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법성사 전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1811
한자 法聖寺傳說
영어의미역 Legend of Beopseongsa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조은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미혈담(米穴淡)
주요 등장인물 공양주|빈대
관련지명 법성동|법사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공양주의 욕심으로 쌀이 나오던 구멍에서 빈대가 나와 결국 절이 폐사하게 됨.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에 전해오는 법성사와 관련된 이야기.

[개설]

‘쌀바위’ 설화, ‘미혈(米穴)’ 설화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이야기이다. 욕심을 너무 부리면 끝내 자연물에 의해 파괴된다는 우리 조상들의 소박한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채록/수집상황]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를 법성동 또는 법사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3층석탑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옛날에는 법성사라는 큰 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절이 없어지게 된 연유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하여 오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삼사백년 전에 없어진 법성사는 신라 말기에 창건되었다. 법성사는 크게 번창하여 일대가 하나의 절을 형성하고 있었다. 절이 번창하게 된 것은 법당의 천정에서 매 끼니 때마다 절에 있는 사람의 수에 꼭 맞는 쌀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었다.

어느 날 밥 짓는 공양주가 한꺼번에 더 많은 쌀이 나오도록 막대기로 쌀이 나오는 구멍을 깊게 쑤시자, 그 곳에서 피[血]가 쏟아져 나와 온 사찰을 덮은 후 빈대로 변해버렸다. 그 후 법성사는 빈대가 들끓게 되어 결국 폐사가 되었다. 현재 법성사 터에는 논 사이에 3층석탑(보물 제510호)이 외로이 서 있으며, 지금도 빈대가 많이 나와 전설을 뒷받침하여 주고 있다. 또한 탑 옆에는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깊은 샘이 있어서 옛날 법성사가 크게 번창하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모티프 분석]

이야기의 모티프는 욕심 많은 공양주 때문에 쌀이 나오는 구멍에서 더 이상 쌀이 나오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그러한 욕심 때문에 절까지 폐사하고 만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