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도로나 교량이 발달하지 못했던 때 강물을 이용하여 나룻배를 부리던 곳. 칠곡군 8개 읍면 중 5개 읍면 중앙을 관통하여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강이 낙동강이다. 이런 지리적 특성에 따라 오랜 옛날부터 칠곡 지역에는 강 건너 마을을 이어 주는 나루가 여러 곳에 설치되었다. 나룻배는 사람이나 짐을 싣고 강을 건너다니는 역할을 하였고, 낙동강...
-
경상북도 칠곡군 각산리에서 재배되는 나리속에 속하는 식물. 칠곡군의 백합 재배는 1997년 엄군섭이 처음으로 미생물 농법을 백합 재배에 도입하여, 참외가 재배되던 각산리에 백합농장을 설립하고 재배를 시작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현재 칠곡군의 백합 재배는 전재학·백재기·이용기 등이 주축이 되어 농사를 짓고 있다. 수확한 백합은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되며, 일부 국...
-
경상북도 칠곡군 각산리에서 재배되는 나리속에 속하는 식물. 칠곡군의 백합 재배는 1997년 엄군섭이 처음으로 미생물 농법을 백합 재배에 도입하여, 참외가 재배되던 각산리에 백합농장을 설립하고 재배를 시작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현재 칠곡군의 백합 재배는 전재학·백재기·이용기 등이 주축이 되어 농사를 짓고 있다. 수확한 백합은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되며, 일부 국...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농군들이 김매기를 마치고 날짜를 잡아 행하던 민속놀이. 7월 중순 무렵이 되면 농사는 세 벌 논매기를 마치고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다. 이때 그동안 수고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고 한바탕 놀이의 장을 마련하는데, 이것을 호미씻이·머슴날·장원례(壯元禮)라고 한다. 칠곡 지역에서는 이를 꼼비기 먹기·풋구·초연(草宴) 등으로 부르는데, 일꾼들이 모여서 술과...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에 전해오는 호랑이 동티와 관련된 이야기.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가 채록하여 1994년 발행한 『금오산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에 수록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겪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였지만, 호랑이에 대한 영험함도 강조한 이야기이다. 지금으로부터 35년 전쯤 화자(話者)의 시동생이 문다지골에 나무를 하러 갔다. 한참 나무를 하다가 보...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있는 고개. 기산면 봉산리 가시막골에서 무림리로 넘어가는 아름다운 노을을 볼 수 있는 고개이다. 약 200년 전 봉산리로 정착해온 선비가 서낭당 고개에서 낙동강에 비치는 아침노을을 바라보고 너무 좋아서 '조조산하채(朝朝散霞彩) 막막등추색(幕幕燈秋色)'이란 구절로 경탄한 나머지 서낭당 고개를 노을티 또는 하현(霞峴)이라 했는데 이...
-
경상북도 칠곡군의 문학 단체인 낙동 문학회에서 1년에 한 번 발행하는 순수 문예지. 칠곡군 문학 단체 중 낙동 문학회는 원래 칠곡군 새마을문고 내에서 칠곡군 새마을문고 협력단체로 발족하여 문학 동인을 이루었으며 칠곡군 새마을문고에서 발행하던 『진리를 찾아서』라는 문예지가 낙동 문학회 창립 후 『낙동문학』으로 책의 명칭이 바뀌었고 칠곡군 새마을문고의 협력 문집으...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학 단체. 낙동 문학회는 1996년부터 칠곡군 새마을 문고 회원들이 독후감 모음집 『진리를 찾아서』를 4집까지 발간하여 오던 중 문학에 관심이 많은 회원들이 1999년 문학 단체를 결성하고 이름을 낙동 문학회로 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칠곡군 새마을 문고와 협력 단체 관계를 통해 향토 문학 단체로의 발전을 목...
-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칠곡군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경상도를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상주의 옛 지명인 상락(上洛) 또는 낙양(洛陽)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과 가락국(駕洛國)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이 있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 화전동의 함백산(咸白山)[1,573m]...
