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301679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경상북도 칠곡군 |
집필자 | 권삼문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정초에 대문이나 방문 앞에 엄나무를 걸어 잡스런 기운의 침입을 막는 풍속.
가시나무인 엄나무 가지를 구해 대문 앞이나 방문에 걸어두면 귀신이 들어오지 못한다고 하여 걸어둔다. 이는 귀신이 들어오다가 가시가 목에 걸려 더 이상 들어오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엄나무를 거는 대신 집안에 엄나무를 심는 경우도 있다.
정초 또는 1월 16일은 ‘귀신날’이라고 하여 엄나무를 건다. 이날 귀신이 집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대문 앞에 ‘왕겨불’을 피워두고 신발을 방안에 들여놓고 잠을 잔다. 각 가정에서는 대문이나 방문, 혹은 천장에 엄나무나 탱자나무 등 가시나무를 달아맨다.
칠곡군 동명면 남원 2리 남창마을에서는 연중 엄나무 가지를 구해와 대문 앞이나 방문 앞에 걸어둔다. 또한 북삼읍 율 1리 안배미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16일은 귀신이 돌아다니는 ‘귀신날’이라 하여 이 날 귀신이 들어오지 못하게 대문 앞에 불을 피워두고 신발을 방안으로 들여놓고 잠을 잔다. 또 집에 따라서 대문이나 방문, 천장에 엄나무나 탱자나무 등 가시가 있는 나무를 달아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