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382
한자 兵馬虞候
영어음역 Byeongmauhu
영어의미역 Assistant Commander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관직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강민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1466년연표보기
시행연도/일시 1466년

[정의]

충청북도 청주의 상당산성에 주재하였던 종3품의 무관.

[개설]

병마절도사를 보좌하고 상당산성에 주재하면서 산성의 운영을 관리, 책임졌던 무관직이다.

[제정경위]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의 제도가 정립되면서 그 막료로서 도진무(都鎭撫)가 임명되었는데, 이것이 1466년(세조 12)에 병마우후(兵馬虞候)로 개칭되었다.

[변천]

1651년(효종 2) 충청남도 서산의 해미(海美)에 있던 병영(兵營)을 청주로 옮기자, 청주읍성 내에는 정3품 목사와 함께 종2품의 병사가 함께 기거하게 되었다. 병사는 읍성뿐만 아니라 배후의 피난 성으로서 상당산성도 함께 관리, 운영하게 되었는데 이곳에 병마우후를 두어 진무하게 하였다.

1654년에는 옥천(沃川)에 있던 중영(中營)도 옮겨와 읍성 남문 앞에 주둔케 하니 중영의 영장(營將)도 병사의 직접적인 관할하에 두었다. 이로써 청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좌도의 군사(軍事)는 병사-영장, 병마우후의 체제를 이루게 되었다. 이들 직책의 재임은 1728년 무신란(戊申亂) 당시, 병마절도사 이봉상(李鳳祥)[1676~1728], 영장 남연년(南延年), 병마우후 박종원(朴宗元), 목사 박당(朴鏜)의 재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지휘병력 상황]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병마우후 휘하의 병력으로, 재가군관(在家軍官) 30인, 내병방군관(內兵房軍官) 2인, 수첩군관(守堞軍官) 250인, 내병방군관 2인, 장무군관(掌務軍官) 2인, 집사(執事) 2인, 군기감관(軍器監官) 2인, 배리(陪吏) 2인, 지인(知印) 16인, 사령(使令) 19인, 군뢰(軍牢) 20인, 사천겸역급창(私賤兼役及唱) 2인, 방자(房子) 1인, 급수비(汲水婢) 2인, 다모비(茶母婢) 1인을 관할하였다.

반면, 1840년대에 편찬된 『청주읍지(淸州邑誌)』에는 재가군관 33인, 수첩군관 138인, 군뢰 20인, 군뢰보(軍牢保) 20인, 각청자모(各廳自募) 38인, 신선별장(新選別將) 2인, 파총(把摠) 3인, 초관(哨官) 5인, 기패관 20인, 마병(馬兵) 103인, 마병보 103인, 보군(步軍) 500명으로 달리 기록되어 있다.

[역대 우후]

또한, 『청주읍지(淸州邑誌)』의 말미에는 역대 우후의 명단이 보이는데, 이한상(李漢相), 박창징(朴昌徵), 전시원(田始元), 서행도(徐行道), 홍서일(洪敍一), 이중익(李重翊), 정도징(鄭道徵), 이액(李搤), 이희태(李凞泰), 유용징(柳龍徵), 이수구(李壽龜), 민경흥(閔鍞興), 김양의(金養義), 정덕봉(鄭德鳳), 송의석(宋義錫), 홍유원(洪有原), 신기명(申箕命), 정숭(鄭崇), 조명주(趙命周), 정익신(鄭翊臣), 정연(鄭延), 신태희(申泰羲), 임적준(任啇俊) 등이다.

[활동사항]

병마우후는 각 도의 병마절도사를 보좌하는 종3품의 외관직 무관으로 병마우후로 약칭되거나 아장(亞將)이라 불리기도 한다. 병영에서 병마절도사 다음의 제2인자로서 병사 유고시에 도내의 군사 전반을 다루고, 이외에도 수시로 관할 군현을 순행하면서 군사 조치와 지방군 훈련, 그리고 군기(軍器)의 정비 등을 살피고, 병사의 명령 전달과 군량, 군자의 관리를 담당하였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3.03.12 [역대 우후] 내용 일부 수정 오: 신태의(申泰義) 정: 신태희(申泰羲)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청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석의 한자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2013.03.12
관** 디지털청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내용 중 "신태의"는 [청주읍지]를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만, 올려주신 내용에 대한 확인 후 수정 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7.31
박** 병마우후 신태의는 신태희가 맞는 것 같습니다.
비석의 한자의 판독이 필요하오며 제가 찍은 사진 (블로그 : 청암의 뜨락)은
의 의자가 아니라 베풀 희자로 판단되오니 확인 바람니다.
2012.07.2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