-
경상북도 칠곡군의 낙동강사(洛東江史)와 관련된 김용호(金容浩)의 장시(長詩). 1930년대 일제 수탈과 철도 부설 등 식민지정책으로 인해서 민족의 젖줄인 낙동강이 일제의 강으로 변해갈 때 견디다 못한 민중들이 고향을 떠나는 현실을 비탄에 젖은 마음으로 노래한 김용호 시인의 「낙동강」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낙동강의 수운사(水運史)가 칠곡 지역의 향토사와 불...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낙동강 둔치에서 평화와 자유를 상징하는 평화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열린 행사. 칠곡군은 끊임없는 외침 속에서 평화를 지켜왔던 호국의 고장이다. 신라 시대의 백포성(栢浦城)과 조선시대의 가산산성(架山山城)에 유비무환을 갖추었던 역사의 흔적이 이 지역에 남아 있으며, 6·25전쟁 당시의 치열한 격전 속에 반격의 공훈을 세...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낙동강 둔치에서 평화와 자유를 상징하는 평화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열린 행사. 칠곡군은 끊임없는 외침 속에서 평화를 지켜왔던 호국의 고장이다. 신라 시대의 백포성(栢浦城)과 조선시대의 가산산성(架山山城)에 유비무환을 갖추었던 역사의 흔적이 이 지역에 남아 있으며, 6·25전쟁 당시의 치열한 격전 속에 반격의 공훈을 세...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서 낙동강을 건너 약목면 관호리에 연결되는 인도교. 낙동강 본류를 건너는 첫 번째의 철골 구조 교량이므로 낙동강 대교(洛東江大橋)라고 하였다. 경부선의 복선화에 즈음하여 인근에 새로운 왜관 철교가 가설됨에 따라 구 철교(舊鐵橋)는 1941년 이후 도로 교량 또는 인도교(人道橋)로 바뀌었다. 6·25전쟁 때 북한 인민군의 남하를 막...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지혜와 사랑으로 꿈을 가꾸어 가는 행복한 학교를 교육 중점으로 하고 지혜로운 학생[자주인],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꿈과 멋이 있는 학생[문화인], 사랑이 있는 학생[세계인] 교육을 통하여 학생, 교직원, 학부모 모두가 행복한 배움터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학교 경영과 앞서가는 학교를 위해 노력한다. 교훈은...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낙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분묘군. 낙산리 분묘군은 낙산리 안가라골 안쪽 낙산지의 북쪽 능선 해발 130~160m에 분포하며, 유적은 해발 296m의 한티재 봉우리에서 서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가다 세 번째 봉우리에서 남쪽으로 뻗은 가지능선의 중하단에 해당한다. 또 다른 낙산리 분묘군은 낙산리 ‘안가라골’ 마을에서 동쪽의 급한 능선을 타고...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에 있는 유물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이로 보아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무산과 그 앞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이름을 따서 낙산(洛山)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인 가실(佳實) 마을은 큰 호수가 있고 그 주위에 갈대가 많아 노곡(蘆谷) 또는 노호(蘆湖)로도 불렀다. 배태 마을은 낙동강 변에 위치한 마을로 일대에 소(沼)가 있고, 나룻배를 부리던 곳인 나루터가 있어 배터로도 불렀다. 또한 강안(江岸...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찰사 이유(李愉)를 배향하던 낙산 서원(樂山書院)의 이름을 따서 낙산(樂山)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 칠곡군 이언면(伊彦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이곡, 추동을 병합하여 낙산이라 하고 칠곡군 지천면(枝川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낙산리[지천면]는 명봉산(明峰山)[401.7m] 아래 연호천(...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낙산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 1993년 3월 11일에 단독주택, 창고를 시멘트 블록 구조 기와로 증축하였고, 2005년 5월 3일에 우사와 방, 헛간을 철거하였다. 2005년 5월 21일 창고를 경량 철골 구조 패널로 증축하였다. 대한불교 조계종으로 주지는 허용[법명: 혜각]이다. 승려 1명, 신도수 50명 규모의 현대 사찰이다. 건축 면적은 17...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 천주교회. 1895년 초대 본당 신부는 파리외방선교회의 빠이아스 가밀로(C. Pailhasse)[한국명 하경조] 신부이다. 가밀로 신부는 한국에 입국, 칠곡군 지천면 신나무골 근처에 천주교회를 세울 장소를 물색하던 중 낙동강 수로를 이용해서 쉽게 대구, 안동, 부산 방면으로 오고 갈수 있는 장소인 왜관읍 낙산리...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경준(景準), 호는 낙성(洛醒). 고려 명종 때 덕풍호장을 지낸 이존술(李存述)을 시조로 하는 덕산이씨의 후손으로 중시조 이유(李愉)의 후손들이 숙종 때 역모(逆謀) 가문이란 누명을 벗고 증 예조참의로 추서되기까지 성(姓)을 숨기고 살았다. 팔공산 자락의 큰 산줄기만 맴돌며 가장 깊숙한 산골짝만 골라 왜관읍 봉계리, 지천면...
