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821
한자 日帝强占期
영어의미역 Japanese Colonial Period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김일수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1910년 8월 29일 대한 제국이 일본에 강제 병합되어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일제의 지배 아래 있었던 식민지 시기.

[식민지화 과정]

개항 이래 조선은 근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면서 외세의 침탈을 막는데 힘을 쏟았다. 그러나 1904년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의 한반도 침략이 가시화되면서 1905년 11월 일제에 의한 을사늑약(乙巳勒約) 체결로 통감부가 설치되자 한국은 실질적인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갔다. 고종은 을사늑약이 무효임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1907년 6월 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를 파견했으나 그 뜻을 달성하지 못했다.

1907년 7월 18일 일제는 특사 파견의 책임을 추궁하며 고종 대신 순종을 황제로 즉위케 하고, 7월 24일 한일 신협약[정미칠조약]을 체결해 차관 정치를 실시하였다. 7월 31일에는 드디어 대한 제국의 군대를 해산시키고, 사법권과 한국 중앙은행을 장악하였다. 을사늑약 이후 형식적으로만 남아 있던 대한 제국은 1910년 8월 일제에 강제 병합되어 완전한 식민지가 되었다.

[식민지 특징]

일제의 강제 병합으로 통감부가 총독부로 바뀌었다. 총독은 일본 천황에 직속되어 총리대신을 거쳐 천황에 상주(上奏)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으며, 위임된 범위 내에서 육해군(陸海軍)의 통솔권과 제반 정무에 대한 통할권 등을 갖고 있었다. 조선 총독에게는 제령(制令)이라고 하는 입법권이 주어졌다. 조선 총독에는 육군이나 해군의 대장만이 임명되게 했다. 따라서 조선 총독은 식민지 지배의 최고 권력자였다. 조선 총독부는 총무·내무·탁지·농상공의 행정 부처와 사법부를 두고, 지방은 도(道)·부(府)·군(郡)·면(面)의 행정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고 경제 침탈 기구로서 철도국·통신국·세관·임시 토지 조사국 등의 기구를 두었다.

조선 총독부는 대한 제국 때의 황족이나 친일 고관을 우대하고 또 식민지 통치에 조선 사람도 참여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기 위해 조선 귀족령을 만들어 조선 귀족을 형성하는가 하면, 총독의 자문 기구로 중추원(中樞院)을 두었다. 일제로부터 조선 귀족 칭호를 받은 자들은 은사금(恩賜金)을 받고 ‘합방’을 성사시키고, 온갖 영화를 누리면서 중추원의 고문이나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일제는 ‘조선의 일본화’라는 동화주의 원칙에 의거하여 우리 민족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제국주의 수탈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런 원칙은 조선 통치의 최고 방침에서 제시되었는데, 이 방침의 핵심은 ‘조선 통치의 근본 방침은 내선일체(內鮮一體)화이고, 궁극적 목표는 조선의 시코쿠·규슈화이다’라는 철저한 동화주의 정책이었다.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은 1911년에 발포된 조선 교육령에서 그대로 드러나는데, ‘충량한 국민을 육성하는 것을 본의로 한다’는 것이었다.

조선 교육령은 이후 세 차례 개정되었다. 제1차 조선 교육령은 일본어 보급을 통한 충량한 신민의 양성과 노동력 착취를 위한 실업학교에 초점을 두었다. 제2차 조선 교육령은 문화 통치의 일환으로 일본 학제(學制)와 동일하게 개편하여 일본식 교육을 강화하였다. 제3차 조선 교육령 및 제4차 조선 교육령은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황국 신민화에 의한 전시 동원 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식민지 지배 정책]

1. 1910년대

일제는 1910년대에 헌병 경찰 제도를 통해 무단 통치를 실시하였다. 헌병 경찰 제도는 병합 이전 ‘합방’을 준비하면서 시작되었는데, ‘합방’이 되면서 일본군의 조선 주둔 헌병 사령관이 경무총감이 되고 각도의 일본군 헌병 대장이 경찰부장을 겸임했다. 헌병 경찰은 치안뿐 아니라 사법·행정에도 관여할 수 있는 광범한 권한을 부여받았다. 곧 범죄의 즉결 처분과 민사 쟁송의 조정 등 통치 행정 전반을 직간접적으로 관장했다.

