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992
한자 碧珍李氏
영어의미역 ByeokJin Yi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지천면|동명면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헌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월오]
집성촌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월오]|석전리|지천면 신리|동명면
입향시기/연도 조선 전기/1400년 경
성씨시조 이총언(李忩言)
입향시조 이말정(李末丁)

[정의]

이총언을 시조로 하고 이말정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연원]

시조(始祖) 이총언(李忩言)은 신라 헌안왕(憲安王) 시기 벽진 태수(碧珍太守)로 있을 때 용맹을 떨쳤으며, 고려 태조를 도와 삼중대광개국공신으로 벽진대장군에 봉해졌다. 아들 이영(李永)은 태조(太祖)의 부마(駙馬)로 대제학(大提學)이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벽진(碧珍)으로 하고 세계를 계승(繼承)하고 있다.

[입향 경위]

이총언(李忩言)의 후손들은 벽진 수촌에 6세까지 세거하다가 7세 이방화(李芳華)대에 성주 명곡(椧谷. 홈실)에 이거(移居)하였는데, 11세 산화선생(山花先生) 이견간(李堅幹)의 현손(玄孫) 5형제 대(代)에 큰 수해가 나서 동네가 폐허가 되어 5형제(산화5파)중 큰집과 셋째 집은 칠곡으로, 둘째 집은 선산으로, 넷째 집은 창녕으로, 다섯째 집은 밀양으로 각각 옮겨 살게 되었다.

칠곡 약목으로 옮겨 살던 첫째 집은 17세 절충장군(折衝将軍) 이말정(李末丁)[1422~1474] 대에 칠곡군(漆谷郡) 월오(月烏)로 이거하였으며, 그의 장자인 대사성 이철균(李鉄均)의 호(号)를 따서 동네 이름을 월오(月烏)[달오]라 하였다. 또한 선산으로 이주한 둘째 집은 18세 이예원(李禮源)대에 칠곡군의 동명(東明)으로 입향하여 그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으며, 약목에 살던 셋째집은 18세 진사(進士) 이인손(李麟孫)대에 석전에 입향하여 터를 잡고 여러 대를 살았다. 이리하여 칠곡군 일원에는 왜관읍 석전, 달오[월오], 지천면 웃갓[신동] 동명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고 있다.

[현황]

인구 주택 총조사 「성씨 및 본관 보고서」에 의하면 2000년 380여 가구 1,230여 명이 칠곡군 관내에 살고 있다. 칠곡군은 성주 벽진과 가까운 관계로 벽진 이씨들이 여러 읍·면에 자리하여 집성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근래에 와서도 집성촌을 중심으로 벽진이씨들이 많이 분포되어 살고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이언영(李彦英)이 1621년(광해 13)에 벼슬에서 물러나 강론(講論)하던 곳인 완석정, 이언영의 유허비인 완정 이선생 유허비, 모암(慕巖) 이충민(李忠民)의 추모지소인 모암재,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서리이언영의 아들인 이경진(李景鎭)의 추모지소인 경모재,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후석(后石) 이주후(李周厚)가 살던 집인 경수당, 창주(昌洲) 이창진(李昌鎭)의 우모지소(寓慕之所)인 오도재, 학하(鶴下) 이승만(李承萬)의 얼을 기리고 있는 학하정 등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초당(草堂) 이여두(李汝杜)가 살던 고초당, 임제(臨齊) 이기일(李基一)을 추모하기 위해 사림에서 건립한 귀암정, 모훤재, 송강(松岡) 이예원(李禮源)의 추모지소인 송강재, 양죽(養竹) 이우석(李愚碩)이 살던 양죽당, 일옹(逸翁) 이춘발(李春發)의 재실인 일옹재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