-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칠곡군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경상도를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상주의 옛 지명인 상락(上洛) 또는 낙양(洛陽)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과 가락국(駕洛國)의 동쪽을 지나는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說)이 있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 화전동의 함백산(咸白山)[1,573m]...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남기(南紀), 호는 낙애(洛涯).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귀암(歸巖) 이원정(李元禎)이며 어머니는 벽진이씨, 부인은 전주이씨이다. 1651년(효종 2)에 태어나 1666년(현종 7)에 생원시에 합격...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서당. 조선 중기의 문신인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1568~1639]이 연못에 노을이 비친다는 뜻으로 당호를 정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이언영은 승정원 승지를 거쳐 청주(淸州), 선산(善山)의 부사를 역임하였다 칠곡 왜관읍 낙동강교에서 다리를 건너지 않고 굴다리를 지나 석적 방향으로 약 150m 가다보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요신(堯臣), 호는 낙와(樂窩). 육부촌장 지백호(智伯虎)의 후예로 안일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나 세계(世系)가 확실하지 못하여 정지원(鄭之遠)을 1세로 하고 정절공파 18세 정여강(鄭汝康)의 아들 양졸재 정수(鄭錘)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동래정씨로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와 오산리, 동명면 학명리에...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이능(爾能), 호는 낙저(洛渚).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로,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의 증손이고, 덕봉(德峯) 이해발(李海潑)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풍양조씨이고 부인은 안동권씨이다. 1662년(현종 3)에 태어나서 1687년(숙종 13)에 생원시...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태시(泰始), 호는 낙촌(洛村).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인데 출계(出系)하여 주부(主簿) 이영우(李榮雨)의 후사(後嗣)가 되었다. 어머니는 인천채씨, 부인은 안동김씨이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정자. 석전리 귀바위마을에는 미군부대 담장 옆에 이암동산이 있다. 이암동산 안에는 소암재(紹巖齋), 낙촌정(洛村亭), 경암재(景巖齋) 3동의 누정 및 재사 건물이 ‘ㄷ’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낙촌정은 광주이씨 낙촌(落村) 이도장(李道長)을 추모하기 위하여 1913년에 후손들이 건립했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원필(元弼), 호는 낙포(洛浦). 권호례(權好禮)가 사헌부 지평으로 재임 시 을사사화(1545)가 일어나 선산 관심(觀心)으로 은거한 후, 그의 후손이 칠곡에 들어왔다. 권종낙은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에 거처를 정한 권호례(權好禮)의 후손으로 가선(嘉善) 권병재(權秉載)의 손자이다. 고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서 음력 4월 초파일 밤에 강변에서 하는 불꽃놀이. 4월 초파일 저녁에 동네에서 낙화를 만들어서 물 위에 달아 놓는다. 낙화가 떨어지면서 물에 비치는 모습이 장관이다. 낙화는 물가에 세워두는데 어른들이 한다. 물가에 낙화를 세워두면 위로 불꽃이 터지며 모습이 물에 비쳐서 보기가 좋다. 칠곡군 왜관읍 매원 2리에서는 4월 초파일 밤...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위치한 암벽. 낙화암(落花巖)은 지천면 신리의 ‘웃갓’ 마을에 있는 사양서원(泗陽書院)의 남쪽에 위치한 암석으로 형성된 산의 북쪽 절벽을 말한다. 낙화암[138.4m]이 있는 바위산은 전체적으로 형태가 바리때[鉢]처럼 생겼다고 하여 예전에는 발암산(鉢岩山)으로 불렸다. 임진왜란 때 마을 여인들이 이곳으로 피해 있다가 왜병들에...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 발암산에 있는 바위 절벽이 낙화암으로 불리게 된 이야기. 칠곡군지편찬위원회가 채록하여 1994년에 발행한 『칠곡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낙화암과 관련된 이야기는 대부분이 적에게 대항하기 힘든 여성들이 목숨을 끊은 것과 관련이 되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 발암산에는 낙화암이라는 바위 절벽이 있다. 속칭 ‘바리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활동하는 문학 동아리. 칠곡 공공 도서관에서 실시하는 문화 교실에서 책을 좋아하며 시와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동아리이다. 난설 문학회는 조선 중기의 천재 여류 시인인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문학성을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그의 호를 따서 난설 독서회라 이름 지었고, 2012년 난설 문학회로 개칭하였다. 도서관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만천(豆滿川)의 남쪽에 위치하여 남계(南溪)라고 불렀다. 조선 시대에는 인동군 약목면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탑동, 두만, 원동, 중여, 내복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남계라 하고, 칠곡군 약목면(若木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남계리는 서진산(棲鎭山)[742.4m]과 비룡산(飛龍山)[5...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에 있는 신라시대 고분군. 약목면 남계10길 190[남계리 723번지]에 분포하는 고분군은 복성리 고분군에서 남계리 두만마을로 들어가다 보면 두만골의 북쪽에 동쪽으로 뻗은 해발 200m 정도의 얕은 구릉이 오른쪽에 형성되어 있는 곳에 입지하고 있다. 남계리 산 3번지에 분포하는 고분군은 앞의 고분군과는 동으로 많이 떨어져 있다. 남...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 580번지에 1기의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다. 지표상에서 확인된 형태로 고인돌의 형상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뚜껑식 고인돌 형식으로 파악된다. 고인돌은 복성리 신유장군 유적지에서 남쪽으로 약 300m 떨어진 논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고인돌의 덮개돌은 3.5m, 폭 2...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 일대에 있는 절터. 칠곡군 약목면 남계10길 115[남계리 산 29-1] 일대인 두만이마을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절터로 두 개의 절이 있었던 자리가 남아 있다. 남계리 두만이마을 서편에는 2곳에 절터가 전한다. 남계리 사지①은 두만이마을에서 서쪽 계곡으로 난 산길을 따라 2㎞ 가량 올라가면 얕은 경사지를 만나게 되는데,...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 580번지에 1기의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다. 지표상에서 확인된 형태로 고인돌의 형상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뚜껑식 고인돌 형식으로 파악된다. 고인돌은 복성리 신유장군 유적지에서 남쪽으로 약 300m 떨어진 논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고인돌의 덮개돌은 3.5m, 폭 2...
