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부모를 극진히 잘 섬긴 아들. 효자는 ‘효성스러운 아들과 딸(孝子, 孝女)’을 일컬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제도 하에서 나타난 것인데, 부모와 아들의 관계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우선시 하는 근원적인 것으로 효자는 부모가 살아서는 물론 죽은 후에도 정성껏 모시는 일 등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충효 사상을 중시하여 나...
-
조선 전기 칠곡의 효자. 본관은 함양(咸陽). 호는 동천(東川). 고려 때 예부상서를 지낸 박선(朴善)을 1세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는 함양박씨로서 성주군 선남면 오도종마을에서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로 입향한 송천(松泉) 박철산(朴鐵山)의 후손으로 개성부윤 박원택(朴元擇)이 아들이다. 가문은 당상관의 현관무장(顯官武將)을 배출한 명문이었으나 대대로 청빈하여 가세가 곤궁하였다....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문욱(文郁), 호는 성와(惺窩). 사육신(死六臣)인 충정공(忠正公)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으로 박충후(朴忠後)의 손자인 직장(直長) 박숭의(朴崇義)의 후손이 영조 때 달성군 하빈면 묘동에서 칠곡군 지천면 덕산리 이언(伊彦)으로 이거하여 번창한 인맥을 이어오고 있다. 아버지는 박취휘(朴就徽)이다. 1683년에 태어나 천성...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쌍우재(雙于齋). 배운룡(裵雲龍)을 시조(始祖)로 하고 배균(裵均)를 상중조(上中祖)하는 달성배씨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를 지냈으며, 대구에서 칠곡으로 이거(移居)한 배경인(裵褧仁)의 후손으로 청정공(淸靖公) 배을서(裵乙瑞)의 후손이다. 부모가 누구인지는 알 수가 없다. 1622년(광해군 14...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치강(致强), 호는 농우(農寓). 시조(始祖)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역임하면서 공이 있어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져 달성[현재 대구광역시]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아 그곳에 세거하게 되었다. 그런 연유로 후손들이 본관을 달성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칠곡군 기산면 노석...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기보(紀甫), 호는 존순재(存順齋). 시조 맹영(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諫議大夫) 총부의랑(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고,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손자이며 송광택(宋光宅)의 차자이다. 어머니는 신창표씨,...
-
조선 말기 칠곡의 효자.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전(聖傳).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에 봉하여져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이다. 직장공파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후손으로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 북구]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후손이며 존순재(存順齋) 송...
-
경상북도 칠곡 출신의 효자. 이국상(李國相)은 법성동(法聖洞)[지금의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출신의 상민(常民)으로, 천성이 효성스러워 지극 정성으로 어버이를 섬겼다. 이국상의 효성이 임금에게 알려져 세금과 부역이 면제되고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후세에 지극한 효행으로 추앙을 받았다....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어려서 아버지 상(喪)을 당하여 3년 동안 시묘(侍墓)살이 하였다. 어머니를 봉양하는데 가정 형편이 아무리 곤궁하여도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다. 나르는 꿩이 품안에 떨어지니 시골 마을에서 효성의 감응(感應)이라 하였다. 새로운 음식이 있으면 조상에게 올리지 않으면 먹지 않았다. 본래 배운 것도 없으면서 효성이 지극하니 이것은 진실로 천성(天性)에서 얻은...
-
조선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규응(奎應), 호는 만산(晩山). 벽진장군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칠곡 약목으로 옮겨 살던 첫째 집은 17세 절충장군(折衝将軍) 이말정(李末丁)[1422~1474] 대에 칠곡군(漆谷郡) 월오[현 왜관읍 왜관리]로 이거하였으며, 장자인 대사성 이철균(李鉄均)의 호(號)를 따서 동네 이름을 월오(月烏)라 하였다. 또...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碧珍). 고려개국원훈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進士)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이다.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의 증손이고 현감 이해준(李海準)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다.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여 부모님이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일어나고 취침 뒤에 물러 나왔으며, 항상 의...
