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300557 |
---|---|
한자 | 李景運 |
영어음역 | Yi Gyeongun |
이칭/별칭 | 운거(雲擧),성와(省窩)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칠곡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헌규 |
성격 | 유생 |
---|---|
출신지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상지] |
성별 | 남 |
생년 | 1756년![]() |
몰년 | 미상 |
본관 | 광주 |
대표관직 | 유학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운거(雲擧), 호는 성와(省窩).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동급(李東汲)이다. 어머니는 밀양박씨, 부인은 안동권씨이다.
1756년(영조 32)에 태어났으며, 선천적으로 타고난 맵시가 도(道)에 가까워 우러러 칭찬하고 따르는 덕망이 선비 사이에서 있었다. 정조 때 시험에 응하여 시강전에 들어갔다. 왕이 돌아보고 마음을 쏟으며 상을 내림으로서 융성하였다. 1792년(정조 16)에 영남 선비들이 비궁(閟宮) 의거(義擧)로 벼슬을 얻자 상소를 품고 대궐 뜰에 들어가 소를 제기하였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녹봉 남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