-
조선 말기 칠곡군수를 지낸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언론인. 남궁억(南宮檍)[1863~1939]은 1884년 영어학교인 동문학(同文學)에서 영문학을 수료하고, 1889년 궁내부별군직(宮內府別軍職), 1893년 칠곡군수(漆谷郡守), 1894년 내부토목국장(內部土木局長)을 역임하였다. 1896년 독립협회에 참여하고 1898년 황성신문을 창간하여 사장으로 취임하여 국민계몽과 독립...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는 남기(南紀), 호는 낙애(洛涯). 고려 때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 이집(李集)을 중흥시조로 하고, 승사랑(承仕郞)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귀암(歸巖) 이원정(李元禎)이며 어머니는 벽진이씨, 부인은 전주이씨이다. 1651년(효종 2)에 태어나 1666년(현종 7)에 생원시에 합격...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과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걸쳐 있는 산. 태양 속에 산다는 세 발 달린 황금빛 까마귀[金烏]가 저녁노을 속에 금빛 날개를 펼치며 비상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해발고도 976.6m의 금오산은 선캄브리아기의 화강암질 편마암을 뚫고 분출한 중생대 백악기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안산암과 유문암으로 구성된 금오산 화산암류는 침식에...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남창(南倉)과 상원(上元)의 첫 글자를 따서 남원(南元)이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칠곡군 하북면(下北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남창, 하원, 양지의 일부를 병합하여 남원이라 하고 동명면(東明面)에 편입하여 오늘에 이른다. 남원리와 인접한 가산(架山)[901.6m]의...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글씨. 남원리 각석문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가산산성 내성 안에 있는 가산바위의 윗면과 배병철 선덕청덕비가 있는 곳에서 북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과수원 끝 쪽에 있는 바위 면 두 군데에 있다. 앞의 각석문은 하나의 바위 위에 두 개의 글씨를 새겼는데 바위의 북서쪽 끝에는 횡서(橫書)로 ‘가암(架...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남창마을에서 이세재를 신으로 모시는 동제. 이세재(李世載)는 1698년(숙종 20) 11월 20일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왜관(倭館) 수리 및 전정(田政)에 관한 사무와 1700~1701년에 행한 가산산성 축성 때문에 임기가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임해 있다가 1701년 2월 8일 예조참의로 전임되었다. 1708년(숙종...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에 있는 수령 27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낙엽 교목이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고 피목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길이 2~7㎝, 너비 1~2.5㎝ 안팎으로 가장자리에 단거치가 있고 측맥(側脈)은 8~14쌍이고 엽병(葉柄)은 길...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가산산성 안에 있는 조선 후기 관찰사 및 별장의 불망비와 거사비.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가산산성 안 세 곳에는 모두 13기의 관찰사 및 별장의 불망비, 거사비가 있다. 이 중 남원리 이세재불망비는 비각이 있으나 10기의 비석은 비각이 없는 호패형의 비석들이며, 2기는 바위에 비석의 형태를 부조한 마애비이다. 비석의 분포는...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 여남재(旅南齋)에 개설한 야학당. 교육을 통하여 농촌 청소년 계몽과 항일 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의 도판금(都判金), 김성임(金聖任), 도태환(都台煥) 등은 교육을 통하여 지역의 청소년 계몽과 항일 실력을 양성하기로 합의하고 1936년에 남율리 마을 내 여남재(旅南齋)에서 야학당을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약...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무속신앙이 투철한 농촌 지역에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경북·대구 지역에는 1899년 9월에 부해리 선교사가 대구에 도착하여 최초로 선교 활동이 시작되었다. 남율교회는 옥계교회, 천평교회 등과 함께 1911년에 권일두 선교사에 의해 설립되었다. 1911년 5월 권일두 선교사가 교회를 설립한 후에...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에 있는 법정리. 낙동강변의 갈대밭이었던 곳에 밤나무(栗)를 심어 숲이 조성되자 율포(栗浦)라 했는데, 기존 밤나무숲 일대[北栗]의 남쪽에 해당되므로 남율(南栗)이라고 했다. 조선시대에 인동군 장곡면(長谷面)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당시 북율(北栗)과 중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율포(栗浦)[나중에 南栗]라 하고 칠곡군 석...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시대 고분군.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 밤실마을 북서쪽 구릉의 남단부에 1기의 고분이 있고 남율리 음지마 남쪽 야산의 서편으로 경부고속도로에서 150m 정도 떨어진 곳에 추정 고분군이 위치한다. 낙동강의 동안(東岸)에 형성된 자연 제방과 범람원을 건너뛴 구릉에 입지하고 있다. 남율리 밤실마을에...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로서 현존하는 20기 모두 뚜껑식 고인돌이다. 