-
조선 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자성(子聖), 호는 매국헌(梅菊軒). 간재(澗齋) 이성량(李成樑)의 후손이다. 천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다. 집이 가난하였으나 어버이를 봉양함에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중병을 얻게 되어 생명을 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자 손가락을 끊어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시킴으로 수명을 5년이나 늘렸다. 그 후 부자(父子)가 함께 돌림...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천(仁川). 호는 용호(龍湖). 간재(澗齋) 이성량(李成樑)의 후손이고 이희성(李希聖)의 동생이다. 천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다. 집이 가난하였으나 부모를 섬김에 능히 효성스러워 형인 이희성과 비견되었다. 어머니가 중병을 얻게 되어 생명을 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자 손가락을 끊어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되어 수명을 5년이나 늘렸다. 그 후 부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오(敬五), 호는 긍재(兢齋).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진사 장원표(張源杓)의 아들이다. 조모가 등창을 앓고 어머니가 병을 얻자 환부(患部)를 빨아서 낫게 하였다. 아버지가 중풍으로 투병하는 11년 동안 치료를 위해서 수레에 모시고...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자 형제.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자장(子長). 송은(松隱) 장안세(張安世)의 후손으로 통찬(通贊) 장맹저(張孟儲)의 아들이다. 동생 장신손(張信孫)은 자는 사립(斯立), 호는 죽창(竹窓)이고 1507년(중종 2)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성종 때 어모장군(禦侮將軍) 충순위(忠順衛) 장적손(張嫡孫)은 부모상을 당해 동생 장신손(張信孫)과 함께...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자건(子建)이다. 칠곡 입향조는 행정(杏亭) 정여강(鄭汝康)의 둘째 아들 양졸재(養拙齋) 정수(鄭錘)이다. 동래정씨는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와 오산리, 동명면 학명리에 집성세거하였다. 정희량은 정수의 손자이고 낙은(洛隱) 정천유(鄭天濡)의 아들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봉양함에 어김이 없었다. 어머니가 중병을...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종규(鍾奎). 강열공(剛烈公) 차운혁(車云革)의 후손이다.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부모를 섬김에 있어 정성과 힘을 다하고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다. 품팔이를 하면서도 부지런하고 검소하여 달고 맛있는 음식이 끊어지지 않게 하였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슬퍼하고 몸을 아끼지 아니하였으며, 3년이나 물고기와 고기를 먹지 않았다. 아...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의숙(擬叔)이다. 청주인(淸州人) 한방도(韓方道)의 후손이며, 무장(武將)으로 칠곡군 왜관읍 금산리[야디기]에서 살았다. 효성과 우애는 천성적으로 타고났다. 어버이를 섬김에 그 뜻을 받들었으며 병환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드시게 했다. 부모상을 당함에 6년 동안 시묘살이 했다. 관직은 강릉감찰(江陵監察)을 지냈다. 효행이...
효부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효부. 본관을 김해(金海)로 하는 참봉 김응서(金應瑞)의 딸이고, 밀양박씨 박정호(朴定浩)의 아내이다. 효부 김해김씨는 박정호의 처로서 남의 삯바느질과 길쌈을 해주고 받은 품삯으로 시아버지와 남편을 섬기고 아래로는 자식을 키우면서 연명해 나갔다. 당시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등으로 세상이 어지럽고 생활이 어려움에도 시아버지에게만은 밥과 고기반찬으로 극진히 봉...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효부. 본관은 의성(義城)이고 현감(縣監) 김치당(金致唐)의 딸이다. 본관이 벽진(碧珍)인 절충장군(折衝將軍)과 문행효우(文行孝友)로 추증받은 이말정(李末丁)의 아내이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장례식을 치르는 데 예의를 다하였다. 장례식을 마치자 가정의 사당에 아침·저녁으로 음식을 올렸고, 초하루와 보름에는 묘지를 찾아 제사를 지냈다. 또 시부모의 묘가 같은...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부. 안동(安東)을 본관으로 하는 주부(主簿) 권사성(權思性)의 딸이다. 본관이 벽진(碧珍)인 승지(承旨) 이언영(李彦英)의 아내이다. 타고난 성품이 효성스럽고 우애로웠으며 마음씨가 남보다 뛰어났다. 부모와 형제에게 성실하고 극진하였고 마음먹은 생각이 툭 터져 작은 일에 구애되어 다투는 모습이 없었다. 남편을 섬김에 순하게 받들었으며 친족과 화목...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부. 본관이 벽진(碧珍)인 승지(承旨) 이언영(李彦英)의 딸이다. 본관을 광주(廣州)로 하는 판서(判書) 이원정(李元禎)의 아내이다. 생활상의 예법과 제도가 있는 가문에서 성장하였고 또한 예법과 제도가 있는 가문에 시집갔는데 지극한 덕(德)과 순수하고 후한 행실로 친척들의 칭송을 받았다. 남편이 세상을 떠남에 이르러 예(禮)로서 장례식을 마쳤는데 슬퍼함이...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효부. 본관이 인천(仁川)인 생원(生員) 채응린(蔡應麟)의 딸이다. 본관이 광주(廣州)인 참의(參議) 이윤우(李潤雨)의 아내이다. 타고난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고 또한 사물의 이치가 같고 다름을 가릴 줄 알았다. 시부모를 받드는데 간절한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였다. 임진왜란을 당하여 피난을 가는 가운데서도 반드시 몸소 학식과 덕행이 높은 사람의 옷을 지어 입...
