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301650 |
---|---|
한자 | 松山里-洞祭 |
영어의미역 | Communal Village Ritual for the Songsan-ri Otbatgol Village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권삼문 |
성격 | 동제 |
---|---|
의례시기/일시 | 음력 1월 14~15일 |
의례장소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3리 옻밭골
![]() |
신당/신체 | 당나무 |
‘천왕제’라고도 부른다.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동제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예전에는 ‘대를 받아서’ 제관을 정했으나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송산 3리 옻밭골마을의 교회에서 200m 정도 떨어진 북쪽 뒷산 구릉에 위치하며, 상당(上堂)과 하당(下堂) 두 곳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당은 ‘동신(洞神)’, 하당은 ‘당산(堂山)’이라고 부르며, 참나무와 소나무,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금줄이 둘러쳐져 있다.
정월 초 3일에 제관(祭官) 1명과 축관(祝官) 1명을 선임한다. ‘백운산 천황기(白雲山 天皇旗)’라 쓴 깃발을 앞세우고 풍물을 치면서 “천황, 천황 내리소”하며 외쳐 천황이 내린 후 천황기가 좌정하는 집이 제관과 축관이 된다.
제관과 축관은 10일에 집 앞에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친 후, 목욕재계하고 근신하며, 출입을 삼간다. 마을 주민들은 14일 황토를 뿌리고 그물을 치고 재계한다. 제수는 쇠고기, 실과, 건어, 백설기, 조기, 청어 등이며, 제기는 새 것으로 장만한다. 예전에는 백정이 소를 타고 가서 제단 앞에서 소를 잡았다고 한다.
제사는 유교식으로 진행되며, 2명의 제관이 밤, 대추 등의 과실, 소고기 탕, 막걸리를 준비하여 제물을 차리고 절한 후 소지를 올린다. 제물은 날것을 쓴다. 소지는 당신제 후에 올리는데, 제관, 축관, 군복무자와 각 집의 호주 이름을 부르며 올린다.
송산리 옻밭골 동제의 축문은 다음과 같다.
1. 동신축(洞神祝)
“維歲次某年正月某朔十五日辰 幼學 某 敢昭告于
伏惟 洞神之靈 歲歲上元 至誠所禱 人人所願 家家登豊
村人生活 全賴洞神 官災口說 退送千里 鷄犬育丑(六畜)
無疾無□ 謹具至誠 庶差淸酌 尙 饗”
2. 당산축(堂山祝)
“維歲次某年正月某朔十五日辰 幼學 某 敢昭告于
伏惟 堂山之靈 堅守洞口 年年上元 咸致誠□ 一村生度
終是安樂 家家所豊 人人露積 鷄犬育丑 牛馬旺盛 □魔妖物
驅逐洞外 伏惟尊靈 庶賜來臨 尙 饗”
이튿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음복을 한 뒤, 신장을 모시고 집집마다 지신을 밟고 놀다가 다시 신목으로 모셔다 놓고 신장기(천황기)를 정히 모셔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