일제는 헌병 경찰 제도를 통한 무단 통치를 실시하면서, 일제의 조선 지배에 저항하는 의병 운동과 계몽 운동에 대해 탄압을 가했다. 의병 운동을 탄압하면서 식민지 지배의 기초를 잡아갔고, 계몽 운동에 대해선 주로 언론 활동과 민족 교육 활동에 대해 철저한 탄압을 가했다.

일제는 1910년 9월~1918년 12월까지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근대법적인 소유권과 토지 제도의 확립을 표방하였으나 실제로는 한국 지배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토지 조사 결과 마련된 등기 제도는 개항 이래 자행된 일본인 지주·자본가들의 토지 소유를 법인화시켜, 일본 자본의 자유로운 농업·토지 투자를 보장해 줌에 따라 일본인의 토지 소유와 경작지 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일제는 한국인 자본의 발전을 억제하고 한국을 식량·원료 공급지 기지 및 상품 판매지로 수탈할 목적으로 1910년 12월에 회사령을 공포하였다. 이에 따라 회사 설립 원칙을 허가주의로 채택했지만, 일본인이 출원한 회사 설립은 거의 다 허가해 준 반면 한국인 기업의 설립·경영에는 엄격한 규제를 가했다.

2. 1920년대

강압적인 무단 통치 아래에서도 3·1 운동과 같은 전 민족적인 항쟁이 일어나자 일제는 문화 정책으로 전환하여 겉으로는 유화 정책을 표방하면서도 실제로는 민족 운동 진영을 분열시키고 약화시키는 민족 분열 정책을 펼쳤다. 이때 헌병 경찰 제도는 폐지하고 보통 경찰 제도를 채택하였다. 그렇지만 1910년대에 비해 경찰관서와 인력 그리고 예산은 오히려 크게 증가하였다. 또 1925년에 치안 유지법(治安維持法)을 만들어 고양되어 가는 민족 운동을 탄압하면서, 결사의 자유를 완전히 박탈했다.

문화 통치의 본질은 민족 분열 정책에 있었다. 일제는 ‘문화 창달’과 ‘민력 충실’이라는 표어 아래 강력한 지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각계각층에서 친일파를 육성하여 민족 내부의 대립을 조장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경찰 지배 구조의 조직화와 자치론·참정권·청원론 등 정치·선전 공세를 강화하여 민족 항일 역량을 분산시키고 제압하려 하였다.

토지 조사 사업이 완료되자 일제는 지주제를 매개로 농업 생산을 증가시키는 산미 증식 계획을 추진하였다. 계획에는 식량을 확보하여 저임금·저미가(低米價) 정책을 유지하면서 조선의 지주 계급을 일제 통치의 협력자로 육성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조선의 영세 자작농과 자소작농이 몰락하면서 소작농이 크게 증가하면 반면, 일제 자본과 연결된 대지주는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3. 1930년대 이후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지배 정책은 문화 통치에서 파시즘 통치로 전환되어 갔다. 이 시기는 일본 내 다이쇼[大正] 데모크라시가 끝나던 때였고, 세계 공황의 영향을 돌파하기 위해 대륙 침략을 본격화하던 시기였다. 식민지 조선은 일본 본국보다 더욱 심한 전시 체제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군사력과 경찰력이 크게 증강됨과 동시에 사상 통제도 강화되었다. 또한 전시 체제를 강조하면서 국민 생활 전반을 철저히 통제하고 동원하는 방식을 강화하였다.

1931년 일제의 만주 침략 이후 침략 전쟁이 1938년 중일 전쟁으로 확대되면서, 일제는 조선에 대해 내선일체(內鮮一體)를 강조하여 조선 민족성을 말살하기 위한 황국 신민화 정책을 본격화했다. 구체적으로 조선어 교육을 폐지하고 일본어 교육을 강제하면서 일본어를 국어(國語)라 부르게 하였다. 전통적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창씨개명 정책과 일본 신사 참배를 강요하였다.