주변에 청동기시대 유구가 분포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 유적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 143번지에 2기, 석적읍 남율3길 75[남율리 85-3번지]에 15기, 석적읍 남...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면 남율리 일대에 있는 절터. 낙동강을 끼고 있으며 닥나무말랭이, 버리밭 봉우리 북서쪽에 있는 남율리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남율리의 자연 마을 중 음지마마을에 위치하는데 음지마마을 재실 뒷길을 따라 400m 정도 가면 계곡 사면의 대나무 밭 중간에 위치한다. 마을에서 전하기는 과거 이곳에 ‘죽방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있는 유물산포지. 지표에서 토기편, 자기편, 기와편, 석기편, 석재편 등의 유물편(片)들이 관찰·수습되지만 이와 관련된 무덤이나 건물, 탑, 불상 등의 유구나 건물 등이 발견되지 않아 지하에 유존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유물산포지라고 한다. 유물편들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시기에 사람들이 활동하였던 곳으로 짐작되며, 경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인돌로서 현존하는 20기 모두 뚜껑식 고인돌이다. 주변에 청동기시대 유구가 분포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 유적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남율리 143번지에 2기, 석적읍 남율3길 75[남율리 85-3번지]에 15기, 석적읍 남...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백수(伯綏), 호는 남촌(南村). 고려 목종(穆宗) 때 간의대부총부의랑(諫議大夫摠部議郞) 송맹영(宋孟英)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야성으로 하는 야성송씨(冶城宋氏)로 직장공파 선무랑통례원(宣務郞通禮院) 인의(引儀) 송응규(宋應奎)의 손(孫)이며 칠곡군 칠곡읍 매천동[현 대구광역시]에 세거지를 정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의...
-
조선 중기 칠곡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성원(聖源), 호는 남파(南坡).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로 칠곡군 인동면[현 구미시 인의동]과 칠곡군 석적읍[성곡·중리·반계리], 기산면 각산리, 북삼면 율리, 가산면에 집성·세거한다.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의 차자이고 어머니는 광산이씨,...
-
조선 후기 칠곡 지역 출신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용건(勇健), 호는 남파(南坡). 진주소씨 소논동(蘇論東)의 후손이다. 진주소씨는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에 집성을 이루어 선조의 얼을 추모하면서 400여 년 동안 세거지로 삼아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으로 건장하고 도량이 깊었다. 1894년(고종 31)에 부패한 관리 타도, 조...
-
경상북도 칠곡군 주민 허압이 1975년 한강 이남 5개도를 유람한 후 지은 기행가사. 「남행기」의 작가 허압 여사는 김해허씨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거주하였다. 여사는 광주이씨 도헌공파 박곡 이원록(李元祿)의 13대 종부(宗婦)로서 1975년에 작품을 지었다. 노래의 갈래는 가사로서 기행가사(紀行歌辭)이며, 남쪽 지방의 명승과 고적을 단체 유람한 일...
-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공신. 본관은 덕산(德山). 호는 남헌(南軒). 칠곡군에 정착한 덕산이씨는 고려 명종 때 덕풍호장(德豊戶長)을 지낸 이존술(李存述)을 시조로 하고 함길도관찰사를 지낸 이유(李愉)를 중시조로 하여 칠곡군 왜관읍[봉계리], 지천면[달서리], 동명면[봉암리]에 집성 세거한 성씨이다. 아버지는 비서랑(秘書郞) 이겸(李謙)이고 어머니는 영산신씨, 부인은...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내보(來甫), 호는 희헌(希軒).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절충장군 이말정(李末丁)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이다.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의 현손(玄孫)이고 이주악(李柱岳)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남원윤씨(南原尹氏)이고, 부인은 성산이씨(星山李氏)이다. 1750년(영조 26)에 생원시에...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양력 4월 5일 경에 지내는 명절.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인데, 양력으로는 대개 4월 5일경이다. 절기상 한식은 청명과 같은 날이거나 전후해서 있기에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매일반’이라는 속담도 있다. 칠곡 지역에서는 한식이나 청명절에 묘를 이장하거나 묘지에 잔디를 다시 입히는 개사초(改莎草)를 하는 등 산소를 보수하는 일을 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보호수. 2010년 7월 칠곡군 보호수는 21개소 24그루이다. 읍·면 단위로 보면 왜관읍 6개소, 지천면 6개소, 북삼읍 2개소, 석적읍 3개소, 동명면 5개소, 가산면 2개소 그리고 기산면 3개소이다. 지정된 총 24그루의 수종은 느티나무, 돌배나무, 떡갈나무, 모과나무, 배롱나무, 소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이다. 이중 느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칠곡군 남원 2리 남창마을과 북삼읍 율 1리 안배미마을에서 정월 대보름날(음력 1월15일) 행하는 세시풍속이다. 노래기는 보통 지네와 착각하기 쉬운데 몸 일부를 제외하고는 딱딱한 석회질의 껍질로 싸여 있다. 겉에서 본 모양도 원통형에서부터 평평한 것과 같이 다양하며 ‘측비’라고 하는 몸 쪽 돌출부의 모양...
