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301696 |
---|---|
영어의미역 | Playing Yut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경상북도 칠곡군 |
집필자 | 권삼문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윷을 던져서 나오는 숫자에 따라 말을 진행시켜 승부를 겨루는 놀이.
4개의 윷을 던져 나온 수만큼 윷판에 있는 말을 움직여 자기편의 말이 상대편의 말보다 먼저 돌아 나오면 이기는 놀이이다.
말은 4개를 사용하며, 말판[윷판]은 원형 또는 방형이다. 윷놀이는 방이나 마당 어디서든 할 수 있다. 밤윷은 종지에 넣어 손바닥으로 덮고 흔들어 던진다. 장작윷은 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마당에서 놀 때는 멍석을 펴고 가운데 줄을 친다. 멍석 밖으로 윷짝(가락)이 하나라도 나가면 실격이 되고, 줄을 넘어가지 못해도 실격이 되어 윷말을 쓸 수 없게 된다.
1대 1, 또는 편을 갈라서 4개의 말이 먼저 나는 쪽이 이긴다. 4개의 윷을 번갈아 던져서 나오는 숫자인 ‘도’, ‘개’, ‘걸’, ‘윷’, ‘모’에 따라서 도는 한 칸, 개는 두 칸, 걸은 세 칸, 윷은 네 칸 모는 다섯 칸을 전진한다. 도는 하나의 윷이 배를 드러내고, 세 개의 윷은 등을 보일 경우이다. 개는 두개의 윷이 배를 드러내고 두개의 윷은 등을 보이는 경우이다. 걸은 세 개의 윷이 배를 드러내고 한 개의 윷이 등을 보이는 경우이다. 윷은 네 개의 윷 모두 배를 드러내는 경우이다. 모는 네 개의 윷 모두 등을 보이는 경우이다.
번갈아가면서 윷을 던져서 나오는 숫자만큼 자신의 말을 전진하는데, 상대편의 말이 자기 말이 도착하는 곳에 있으면 잡아낸다. 상대의 말을 잡은 경우 윷을 한 번 더 던질 기회를 가지게 된다. 윷이나 도가 나와도 한 번 더 던질 기회를 가지게 된다. 4개의 말이 말판을 먼저 돌아 나오면 이기게 된다. 상대편의 말을 잡을 수 있는 의외성 때문에 말의 운용을 위한 작전이 필요하기도 하다.
칠곡군에서도 정초나 정월대보름 날이 되면 윷놀이 대회가 곳곳에서 열린다. 최근 2009년 정월대보름 날에도 군내 많은 곳에서 마을별로 윷놀이 대회가 열렸으며 왜관읍 매원 2리에서는 풍년기원제를 지낸 후 오후에 매원 1·2리 사람들이 모두 모여 윷놀이를 즐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