만주 침략 이후 일제는 전쟁 인력이 부족해지자 조선인을 징집하기 위한 구상을 검토한 뒤 중일 전쟁 이후 육군 특별 지원병령을 통해 조선인 청년을 지원병 형태로 전쟁에 동원하였다. 태평양전쟁 말기에는 징병제를 실시해 20만 명이 징집되었고, 학도 지원병 제도가 강행되어 조선인 청년 학생들이 침략 전쟁에 동원되었다. 또한 각종 형태의 전쟁 노동력으로도 강제 동원되었다.

일제는 농업 공황에 따른 농촌 경제의 몰락이 가속화되고, 점증하는 소작쟁의와 적색 농민 조합 운동 등 식민지 지배 체제를 위협하는 제 요소를 농촌 진흥 운동과 공업화 정책을 통해 적절하게 처리하면서 조선을 침략 전쟁의 전진 기지로 만들 것을 획책하였다.

농촌 진흥 운동은 지주·소작 관계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지주와 농민을 직접 장악하고 농촌 진흥·농촌 갱생(更生)의 농본주의 이념을 토대로 농촌 사회 내부의 계급적 대립을 완화시켜, 궁극적으로 국가 독점 자본의 농업 수탈을 강화하는 정책이었다. 또한 일제는 조선의 풍부한 노동력과 일본의 신흥 자본의 결합을 통해 지하 자원과 전력이 풍부한 조선의 북부 지역을 공업 지역으로 전환시켜 일만(日滿) 경제 블록을 완수하고 중국 침략을 위한 병참 기지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식민지 민족 해방 운동]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이래 1910년대 민족 운동은 국외의 독립군 기지 건설 운동이 중요한 전략적 문제로 제기되었는데, 운동은 민족 역량 강화와 무장 독립군 양성을 목표로 하였다. 국내에서는 1909년 일제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인해 의병 운동이 진압당한 뒤 비밀 결사 형태를 갖춘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1910년대 독립운동의 흐름과 민족 독립에 대한 잠재된 역량은 거족적인 3·1 운동을 통해 폭발하였다. 3·1 운동은 서울에서 시작되어 대중화와 비폭력을 내세웠으나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일제의 수탈·지배 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폭력 운동 양상이 나타났다. 민족 운동선상에서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이었던 3·1 운동의 결과 국내에서는 일제의 폭압적 무단 통치가 종식되었다. 운동 이념선상에서는 복벽주의(復辟主義)가 청산되고 민주 공화제 이념이 전면적으로 부각되어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될 수 있었다. 또한 민족 운동의 지도 이념이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로 분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1920년대 이후 3·1 운동 경험을 바탕으로 노동·농민·청년·여성 등 대중 운동이 폭발적으로 일어나 대중의 사회 진출이 크게 신장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물산 장려 운동과 같은 실력 양성 운동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전반기 민족 운동이 이념과 노선에 따라 다양한 분화를 겪는 가운데 민족 운동 진영의 통일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면서 민족 단일당으로 신간회(新幹會)가 1927년에 결성되었다.

1930년대 이후 세계 대공황의 여파와 일제의 파시즘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조선의 민족 운동은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이라는 흐름과 공산당 재건 운동, 적색 노동자·농민 운동이 전개되었다.

국외에서는 민족 연합 전선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항일 무장 투쟁이 강화되어 갔다. 이러한 국내외의 항일 민족 운동 세력은 태평양전쟁 말기 일제의 패망을 예견하여 민족 독립에 대한 준비와 독립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방략을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제 강점기의 칠곡]

1895년 지방 행정 제도 개편에 따라 23부제가 실시될 때 칠곡 도호부는 칠곡군, 인동 도호부는 인동군으로 하고 대구부에 편입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경상북도 칠곡군과 인동군이 되었다. 1911년 5월 당시 왜관에 왜관 주재소(駐在所)가 설치되었는데 왜관이 군청 소재지가 된 후 칠곡 경찰서로 승격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폐합 때 칠곡군과 인동군이 통합되어 칠곡군이 되고, 통합 칠곡군청이 칠곡면[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에서 왜관면으로 옮겨졌다. 왜관면(倭館面)·북삼면(北三面)·석적면(石積面)·지천면(枝川面)·동명면(東明面)·가산면(架山面)·약목면(若木面)·칠곡면(漆谷面)·인동면(仁同面)의 9개 면 99동리를 관할하였다.