-
조선 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한양(漢陽). 호는 노산(老山). 덕원부(德原府) 용진현(龍津縣)에서 세거한 사족의 후손 조지수(趙之壽)를 시조로 하며 조선이 개국하자 한성으로 옮겨 가세가 크게 번창하자 한양을 본관으로 삼은 한양조씨로 지평(持平) 조완규(趙完珪)의 차자(次子)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금산리[야디기]에 입향한 한양조씨의 칠곡 입향조이다. 어머니는 양천허씨...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마애불상군. 기산면 노석리 도고산 중턱에 위치한 가로 5m, 세로 4.5m의 바위 면에 돋을새김된 석불군이다. 1977년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붉은색, 주황색, 푸른색 등의 채색 흔적이 남아 있었으나 채색된 시점은 알 수가 없다. 바위 면의 중심에 본존불과 협시보살의 삼존불을 두고, 삼존과 별도로 우협시 옆에 불좌상이...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곡(老谷) 마을의 첫 글자와 백석(白石) 마을의 끝 글자를 따서 노석(老石)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에 성주군 선남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백석, 노곡, 신기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노석이라 하고 성주군 선남면에 편입되었다. 1983년 칠곡군에 편입되어, 약목면 동부출장소의 관할을 받았다. 198...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광산. 노석리 광산은 일제강점기부터 채광이 시작되었다. 일본군이 대한민국의 지하자원인 금, 은, 동, 연 등을 강제로 채광하여 군수 전쟁 물자로 이용하기 위해 노석리 광산에서도 지하자원인 금, 은을 채굴하게 되었다. 일본군이 노석리 광산에서 강제로 금과 은을 채굴하여 일본의 전쟁 물자로 이용하였으며 1950년 6·25전쟁...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자기가마터.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서 조선시대 자기가마터 2기가 확인됨에 따라 ‘노석리 요지’라고 불린다. 노석리 요지의 조성 시기와 자기 수급에 관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단, 지표조사에서 분청사기편과 접시편 및 사발편 등의 자기편이 발견됨으로써 조선시대 때 조업이 행해졌던 유적으로 추정된...
-
경상북도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수령 220년의 팽나무. 팽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높이 20m, 지름 1m이고 수피는 회색이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난형·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첨두·예저이고 길이 4~11㎝로 상반부에 잔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3~4쌍이고 엽병의 길이는 2-12㎜이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황색이다.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핵과는...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재실. 성주이씨 노석(老石) 이형휘(李亨輝)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로서 이형휘의 호를 따 노석재라 이름 짓고 이기윤(李基允)에게 기문을 부탁하여 지은 건물이다. 건립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04년 갑진년의 기문을 볼 때 같은 시기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형휘는 정계와 벼슬에는 나아가지...
-
조선 중기 칠곡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字)는 극오(極五), 호(號)는 노암(蘆巖).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인천이씨이다. 충간공(忠簡公) 이현좌(李賢佐)의 후손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어모장군에 임명되었고 벼슬은 첨정(僉正)에 이르렀다. 선조(宣祖) 때 임진왜란을 당하여 가형인 이두남(李斗南)과 함께 앞장 서서 의병을 일으켜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를...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봉산리에 있는 고개. 기산면 봉산리 가시막골에서 무림리로 넘어가는 아름다운 노을을 볼 수 있는 고개이다. 약 200년 전 봉산리로 정착해온 선비가 서낭당 고개에서 낙동강에 비치는 아침노을을 바라보고 너무 좋아서 '조조산하채(朝朝散霞彩) 막막등추색(幕幕燈秋色)'이란 구절로 경탄한 나머지 서낭당 고개를 노을티 또는 하현(霞峴)이라 했는데 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노칙(魯則), 호는 묵재(黙齋).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절충장군 이말정(李末丁)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이다. 오일헌(五一軒) 이주세(李柱世)의 후손이며 이익록(李翊祿)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고성이씨, 부인은 의성김씨이다. 1757년(영조 33)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영...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서당. 녹동 서당은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1851~1929]이 만년에 지은 강학지소로 1926년에 건립되었다. 장석영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이승희 등의 유림과 더불어 「청참오적소」를 올렸으며, 1907년 이래 전국적으로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나자, 지방의 보상 회장으로 추대되어 비밀 결사가 있을 때마다 대...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서당. 녹리 서당은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1815~1900]가 후학을 위해 고종 27년(1890)에 지은 강학지소이다. 장복추는 벼슬을 사양하고 오직 학문과 후진 양성에 전념했다. 효행이 지극하고 학문이 뛰어나 당대 영남의 유종(儒宗)으로 추앙받고 존숭되었다.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와 경계를 이...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동장씨이다. 여헌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며, 사인(士人) 장굉(張浤)의 장자(長子)이나 백부(伯父) 장관에게 출계(出系)하여 후사(後嗣)가 되었다. 어머니는 동래정씨, 부인은 인천채씨이다....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서당. 녹리 서당은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1815~1900]가 후학을 위해 고종 27년(1890)에 지은 강학지소이다. 장복추는 벼슬을 사양하고 오직 학문과 후진 양성에 전념했다. 효행이 지극하고 학문이 뛰어나 당대 영남의 유종(儒宗)으로 추앙받고 존숭되었다.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와 경계를 이...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에 있는 정토종 사찰. 종파는 정토종이며, 주지는 윤영균이다. 승려 1명과 신도 약 50명 규모의 작은 사찰이다.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후불탱화와 신장탱화 등 몇 점의 불화를 봉안하고 있으나,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다. 건축 면적은 94.75㎡이다. 법당, 단독주택, 산신각, 화장실 및 부속사, 용왕가 등 5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 전해 오는 논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勞動謠). 칠곡 지역에서는 아시(초벌)논매기,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를 다 아우르는 용어로 ‘논매기노래’라는 명명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초벌논매기소리, 재벌논매기소리, 세벌논매기소리는 후렴에서 차이를 보인다. 칠곡 지역 민요에서 불린 「논매기 노래」의 뒷소리는 “에헤이 에헤이야 야헤이 따해/이헤이 절로...
