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300863 |
---|---|
한자 | 養竹堂 |
영어의미역 | Yangjukdang House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김찬영 |
성격 | 재사 |
---|---|
양식 | 목조가구식 |
건립시기/일시 | 일제강점기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1칸 반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3리
![]() |
소유자 | 벽진이씨 문중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재실.
양죽당은 본관이 벽진(碧珍)인 이우석(李愚碩)의 남다른 효행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사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동북쪽에 소쿠리 모양의 산으로 둘러싸인 양골마을 안쪽에 위치한다. 마을은 임진왜란 때 북실에 피난 와 있던 벽진이씨들이 더 안전한 곳을 선택하여 옮겨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곳에 거북이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일명 구암리라고도 불린다.
마을 뒤편의 골안 산록 경사지에 터를 닦고 재사와 대문간채 2동을 ‘ㄱ’자형으로 배치하고 돌담으로 대지 일곽을 쌓아 돌렸다. 지대가 낮은 전면에 높직한 자연석 기단을 구축하고 그 위 자연석 초석을 놓은 뒤 두리기둥과 네모기둥을 세워 창호와 심벽으로 벽체를 구축했다. 평면 구성은 대청을 중심으로 우측에 온돌방 1칸, 좌측으로 온돌방 2칸을 배열하고 전면 전체로는 툇마루를 둔 일반적인 구성이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에 일식 기와를 이었다.
칠곡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평면과 구조를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