일제 강점기 칠곡의 주요 산업은 농업을 중심으로 축산, 잠업, 면작(綿作)[목화 농사] 등이었다. 칠곡의 주요 교통은 도로와 철도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도로의 노선은 서울-부산선, 성주-군위선, 천안-대구선, 왜관-인동선이 이용되고 있었고, 철도는 경부선이 관통하고 있으면서 지천역·신동역(新洞驛)·왜관역·약목역 등 4개 역이 운영되었다. 1930년 무렵 칠곡의 금융 기관은 경상 합동 은행 왜관 지점, 왜관 금융 창고 주식회사 겸 왜관 금융 조합 등이 있었다.

1930년 무렵 칠곡의 교육 기관은 왜관 공립 심상 고등 소학교 1개교, 왜관 공립 보통학교 2개교, 공립 보통학교로 왜관 공립 보통학교·칠곡 공립 보통학교·신동 공립 보통학교·동명 공립 보통학교·약목 공립 보통학교·인동 공립 보통학교·북삼 공립 보통학교 7개교, 칠곡 공립 심상소학교·약목 공립 심상소학교 등 2개교, 인동 공립 보통학교 부설 옥계 간이 학교와 신동 공립 보통 학교 부설 용산 간이 학교 등 2개교, 왜관에 사립 동창 학교가 운영되었다.

일제 강점기 칠곡의 독립운동은 한일 병합을 기점으로 병합 이전에는 크게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으로 전개되었고, 병합 이후에는 국내외 무장 투쟁, 3·1 운동, 노동·농민·학생 운동 등 대중 운동, 문화 운동, 독립운동 자금 운동과 임시 정부 활동 등이 전개되었다. 칠곡군의 독립운동은 한말 일제의 침략에 맞서면서 시작되어 척사위정(斥邪衛正) 계의 상소·투서 항쟁과 격서(檄書) 항쟁이 일어났다. 식민지 시기에는 전 민족적 항일 운동인 3·1 운동이 칠곡군의 전역에 걸쳐 일어났고, 칠곡군 유림계에서는 일제의 한국 침략의 불법성을 알리는 파리 장서 사건에 깊게 관여하였다.

3·1 운동 이후 일제의 통치 방식이 무단 정치에서 문화 정치로 바뀌었고, 독립운동선상에서 독립운동의 새로운 이념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유입되었으며, 노동·농민·학생 운동 등 대중 운동이 크게 확산되었다. 또 문화 운동과 독립운동 자금 운동 및 임시 정부 활동 등이 전개되었다. 또한 민족 협동 전선의 형태로 신간회 칠곡 지회(新幹會漆谷支會)가 설립되어 칠곡군 독립운동의 지도 기관이 되었다.

1930년대 이후 칠곡에서는 왜관 청년 동지회 사건, 보손 진흥회(甫遜振興會) 등을 통해 민족 차별 반대, 대중들의 경제 옹호 활동 등이 전개되었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칠곡에서는 왜관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계열이 주도하는 농민 운동이 일어났으며, 적색 농민 조합 운동이 그것이다. 이 비밀 결사 운동은 1930년대 중후반 대표적 농민 조합 운동의 하나였다.

1939년 7월 근로 보국대라는 이름으로 왜관 지역의 경부선 철도 복선화 공사에 동원된 대구 사범 학교 학생들이 일본인보다 많은 작업량이 배당된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이른바 왜관 사건(倭館事件)을 일으켰다. 그 뒤 대구 사범 학교 학생들은 문예부·연구회·다혁당 등 비밀 결사를 만들어 민족의식 고취 및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