터 도자기가 발달하여 신석기시대의 가지무늬토기가 평안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발견되었고, 함경도에서는 번개무늬[雷文]토기·붉은간토기가 출토되었다. 또 그보다 뒤의 것으로, 경상남도 일대에서 김해식 토기가 발견되고, 평안북도 일대에서는 민무늬토기가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원시적 개방요 대신에 화력을 낼 수 있는 터널식(tunnel式) 등요(登窯)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러 한국의 도자기는 전성시대를 이루어 고려청자라 불리는 도자기가 각처에서 만들어졌다. 그 도요지로 가장 유명한 지역은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북도 부안군 등이다. 이 밖에 대전, 황해도 송화군, 경기도 고양, 평안남도 강서군 등지에도 요지가 있다.

조선시대의 도자기는 청자에서 백자로 변화하여 인화분청(印花粉靑)·감화분청(嵌花粉靑)·백토분청(白土粉靑)·철화분청(鐵火粉靑) 등 다양한 무늬의 도자기가 만들어졌다. 그 도요지로는 경기도 광주(廣州)의 관요(官窯)를 비롯하여 대전의 고요지군(古窯地群), 전라남도의 무안(務安)·장흥(長興) 등의 요지, 경상남도의 진주·언양(彦陽)·양산·김해, 경상북도의 경주·상주·고령·경산 등의 요지가 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에는 2백 여 개소의 요지를 열거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도자기 예술이 매우 높고 뛰어났음을 짐작케 한다.

[칠곡군의 요지]

칠곡군의 도요지는 모두 16기이며, 지금까지 발굴조사가 이뤄진 도요지는 다부리 요지, 득명리 요지, 그리고 학하리 요지 등 3기이다. 1990년 경북대박물관에서 발굴조사된 가산면 다부리 요지, 2001년 대구가톨릭대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된 동명면 득명리 요지, 가산면 학하리 요지는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에 의해 2003~2004년 시굴조사를 거쳐 2007년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외 13곳의 도요지에 대해서는 발굴된 것이 없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없다. 3기 이외의 도요지는 지표조사를 통해서 유적의 성격을 짐작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발굴조사 및 지표조사에서 밝혀진 도요지는 모두 16곳인데, 근대 옹기 가마터 6곳을 제외하고 대부분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자기 가마터이다. 칠곡군 도요지에 대해서 지역별, 시대별, 성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칠곡군 청자 요지·자기 요지·옹기 요지 조사 일람표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