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509
한자 李元禎
영어음역 Yi Wonjeong
이칭/별칭 사징(士徵),귀암(歸巖)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박헌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이암]
성별
생년 1622년연표보기
몰년 1680년연표보기
본관 광주
대표관직 숭정대부 이조판서

[정의]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사징(士徵), 호는 귀암(歸巖).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부응교(副應敎) 이도장(李道長)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 부인은 벽진이씨이다.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선비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1648년(인조 26)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52년(효종 3)에 문과에 아원(亞元)으로 급제하니 31세였다. 검열(檢閱), 교리(校理)를 거처 1660년(현종 1)에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동래부사가 되었고, 재임 중 선치(善治)로 말(馬) 한필을 하사받기도 했다. 1673년(현종 14) 도승지에 오르고, 1677년(숙종 3)에 대사간·형조판서를 지냈다. 1678년(숙종 4)에 영남에 대동법(大同法)을 시행할 때 오로지 그 일을 맡아서 늦추고 팽팽하게 함을 조절하니 백성들이 대동법을 지키면서 덕(德)을 기렸다. 1680년(숙종 6) 이조판서 때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유배되었다가 장살(杖殺) 당하였다. 신도비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동산재에 있으며 번암 채재공(蔡濟恭)이 비문을 지었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이암(耳巖)에 살았다.

[저술 및 작품]

『귀암집(歸巖集)』 6권, 『경산지(慶山誌)』 2권, 『완부결송록(完府決訟錄)』 1권 등이 있다.

[묘소]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신광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죽은 뒤 영의정(領議政)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신도비가 있으며 번암 채재공(蔡濟恭)이 비문을 지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