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평상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1601
한자 平常服
영어의미역 Ordinary Dres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시대 조선/조선,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의례가 아닌 일상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전통 복식(服飾).

[개설]

칠곡군에서 성별, 연령별, 용도별, 계절별로 구분하여 일상생활이나 작업을 위해 입던 전통 복식을 가리킨다.

[남성복]

남성의 전통적 복식은 저고리, 바지, 대님, 마고자, 조끼, 두루마기로 구성된다. 저고리와 바지는 계절에 따라 겨울철에는 겹저고리와 겹바지를 입고, 그 외의 계절에는 홑저고리나 홑바지를 입었다. 여름철 홑저고리의 재질은 모시, 안동포, 옥양목이었고, 겨울철 겹저고리의 재질은 주로 명주를 사용하였다. 여름철 홑바지는 주로 무명, 모시, 생모시, 안동포로 만들었고, 겨울철 겹바지는 무명, 명주, 옥양목 등으로 만들었다. 저고리 위에는 조끼를 입고, 그 위에 다시 마고자를 입었다. 조끼와 마고자는 비교적 고급의 천으로 만들고, 단추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외출용 겉옷으로 두루마기를 입었는데, 여름용은 모시, 안동포 그리고 겨울용은 무명과 옥양목으로 만들었다.

남성용 작업복으로는 하절기에 삼베로 만든 고쟁이, 핫바지와 삼베홑적삼과 등걸이가 있었다. 동절기에는 누빈 바지에 솜저고리를 주로 입었다. 비나 눈이 올 때에는 삿갓이나 도롱이 등의 우장을 사용하였다. 남자 아이들에게도 저고리와 바지를 입혔다. 그런데 서민층에서는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에 어린이들에게 바지를 입히지 않고 저고리만 입혔다. 겨울에는 솜을 넣어 누빈 저고리를 입혔다.

[여성복]

여성의 전통적 복식은 저고리, 치마, 속곳, 버선 등이 있다. 저고리는 남성복과 마찬가지로 겨울철의 겹저고리와 계절용으로 홑저고리가 있다. 겨울용 겹저고리는 솜을 넣어 만들기도 했다. 치마는 풀치마와 통치마를 주로 입었다. 통치마는 외출용으로 평상시에는 잘 입지 않았으며, 여름용으로는 모시나 안동포로 만들었다. 여성용 하의의 내복에 해당하는 속곳은 단속곳과 속속곳이 있다. 속곳은 속치마를 사용하게 되면서 사라졌다. 버선은 남녀용 구분이 없으며, 옥양목, 광목 등의 백색 천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여성의 작업복에서 대표적인 것은 무명으로 만든 앞치마가 있다. 여성들의 경우 별도의 작업복을 장만하기 보다는 일상복이 곧 작업복인 경우가 많았다. 작업복은 주로 삼베나 광목을 조각조각 꿰매어 만들었다. 처녀들의 저고리는 연두색 치마에 분홍저고리 혹은 분홍치마에 노랑저고리를 주로 입었다. 그러나 서민층에서는 일상복이 작업복으로 대용되었기 때문에 물감을 들인 옷을 입는 경우는 드물었다.

칠곡군에서 전통 복식은 대부분 민가에서 직접 재료를 구해 바느질을 통해 만들었다.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재봉틀이 보급되었는데, 그 전에는 바느질은 여성이 습득해야 할 필수적인 기술의 하나였다. 바느질에 필요한 바늘, 실, 바느질 상자, 실패, 바늘쌈, 가위, 골무 등은 여성의 주요 혼수품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