-
경상북도 칠곡군에 전해 오는 논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勞動謠). 칠곡 지역에서는 아시(초벌)논매기,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를 다 아우르는 용어로 ‘논매기노래’라는 명명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초벌논매기소리, 재벌논매기소리, 세벌논매기소리는 후렴에서 차이를 보인다. 칠곡 지역 민요에서 불린 「논매기 노래」의 뒷소리는 “에헤이 에헤이야 야헤이 따해/이헤이 절로...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성윤(聖胤), 호는 농구(聾癯).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으로 이광필(李光弼)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밀양박씨 부인은 영천최씨이다. 듣고 보고 깨달아 얻는 지식이 높고 크고 학식이 여유가 있었다. 여러 책을 지었으며 사...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칠곡군 출신의 이담명이 쓴 영농(營農) 일지(日誌). 『농사일록』은 이담명[1646~1701]이 영주(榮州)에서 4년 동안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면서 쓴 영농 일지이다. 당시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농촌 실상과 이앙법(移秧法)의 보급과 그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농서(農書)이다. 이담명이 살았던 17세기 후반은 전 세계적으로 소빙기의 내습으로...
-
조선 후기 및 말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희백(羲伯), 호는 농산(農山). 고려 초 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을 지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의 후손이다. 죽정(竹亭) 장잠(張潛)의 후손이고 주부(主簿) 장유량(張有良)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밀양손씨, 부인은 여산송씨이다. 사미헌(四未軒)의 문인이자 당대의 유학자로 사...
-
이순유를 시조로 하고 이석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시조(始祖) 이순유(李純由)는 아우 이돈유(李敦由)와 함께 신라에 벼슬하여 재상(宰相)에 올랐으나 신라가 망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고려 때 벼슬을 하지 않고 이름을 극신(克臣)이라 고쳐 경산(京山)[현재의 성주]부에 옮겨 살며 대대로 호족(豪族)을 이루니 고려 때에 누대(累代)에 걸쳐 후손들을 호장...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음력 6월 중 용신에게 비를 내려 풍년이 들게 해 달라고 지내는 고사.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물은 생명처럼 소중한 존재이다. 그래서 가뭄이 심할 때에는 용에게 기우제를 지내며 풍년을 기원했다. 용은 민간신앙에서 비를 가져오는 우사(雨師)이고, 물을 관장하는 수신(水神)이며, 사귀를 물리치고 복을 가져다주는 신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三國史...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제여(濟汝), 호는 농암(聾巖)이다. 이당(李唐)의 차자 이집(李集)을 일대(一代)로 하고 좌통례공 이극견의 차자 승사랑 이지(李摯)를 칠곡 입향조로 하는 광주이씨의 후손이다. 귀암 이원정(李元禎)의 주손(冑孫)이며, 아버지는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都正) 이조연(李肇淵)의 장자이다. 어머니는 인동장씨, 부인은 성산이씨·의성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정사. 농암 정사는 농암(聾巖) 이상석(李相奭)[1835~1921]이 조선 말기 나라의 어지러운 형세를 보며 스스로 벼슬길을 포기하고 은둔하면서 후학에 힘쓰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건립시기는 대략 1910년대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칠곡군 왜관읍 석전 2리 귀바위 마을 복판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이택기 가...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토지를 이용한 작물 재배 또는 가출 사육을 통해 생산물을 얻어 내는 경제 산업. 농업은 땅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고 동물을 사육·생산하여 의식주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물을 가공하여 판매하는 산업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농작물의 생산 및 가축의 사육과 더불어 농산물 가공·판매하는 산업 역시 농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농업은...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금융 기관 성격의 농민 협동 조직. 농업 협동조합은 농업 생산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농민들이 만든 협동 조직체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유한한 토지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자연적 제약으로 인해 대규모의 기업적 생산이 어려운 산업이다. 따라서 협동조합은 소규모 생산자인 농업인의 협동력에 의한 경제적 활동...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에 있는 과실 및 채소 절임 식품 제조 중소기업. 송광매원은 매실과 차조기를 이용한 전통 식품 제조업체로, 토종 매실인 ‘송광매’ 묘목 보급운동본부를 계승·발전하여 만들어졌다. 순수 토종 매실로 만든 각종 가공식품에 집중적으로 연구·투자하여 국민 건강에 기여하려고 노력 중이며, 송광매원의 제품으로 매실 엑기스, 매실 장아찌, 매실 고추장,...