열녀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조선시대에 정절을 지킨 여자. 정절녀 혹은 열녀는 위급함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거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한 부녀자를 말한다. 열녀는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나 있는 법이다. 그러나 신분을 막론하고 과부가 되면 마땅히 수절을 하여야 하고 위기를 당하면 목숨을 바쳐 정조를 지키는 것이 부녀자의 도리로서 정착된 것은 조선시대에...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이 광주(廣州)인 도사(都事) 이심옥(李心玉)의 딸인데, 본관이 현풍(玄風)인 곽재기(郭再祺)의 아내이다. 의령(宜寧)에 곽재기에게 출가하였다가 임진왜란을 피해 친정인 칠곡군 지천면 신리 상지(上枝)에 와 있었다. 왜병이 쳐들어오자 어머니인 현풍곽씨(玄風郭氏)와 함께 산으로 피난을 갔다가 어머니가 참혹한 죽음을 당하자 원수에 대한 증오심...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을 광주(廣州)로 하는 판관(判官) 이심일(李心一)의 첩(妾)이다. 칠곡군 지천면 신리 상지(上枝)에 살았다.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만나 물에 몸을 던졌으나 물이 얕아 죽지 않자, 차고 있던 은장도(銀粧刀)를 뽑아 스스로 목을 찔러 세상을 떠났다. 열행(烈行)이 나라에 알려져 왕명으로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였다....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을 창녕(昌寧)으로 하는 박구홍(朴九泓)의 딸이고 본관이 밀양(密陽)인 박지운의 아내이다. 나이 18세에 결혼식 전 폐백을 받고 난 후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와서 머리 숙여 곡(哭)을 하는 처신은 남과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한 모금의 물도 마시지 아니하고 눈을 감은 지 10여일에 시아버지가 쌀죽을 권하며 타이르니 부인이 말하기를 “남...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열녀 성산이씨는 고려시대에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을 역임하고 야성군(冶城君)에 봉해진 맹영(孟英)의 14세손으로 첨정(僉正)을 역임한 만호(萬戶) 송발(宋潑)의 아내이다.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송발은 벼슬에 있어 오지 못하고 이씨 부인과 식구들만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로 피난 와서 살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 왜병이 짐승처럼 덤벼들...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병자호란 때 남편이 전장(戰場)에서 세상을 떠나자 부모가 일찍이 과부가 되는 것이 민망하여 절개를 지키지 못하도록 하였으나, 칼로 머리카락을 끊어 죽어도 절개를 지킬 것을 맹세하고 수절하였다. 『국역 칠곡지』에 해당 내용이 전한다. 관청에서 옥지의 절개를 가상히 여겨 쌀과 고기를 내리고 포상하였다....
-
조선시대 칠곡 지역 출신의 열녀. 본관이 귀산(龜山)인 박승희(朴升禧)의 딸 박씨는 본관이 문화(文化)인 유재옥(柳在沃)의 아내이다. 타고난 성품이 순박하고 자애로웠으며 집안에 법도가 있었다.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겼고 남편 대접하기를 공손히 하였다. 남편의 병이 심해지자 하늘에 자신의 몸으로 대신하기를 빌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슬피 울고 통곡하다가 따라서 세상을 떠났다. 『국...
-
고려 후기 칠곡 출신의 열녀. 좌윤(左尹) 배중선(裵仲善)의 딸이고, 사족(士族) 이동교(李東郊)의 아내이다. 1380년(우왕 6)에 왜적이 집안을 괴롭히자 배씨는 젖먹이 아기를 안고 달아났는데 적이 뒤쫓아 왔다. 배씨가 달아나 공암진(孔巖津)에 이르렀으나 벗어날 수 없음을 알고 젖먹이 아이를 언덕 위에 두고 강 속에 들어가면서, 적에게 욕을 하며 굽히지 않다가 세상을 떠났다. 칠...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이 현풍(玄風)인 곽헌(郭走+憲)의 딸이다. 본관을 광주(廣州)로 하는 도사(都事) 이심옥(李心玉)의 아내로 칠곡군 지천면 신리 상지에 살았다. 부인은 평소 몸가짐이 엄정하여 친척과 시중드는 종들도 얼굴을 보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임진왜란 때 뒷산으로 피신했다가 왜적들에게 붙잡히게 되었다. 왜병이 칼을 뽑아 위협하였으나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엎드려...