-
조선시대 칠곡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치강(致强), 호는 농우(農寓). 시조(始祖)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역임하면서 공이 있어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져 달성[현재 대구광역시]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아 그곳에 세거하게 되었다. 그런 연유로 후손들이 본관을 달성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칠곡군 기산면 노석...
-
조선 말기 칠곡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주형(周亨), 고구려 영양왕 때 도원수(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강기영(姜紀永)이고 어머니는 진보이씨, 부인은 옥산장씨이다. 1850년(철종 1)에 태어나 1900년(광무 4)에 원종(元宗)과 인헌왕후의 장릉(章陵) 참봉(參奉)에 임명되었다. 천성이 온화하고 성실하며 문학을...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 미군의 병참 부대. 캠프 캐롤은 무엇을 하는 곳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왜관읍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부대다.’ 이렇게 대답하면 너무나 상식적인 대답이 될 것이다. 캠프 캐롤은 칠곡군 왜관읍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 미군의 병참기지의 일종이다. 1959년에 부대 조성 공사를 시작해...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에 있는 재실. 농헌(聾軒) 이명달(李明達)을 추모하기 위해 월성이씨 후손들이 1903년에 건립한 재실이다. 경북 칠곡군 가산면 석우2리 돌모루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전면에 위치한 사주문을 들어서면 마당을 향하여 농헌재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주위를 토석담장이 둘러싸고 있다. 농헌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 반...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금융 기관 성격의 농민 협동 조직. 농업 협동조합은 농업 생산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농민들이 만든 협동 조직체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유한한 토지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자연적 제약으로 인해 대규모의 기업적 생산이 어려운 산업이다. 따라서 협동조합은 소규모 생산자인 농업인의 협동력에 의한 경제적 활동...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 있는 정사. 뇌양 정사는 농산(聾山) 장승택(張升澤)[1838~1916]이 만년에 지은 강학지소이다. 장승택은 사미헌(四未軒)의 문인으로 인품이 뛰어났다. 당대의 유학자로 사림의 추중을 받았으며 후학에 전념하여 많은 문인을 배출했다.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와 경계를 이루는 각산1리 내각 마을 서남단에 위치하며 뒤로 나지...
-
조선 후기 칠곡 출신의 유생.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뇌칙(耒則), 호는 도은(道隱). 신라 때부터 순유(純由)를 시조로 내려오다가 호장을 지내고 경산부원군에 봉해진 12세손 장경(長庚)을 중시조로 하고 본관을 성주로 하는 성주이씨이다. 통훈대부 군자감(軍資監)을 지낸 이덕삼(李德三)이 가문을 빛내어 후손들이 칠곡군 포남리에 세거지를 정하였다.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후손이고...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풍류를 즐기고 주변 경치를 감상하는 기능을 가진 다락 형식의 집. 누정이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의 줄인 말로 사방 멀리 넓게 볼 수 있도록 다락 구조로 높게 지어진 집을 일컸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누정조에는 누(樓)·정(亭)·당(堂)·대(臺)·각(閣)·헌(軒) 등을 일컫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칠곡군에 남아 있는 누...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와 약목면 남계리,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에 걸쳐 있는 산. 『교남지(嶠南誌)』에서는 서쪽을 진호(鎭護)하는 산이라고 하여 서진산(西鎭山)이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1:50,000 지형도」에는 선석산이라 하였고, 누진산(樓鎭山)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742.4m의 서진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관입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서회. 느티나무주부독서회는 처음에는 주부독서회라는 작은 타이틀로 출발하였지만, 모든 회원들이 각자 바쁜 일상 중에도 가족과 사회에 주부의 결이 고운 느티나무 그늘이 되기 위해 갈고 닦은 기량을, 독서의 틀을 넘어 문학 탐구와 자원봉사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추진 운동이 설립 목적이...
-
구존유을 시조로 하고 구연우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세거 성씨. 능성 구씨(綾城具氏) 시조(始祖) 구존유(具存裕)는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벽상삼중대광 검교상장군(壁上三重大匡 檢校上將軍)을 지냈다. 2세 구민첨(具民瞻)은 문과 급제하고 동평장사(同平章事), 4세 구예(具藝)는 문과 급제하고 중대광(重大匡)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판전의사(判典...