-
조선 중기 칠곡 지역의 열녀. 시조(始祖) 시중공(侍中公) 조맹(趙孟)의 후손으로 고향은 풍양이고 이일로(李逸老)의 고향은 강양(江陽)이다. 지평(持平)에 증직된 이일로의 아내이다. 병자호란 때 남편을 따라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이일영(李逸英)의 부인 박씨와 이일로의 부인 풍양조씨(豊壤趙氏)는 “남편이 나라를 위하여 죽었으니 우리도 남편을 위하여 따라 죽어 더러운 곤욕을 당하지 말고...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시조(始祖)의 고향은 고령(高靈)이고 주부(主簿) 박추광(朴推光)의 딸이다. 시조의 고향이 강양(江陽)이고 지평(持平)에 증직된 이일영(李逸英)의 아내이다. 병자호란 때 남편을 따라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이일영의 부인 고령박씨와 이일로(逸老)의 부인 풍양조씨는 “남편이 나라를 위하여 죽었으니 우리도 남편을 위하여 따라 죽어 더러운 곤욕을 당하지 말고 마...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시조(始祖)의 고향이 덕산(德山)인 이영진(李榮珍)의 딸이다. 시조의 고향이 인천(仁川)인 이재엽(李載燁)의 아내이다. 시집가서 얼마 되지 않아 불행히도 남편이 병을 얻어 정성을 다하여 치료하느라 잠시도 게으르지 아니하였다. 병이 악화되자 손가락을 끊어 피를 마시게 하였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끝내 일어나지 못하였다. 자신의 복이 없고 사나운 팔자를...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선비 이희춘(李熙春)의 아내이다. 남편이 물에 빠져 세상을 떠났는데 이 날 부인 이씨는 아이를 낳았다. 7일 뒤에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를 듣고 서럽게 통곡하고는 장차 남편을 따라 죽을 것을 마음속으로 다짐하였다. 스스로 말하기를 “이 몸이 만약 없다면 이 아이 또한 죽을 것이다. 차마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여 남편의 가계를 이을 자식을 끊을...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을 평산(平山)으로 하는 사과(司果) 신상곤(申相坤)의 딸이고, 본관이 인동(仁同)인 장병덕(張炳悳)의 아내이다. 시집 온 지 5개월 만에 시어머니가 돌아가자 남편이 너무나 애통해 하다가 남편 또한 죽게 되었다. 남편이 죽을 때에 평산신씨가 입으로 애통한 소리를 내지 아니하고 입관 준비를 할 때 죽은 남편의 수의(壽衣)를 자기 손으로 만들었고, 입...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이 벽진(碧珍)인 일휴정 이영세(李榮世)의 손녀이다. 본관이 인동(仁同)인 장압(張岋)의 현손부(玄孫婦)이고 장흥망(張興望)의 아내이다. 남편이 죽자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다. 조선 영조 때 여자로서 어려운 경우를 당하여도 뜻을 굳혀 정절을 지키는 행위가 임금에게 알려져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였다. 지금은 정문이 없어졌다. 관련 기록이...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본관이 정선(旌善)인 전석귀의 아내이다. 시어머니가 병으로 고생한 지 10여년이었으나 부부가 지성으로 봉양하였는데 의원(醫院)이 말하기를 “다른 약은 없고 다만 산삼이 가장 좋습니다” 라고 하였다. 부부가 몸을 깨끗하게 하고 기도한 지 몇 달 만에 꿈에 신령이 가리켜 인도함이 있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도덕산(道德山)에서...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열녀. 본관이 전주(全州)인 청휘당(淸暉堂) 이승(李承)의 딸이고, 본관이 동래(東萊)인 양졸재(養拙齋) 정수(鄭錘)의 아내이다. 부유한 집에서 성장하여 부유한 집으로 시집갔으나 화려함을 일삼지 아니하고 힘든 일을 피하지 아니하였다. 임진왜란 때 시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예(禮)를 다하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날 즈음에는 아들을 가르침에 있어 법도가 있었다. 항상...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충노(忠奴). 열부 곽씨의 종이었다. 임진왜란 시기 수남은 상전을 따라 산중으로 왜적을 피하였는데, 주인(主人)이 적에게 죽고 다만 8살 난 아이만 살아서 남아 있었다. 수남은 쌓인 시체 가운데서 주인집 식구들의 시신을 찾아 장사지냈는데, 양반 가운데 악한 사람이 어린 상전을 해치려 하자 수남이 업고 멀리 피하여 안전하게 보호하였다. 이로써 주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